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심검문시 불심자의 답변의무에 대한 법적 검토

        성홍재 ( Hong Jae Seong ) 한국경찰법학회 2008 경찰법연구 Vol.6 No.2

        Die Polizei nimmt ihre Aufgaben sowohl im Bereich der Gefahrenabwehr, als auch im Bereich der Strafverfolgung wahr. Mit der Zeit sind sie noch konkretisiert, namlich Gefahrenabwehr, Strafverfolgung, vorbeugende Verbrechensbekampfung und Gefahrenvorsorge. Dies bedeutet, dass die Polizei mehr Wert im Bereich der Gefahrenabwehr setzt, als der Strafverfolgung. Dafur hat die Polizei verschiedene Zustandigkeiten. Eine der Zustandigkeiten der Polizei ist die Befragung. Bei der Befragung stellt die Polizei ein paar Fragen im Bezug auf Gefahren und der Betroffene Antwort geben. Bei uns trifft die Polizei diese Maßnahme, insb. bei der Versammlung usw. Das Problem bei der Befragung ist aber die Freiwilligkeit. konkret gesagt: der Betroffene hat gar keine Pflicht, zu beantworten und den Personalausweis vorzuzeigen. Deswegen ist die Wirksamkeit dieser Maßnahme fraglich. Wofur brauchen die Burger die Polizei? Die Polizei muss die Burger vor den Gefahren in Schutz nehmen. Eine wirksame, effiziente Methode ist die Befragung, insoweit die Polizei die Identitat des Betroffenen feststellt. Sonst kann sie keine Straftater, Storer feststellen und festnehmen. Dies fuhrt dazu, dass die Polizei die Offentliche Sicherheit und Ordnung als die Hauptaufgabe nicht garantieren kann. Aus diesem Grund sollte das Polizeiaufgabengesetz geandert werden. Erstens ist die Erforderlichkeit der Gefahrenabwehr als Voraussetzung der Befragung hinzufugen. Zweitens muss die Polizei die Fragerechte im Verhaltnis von Gefahren haben und in Verbindung damit ist der Betroffene Auskunftspflicht aufzuerlegen. Schlisslich ist die Polizei Zwangsmaßnahmen zu treffen, wenn der Betroffene diese Pflicht nicht erfullt. Das Letztere beschreibe ich bedaulicherweise aus Platzgrunden in meiner Arbeit nicht. Auf jeden Fall sollten wir die Befragung aus anderer Sicht beurteilen, fur die Offentliche Sicherheit und Ordnung.

      • KCI등재

        경찰공무원법상 징계처분의 위헌·위법성 여부에 대한 법리적 검토 - 본질성이론(Wesentlichkeitstheorie)을 중심으로 -

        성홍재 ( Seong Hong Jae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홍익법학 Vol.17 No.3

        2015. 12. 24. 행정자치부는 국가공무원법을 개정(2016. 6. 25. 시행)하면서 국가공무원이 강등 또는 정직처분을 받을 경우 보수의 2/3 감액에서 보수 전액을 감액하도록 하였다. 한편 공무원보수와 관련된 대통령령인 공무원 보수규정 제26조 역시 2016. 6. 25. ‘징계처분에 따른 보수의 감액은 국가공무원법 제80조에 따른다’고 개정·시행되면서 강등 또는 정직처분시 보수의 전액을 감하는 것으로 시행되고 있다. 따라서 국가공무원이 강등 또는 정직처분을 받을 경우에는 앞으로는 보수의 전액을 감하게 된다. 그런데 여기서 ‘경찰공무원이 강등 또는 정직처분을 받을 경우에도 보수 전액이 감액될까?’라는 의문이 제기된다. 현행 경찰공무원법은 1982. 12. 31. 전부 개정되면서 국가공무원법과 중복되는 부분을 삭제하고 특별히 경찰공무원에게만 적용할 특례만을 규정하였다. 그 결과 경찰공무원의 임용·교육훈련·복무·신분보장 등에 대해서는 국가공무원법에 대한 특례로써 경찰공무원법을 적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경찰공무원에 대한 정직 또는 강등과 같은 징계처분은 임용에 해당하여 경찰공무원법이 적용된다. 반면, 경찰공무원에 대한 보수지급은 공무원 보수규정이 적용되고, 징계처분시 보수지급은 이 규정에 따라 국가공무원법을 다시 적용하게 된다. 일반적 법률유보원칙에 따를 경우, 경찰공무원에 대한 징계처분시 보수의 일정 부분 삭감은 경찰공무원법, 공무원 보수규정, 국가공무원법의 단계적 적용을 통해 전혀 문제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질성이론에 따를 경우에는 위법하다는 결론이 도출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본질성이론에 따를 때, 기본권 실현과 관련된 영역에서 본질적 사항은 의회에서 입법자가 반드시 스스로 결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경찰공무원에 대한 징계처분이 기본권 실현과 관련된 본질적 영역이 있을까?’라는 의문이 제기된다. 경찰공무원에 대한 징계처분시 파면·해임과 같은 배제징계는 공무원 신분이 박탈되므로 신분관계의 변동을 초래하여 헌법 제25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공무담임권을 침해하게 된다. 반면 배제징계가 아닌 징계처분일 경우에는 직무에 종사하지 못하는 기간과 그 기간으로 인한 승진상의 불이익 및 그 기간동안 감액되어 받게 되는 보수로 인한 보수수급권 박탈(강등·정직처분의 경우) 내지 제한(감봉처분의 경우) 등 재산권의 침해가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경찰공무원에 대한 징계처분은 기본권침해가 수반된다. 따라서 경찰공무원에 대한 징계처분의 효력에 대해서는 의회에서 입법자가 반드시 스스로 결정해야 한다. 즉, 경찰공무원에 대한 징계처분시 징계처분의 효력은 국가공무원법이 아니라 별도의 독자적인 경찰공무원법이 적용되어야 하고, 그 법률에 입법자가 스스로 징계처분조항을 규율해야 하며, 이 징계처분에 상응하는 보수의 감액처분 역시 경찰공무원법에 규율되어 있어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본질성이론에 부합할 수 있다. 그러나 현행 경찰공무원법에서는 징계처분의 효력에 대해서는 전혀 규정하지 않은 채, 징계위원회 및 징계의 절차만을 규율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현행 경찰공무원법을 개정하여 징계의 사유, 징계의 종류, 징계의 효력조항을 신설해야 할 것이다. The article 80 of the State Public Officials Act was revised on 24 December, 2015. According to the revision, an officer who is submitted to the demotion or suspension as a disciplinary punishment will receive nothing for his salary. On the other hand the Police Officers Act has no article of effect of disciplinay punishment. Therefor the question arises whether the Police Officer can receive something for his salary, when he is submitted to the disciplinary punishment. Before the Police Officers Act had revised on 31 December 1982, the Act had each article of the appointment, the appointment examination, the salary, the Police Officer`s Service, the guarantee of a Police Officer`s status, the disciplinary punishment etc.. But this Act was revised for some reasons that are removal of overlapping articles between the State Public Officials Act and the Police Officers Act and especially regulation of the article for only the Police Officers. As a result, there are no articles of the effect of disciplinary punishment in the Police Officers Act. On the contrary, the legal decree of the salary applies to the state public officer as well as the police officer. According to this decree, the salary in the disciplinary punishment applies to the article 80 of the State Public Officials Act. As a consequence of that, the police officer receive nothing for his salary when he takes the aforementioned disciplinary punishment. But there still remain some questions, when this isn`t accorded with the theory of fundamental Guarantee. Because the legislative itself must regulate all that is important to realization of the basic rights according to this theory. It is obvious that the promotion, the salary etc. are important. But the police officer can suffer from disadvantages in field of the promotion and the salary etc., when he is disciplined according to other Police Act. Even though the disciplinary punishment is so important to the police officer, there are no articles such as the kind and effect of disciplinary punishment in the Police Officers Act. Therefore the Police Officers Act should be reconstructed and revised.

      • KCI등재

        검사의 파면처분에 대한 법리적 검토

        성홍재 ( Seong Hong-jae ),김상호 ( Kim Sang-ho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法學硏究 Vol.25 No.3

        일반직 공무원이든 특정직 공무원이든 통상적으로 공무원에 대한 징계처분의 종류는 파면.해임·강등·정직·감봉·견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유독 법무부 공무원인 검사에 대해서만 징계처분으로서 파면처분이 존재하지 않는다. 물론 사법부 공무원인 법관 역시 징계처분으로서 파면처분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대해 법관과 검사는 동등한 지위와 신분 및 독립성이 보장되어야 하므로 징계처분으로서 파면처분은 타당하지 않다는 주장도 설득력이 있다. 그러나 법관과 검사는 그 지위 및 신분과 독립성에 있어서 근본적인 차이가 있으며, 검사는 오히려 행정부 공무원으로서 다른 부처 공무원과 동등한 대우를 받아야 하지 않을까 하는 의구심에서 이 연구는 시작된다. 검사의 경우 징계처분으로서의 파면처분은 없지만 면직처분은 존재한다. 그러나 면직처분은 효력측면에서 파면처분과 다르다. 그런데 국가공무원법·경찰공무원법·공무원연금법 등에서는 징계처분으로서의 파면처분이 존재하고 있다. 물론 위 법률에서도 제정 당시에는 면직처분이었으나, 개정하면서 면직처분 대신 파면처분으로 그 용어가 변경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국가공무원법·공무원연금법 등을 연혁적으로 그리고 체계적으로 분석하면 쉽사리 도출된다. 이러한 변경은 법관징계법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유독 검사징계법에서만 이러한 변화없이 파면처분 대신 면직처분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그 결과 동일한 행정부 소속 공무원임에도 불구하고 검사는 면직처분을 통해 공무원신분 박탈 외에는 퇴직급여 및 공무원 재취업 등에 있어 별다른 제한이 없는 반면, 다른 부처 공무원은 파면처분을 통해 공무원 신분 박탈, 퇴직급여 및 공무원 재취업에 있어 제한을 받게 되어 불평등한 대우가 초래된다. 이에 대해 평등의 원칙에 위배되는지 여부를 심사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자의금지의 원칙이나 엄격한 비례의 원칙 등 그 심사기준에 따라 심사를 해야 한다. 그런데 위와 같은 불평등 대우는 관련 기본권에 중대한 제한을 초래하므로 엄격한 비례의 원칙이 적용되어야 하고, 그에 따를 경우 위와 같은 불평등한 대우를 합리화할 정도로 검사가 다른 부처 공무원에 비해 중대한 비중을 차지한다고 보기는 어려울 듯 하다. 따라서 징계처분으로서 파면처분을 규정하지 않은 검사징계법은 개정되어야 하고, 검사에게도 징계처분으로서의 파면처분이 가능해야 한다. Generally, the types of disciplinary action for public official, whether in general service or in special service, can be classified into removal, dismissal, demotion, suspension from office, reduction of salary and reprimand. However, there is no removal as disciplinary action for public prosecutors who are public officials of the Ministry of Justice. Of course, judges, public servants of the Judiciary, are also disciplined and there`s no removal. It is persuasive to argue that judges and prosecutors should not be removed as disciplinary punishments because their status and independence should be guaranteed. But, there are fundamental differences between judges and prosecutors in their position, status and independence, and this study begins with the suspicion thant the public prosecutors should be treated equally with other governmental officials as executive officers. In the case of prosecutors, there is no removal as disciplinary action, but discharge exists. However, discharge from office is different from removal in terms of effect. The removal as a disciplinary action exists in State Public Officials Act and Public Officials Pension Act. Of course, in the above laws, there was discharge at the time of enactment, but it`s presumed that the tern has been changed into removal. This can easily be deduced from a historical and systematic analysis of State Public Officials Act and Public Officials Pension Act. These changes are equally true in the Discipline of Judges Act. However, only Act on Discipline of Prosecutors keeps the discharge instead of removal without such changes. So, despite the fact that it is a public servant belonging to the same administration, the prosecutors do not have any restrictions as a result of discipline on retirement benefits and reemployment of public officials other than deprivation of status as public official. Other government officials are subject to disqualification of retirement benefits and reemployment of public officials through removal, resulting in unequal treatment. There is a need to examine whether this violates the principle of equality. Since such inequitable treatment causes serious restrictions on the relevant fundamental rights, the principle of strict proportionality must be applied. In such a case, it`s unlikely that the public prosecutors would be more important than other governmental officials to rationalize the above-mentioned unequal treatment. Therefore, the Act on Discipline of Prosecutors that does not prescribe removal as a disciplinary action should be revised, and the removal as a disciplinary disposition must be possible for the prosecutors.

      • KCI등재

        경찰 신원확인조치 실효성 확보 방안에 대한 연구

        성홍재(Seong Hong Jae)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0 경찰학연구 Vol.10 No.1

        Früher hat die Polizei die Polizeigewalt bei der Befragung für die Effektivität und die Erleichterung der polizeilichen Aufgabenerfüllung missbraucht, egal ob sie die Grundrechte der Einzelnen eingreift. Dies zieht unvermeidlich eine Rückwirkung nach sich. Also hat der Gesetzgeber die strafprozessualen Einschränkungen bei der polizeilichen Befragung auferlegt. Des Weiteren haben manchen Wissenschaftler mehr Wert im Bereich des Strafprozessrechts in Bezug auf die Befragung aufgelegt, als im Bereich des Polizeirechts. Noch schlimmer ist, dass die Bevölkerung auf die Aktivitäten der Polizei nicht vertraut. Dies führte dazu, dass die Polizei ihre Aufgaben nicht effektiv erfüllen kann, obwohl sie sie unbedingt vollziehen muss. Ein negative Ergebnis resultiert daraus, dass die Polizei die Staatsaufgabe “Innere Sicherheit” nicht gewährleisten kann und die Bevölkerung ihr Grundrecht auf Sicherheit nicht geniessen kann. Aus diesem Grund muss die Polizei neue Befugnisse bei der Befragung, insb. der Identitätsfeststellung erhalten, und zwar verfassungsmässig. Als Beispiel habe ich Zwei Methoden vorgezeigt, nämlich Festhalten und Mitnahme zur Polizeidienststelle, dann Erkennungsdienstliche Massnahmen. Dann stellt sich die Frage, ob sie nicht in die Grundrechte des Betroffenen eingreifen. Zur Antwort ist das Verhältnismässigkeitsprinzip gestellt. Nach dem Güterabwägung zwischen der Staatsaufgabe “Innere Sicherheit” und dem Recht auf informationelle Selbstbestimmung, auf Freiheit der Person lässt sich feststellen, dass dieser wichtiger als jener. Mit anderen Wörter: die Polizei muss die neue Befugnisse bekommen, um die Staatsaufgabe zu erfolgen, obwohl sie in die Grundrechte eingreifen. Dies ist also verfassungsmässig.

      • KCI등재

        내적 안전권과 자유권적 기본권간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 모색

        성홍재(Seong, Hong Jae)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5 경찰학연구 Vol.15 No.4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국가(경찰)가 국가권력(경찰권)을 행사할 경우 국민의 자유(또는 자유권적 기본권)은 제한될 수 밖에 없으며, 국민의 자유권적 기본권을 최대한 보장할 경우 국가가 취할 수 있는 안전조치는 한계에 부딪힐 수 밖에 없는 상호 모순되는 듯한 관계에 있는 듯 하다. 이러한 ‘안전’과 ‘자유’의 관계에 대해 헌법학에서 수많은 논의를 하였으나, 주로 기본권제한이나 기본원리에 치중한 반면, 경찰법학에서는 공공의 안녕을 유지하기 위한 경찰권 행사와 이로 인한 기본권 침해시 과잉금지의 원칙에 위배되었는지 여부, 추상적 위험에 근거하여 경찰권 발동할 수 있는지 여부 등의 주제에 집중하여 왔다. 그런데 기존의 선행연구나 판례를 검토해 보면, ‘안전’과 ‘자유’의 관계는 상호모순적인 관계가 아니라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음을 부정할 수 없고, 그 관계 속에서 가장 최적화된 안전을 보장한 상태에서 최대한의 자유를 영위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방법론적으로 현재 독보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법익형량을 통한 ‘안전’과 ‘자유’의 관계를 설정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 방법론은 자유권적 기본권의 본질을 침해할 수도 있다는 논리적 모순이 내재되어 있어 다른 방법론을 찾아볼 필요성도 없지는 않은 듯 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시각에서 헌법 제37조 제2항에 근거한 ‘본질적 사항 보장(Wesengehaltgarantie)’을 통해 ‘안전’과 ‘자유’의 관계에 대해 새로이 접근해 보고자 한다. Muss der Staat die Sicherheit um jeden Preis in den vollständigen Zustand bringen? Oder sollte er das Minimalstandard von Sicherheit für die Freiheit der Bürger gewährleisten? Mit dem Motto: Je mehr Sicherheit, desto weniger Freiheit! Da die Sicherheit und die Freiheit gegenüberstehen, beherrscht die These “Ohne Sicherheit keine Freiheit”. Historisch gesehen, ist die Form des Staates vom Sicherheitsstaat über Rechtsstaat bis Präventionsstaat umgewandelt. In jeder Hinsicht liegt es auf der Hand, dass die Aufgabe des Staates die Gewährleistung der Sicherheit für die Bürger ist. Im Gegensatz dazu ist der Status der Freiheit etwas anders. Die Verfassung liegt nahe, dass die Staatsgewalt als rechtfertigungsbedürtig und notwendig begrenzt, die Freiheit dagegen als ursprunǵ́haft und virtuell unbegrenzt ausweist. Unter dem Motto: die Freiheit im Palast der Verfassung, die Sicherheit in Quartier in den Hütten des einfachen Gesetzes. Nun ist die Grundrechte auf Freiheit eingebettet in die staatliche Rechtsordnung, rechtlich gesichert und begrenzt. Konkret gesagt, bilden die Gesetze für die reibungslose Grundrechtsausübung der Bürger Grenzen der grundrechtlichen Freiheit und sorgen dafür, dass gleiche Freiheitsträger so vollständig wie möglich ohne Konflikt Nebeneinander stehen können. Dies liegt in dem Fall noch klarer, wo die Beziehung von Staat–Störer-Opfer steht. Der Störer kann nur behaupten, dass er vor ungerechtfertigen und unangemessenen Sanktionen von Staat geschützt wird. Dies hat inne, dass die Schutzpflicht des Staates den Vorrang vor der Achtungspflicht hat. *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2014 Yeungnam University Research Grant. Um das Verhältnis zwischen der Sicherheit und Freiheit zu harmonisieren, haben die Literatur und das Gericht wie auch das Verfassungsgericht bisher angestrebt, durch das Verhältnismässigkeitsprinzip eine Lösungt zu finden. Aber diese Methode gerät in das entscheidende Dilemma. Aus diesem Grund will ich auf diesem Aufsatz die Wesengehaltgaratie als eine andere Methode vorschlagen.

      • KCI등재

        아파트 단지 출입구 및 통행로의 주정차행위 단속을 위한 도로교통법 개정안에 대한 소고

        성홍재 ( Seong Hong-Jae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외법논집 Vol.45 No.3

        아파트 단지 앞 출입구나 단지 내 통행로에 비스듬하게 주차를 하여 주민들 차량들의 통행을 막고 있을 때, 관할 행정청에 신고를 하더라도 경찰공무원 등은 도로법이나 도로교통법상의 ‘도로’에 해당하지 않아 아무런 조치를 취할 수 없다는 답변을 할 뿐이다. 경찰공무원은 도로교통법 제35조에 따라 불법주정차 차량 운전자에 대해 이동명령이나 주차방법 변경 명령을 내리거나 직접 변경할 수 있다. 즉, 경찰공무원은 도로교통법에 근거하여 경찰하명이나 즉시강제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런 조치를 취하기 위해서는 그 장소가 반드시 도로교통법상 ‘도로’여야 한다. 도로교통법상 ‘도로’는 도로법상의 도로뿐 아니라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나 차마가 자유로이 통행할 수 있는 공개된 장소를 의미한다. 그런데 위 장소는 아파트 주민이나 택배차량 등 그들과 용무가 있는 사람 외에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나 차량이 자유로이 통행할 수 있는 곳이 아니므로, 도로교통 법상 ‘도로’에 해당하지 않아 경찰공무원은 위 조치를 취할 수 없다. 그래서 경찰공무원은 일반교통방해죄라는 형법을 적용하게 된다. 형법 제185조 일반교통방해죄는 ‘육로, 수로, 교량을 손괴 또는 불통하게 하거나 기타 방법으로 교통을 방해한 자’를 처벌하는데, 위 죄의 성립 여부는 ‘육로’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육로’는 불특정 다수의 사람 또는 차마가 자유로이 통행할 수 있는 공공성을 지닌 장소를 의미하는데, 위 장소는 이에도 해당하지 않아 일반교통방해죄로 처벌할 수 없고, 단지 아파트 관리사무소나 경비원의 업무를 방해했다는 의미에서 업무방해죄로 처벌할 수 있을 뿐이다. 그런데 아파트 주민이 원하는 조치는 사후 형사처벌이 아니라 현장에서 안전하고 원활한 교통확보이다. 따라서 도로교통법상 ‘도로’의 개념을 다시 한번 살펴보고, 위 장소가 도로교통법상 ‘도로’에 해당 하는지 여부를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이를 법리적 해석방법인 역사적 해석방법, 문리적 해석방법 및 목적적 해석방법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역사적으로 해석하면, 도로교통법 제정시부터 83차례에 거쳐 개정된 현행 법률까지 개념상 변화는 없다. 문리적으로 해석하면,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나 차량이 자유로이 통행할 수 있는 장소인지 여부가 핵심이고, 이를 아파트 단지에 적용하면 차단기 설치여부나 경비원에 의한 출입통제여부가 아니라 아파트 주민이나 그들과 용무가 있는 사람이나 차량 외에는 통행이 불가한지 여부가 관건이다. 게다가 아파트 단지 내 주차장이 ‘도로’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대법원의 판결은 일관되지 않는다. 이는 도로상태법과 도로이용법과의 관계에서는 도로이용 법인 도로교통법 우선의 원칙이 적용되어야 하는데, 도로상태법 유보의 원칙이 적용된 결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목적적으로 해석하면, 도로교통법은 도로교통에서 발생하는 위험과 장해를 방지 및 제거하여 안전하고 원활한 교통확보를 목적으로 하는데, 이는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나 차량이 자유로이 다닐 수 있는 장소뿐 아니라 아파트 단지 내 통행로처럼 특정 다수 또는 불특정 소수가 다니는 장소에서 도 필요하다. 그런데 ‘도로’의 개념을 다수의 대법원 판례처럼 해석하면 아파트 단지 내 통행로는 ‘도로’에 해당하지 않아 도로교통법 제정 목적을 달성할 수 없음은 쉽게 알 수 있다. 따라서 도로교통법상 ‘도로’의 개념조항을 ‘현실적으로 안전하고 원활한 교통을 확보할 필요가 있는 장소로서, 불특정 또는 다수의 사람이나 차량이 자유로이 통행할 수 있는 장소’로 개정하는 것이 타당할 듯하다. 그러나 이렇게 개정할 경우 비용부담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주정차금지장소에 대한 규정에 ‘도로 외의 곳’을 추가하는 형태로 관련 규정을 개정하는 입법안을 제시할 수 있을 듯하다. Police officer or officer in City Hall can not take any action when a driver is blocking the passage of residents’ vehicles by parking the car at an angle at the entrance of the apartment complex or on the passageway in the complex. This is because it does not fall under ‘road’ under the Road Act or the Road Traffic Act. Police Officer may issue an order to move or change the parking method to a driver of an illegally parked vehicle. Otherwise, the police officer may move or change it himself in accordance with article 35 of the Road Traffic Act. But in order to take these measures, the place must be a ‘road’ under the Road Traffic Act. ‘Road’ in the Road Traffic Act means not only a road under the Road Act, but also an open place where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or vehicles can pass freely. However, the above place is not a place where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or vehicles can pass freely, so it is not a ‘road’ under the Road Traffic Act. And police officers cannot take the above measures, They just can apply the Criminal Law of general traffic obstruction. Article 185 of the Criminal Law punishes “a person who damages or obstructs a land road, waterway, or bridge, or obstructs traffic in other ways” for the offense of obstructing general traffic. The criminality depends on whether the place is land road or not. Land road means a public place where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or vehicles can pass freely, so the above places do not fall under this category and cannot be punished as a general traffic obstruction crime. In the end, it can only be punished as obstruction of business in the sense that it interfered with the work of the apartment management office or security guard. However, the action that apartment residents want is to secure safe and smooth traffic at the site, not post criminal punishment. This is why the definition of road by the Road Traffic Act must be reinterpreted. For this purpose, I used 3 interpretation methodologies, namely historic, grammatical and teleological interpretation method.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t’s found reasonable to interpret the concept of ‘road’ in the Road Traffic Act as a place for the passage of unspecified or a large number of people or vehicles as a place where it is necessary to secure safe and smooth traffic realistically. However this leads to burden of expenses. For this reason, I propose to insert a provisoclause in the article No-Parking Zone as an amendment to the Road Traffic Act.

      • KCI등재

        가정폭력 가해자에 대한 경찰의 보호조치권 신설의 입법적 검토

        성홍재 ( Hong Jae Seong ) 한국경찰법학회 2011 경찰법연구 Vol.9 No.2

        Aus historischer Sicht liegt es auf der Hand, dass die Polizei keine Interventionsrolle in der hauslichen Gewalt gespielt hat. Die Gesellschaft hat auch sogar die Tatsache in Kauf genommen, dass Ehemann als Haustyrann gegenuber Ehefrau Gewalt ausubt. Bei uns ist es nichts anders. Mit dem Motto, dass die Gewalt in eigenstandigen Vier Wanden zur Familiensache gehort, hat die Polizei keine Eingriffsbefugnisse getroffen. Erst im Jahr 1997 ist das Sondergesetz zum Schutz des Opfers bei hauslicher Gewalt in Kraft getreten. Angesichts der Kritik, dass dieses Gesetz wirkungslos ist, das Opfer bei hauslicher Gewalt in Schutz zu nehmen, ist dies im Jahr 2011 novelliert. Danach kann die Polizei die vorlaufige Notmassnahme gegen Tater ergreifen, der gegenuber Familienangehorigen Gewalt ausubt. Aber meiner Ansicht nach ist es trotzdem vergebens. Der Grund dafur ist, dass solche polizeiliche Massnahme keine Wirkung hat, das Opfer zu schutzen. Es liegt an unzureichende Sanktionslierung. Konkret Gesagt: Als Sanktion steht bei Nichtbeachtung dieser Massnahme nur Ordnungsgeld zur Durchsetzung der Massnahme zur Verfugung. Es fehlt immer noch dem polizeiliche Gewahrsam. Aber durch das jetziges Gesetz ist es unmoglich. Aus diesem Grund stelle ich eine juristische Losung vor, das Sondergesetz wiederum zu novellieren. Davor ist es zu uberprufen, welche materielle und formelle Voraussetzungen zu erfullen sind. Als materielle Voraussetzung ist die neue Regelung gegen Verhaltnismassigkeitsprinzip nicht zu verstossen. Des Weiteren muss sie als formelle Voraussetzung Richtervorbehalt einhalten. Dann kann die Polizei ihre Aufgabe durch den Gewahrsam erfullen, Gewalttater und das Opfer getrennt zu isolieren, das Opfer in Schutz zu nehmen und damit das Opfer selber an das Gericht einen Antrag stellen, die Anordnung zum Schutz vom Opfer zu treffen. Das Sondergesetz orientiert sich daran.

      • KCI등재

        위해방지를 위한 경찰의 주거수색권 신설의 입법적 검토

        성홍재 ( Hong Jae Seong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홍익법학 Vol.13 No.4

        Bei der theoretischen Trennung der Polizei, haben wir die Polizei in 2 Teile untergeteilt, namlich Kriminalpolizei und Schutzpolizei. Als Folge hat die Polizei 2 verschiedene Aufgaben: die Aufgabe der Kriminalpolizei bezieht sich auf die Strafverfolgung, wuhrend die Schutzpolizei uber Zustandigkeiten for die Gefahrenabwehr verfagt. Diese Kategorie hat eigentlich kein Problem inne. Aber bei uns hat sie das tiefgreifende Problem verursacht. Es liegt auf der Hand, dass die Polizei der Sachaufsicht/Dienstaufsicht der Staatsanwaltschaft nach dem StPO unterstehen muss. Die Kriminalpolizei ist tatig im Auftrag der StA, deswegen bewegt sich ihre Tutigkeit innerhalb ihrer Zustandigkeit, nicht der StA. Wenn sie Durchsuchungsbefehl benatigt, dann kann sie beim StA nur beantragen, dieser beim Gericht weiter einzureichen. Der Grund dafor ist, dass die Verfassung nur beim Staatsanwalt das Antragsbefugnis bei dem Gericht eingeraumt hat, in dessen Bezirk die Durchsuchung usw. vorgenommen werden soll. Dies ist nur im Bereich der Strafverfolgung gultig. Im ganz Gegenteil dazu ist der Bereich der Gefahrenabwehr noch einen anderen Bereich. Hier hat StA keine Aufgabe und Zustandigkeit. Nur die Polizei kann uber ihre Zustadigkeit verfah, um von dem Einzelnen und dem Gemeinwesen Gefahren abzuwehren, durch die die affentliche Souicherheit oder Ordnung bedroht wird. Hierbei ist die Polizei auch in der Lage, mit dem Durchsuchungsbefehl ihre Massnahme zu treffen, und zwar sog. in dringender Gefahr oder in gegenwurtiger Gefahr. In diesem Fall hat sie auch kein Antragsbefugnis beim Gericht, weil dies nur StA beim Gericht beantragen kann, auch wenn diese keine Zustandigkeit in diesem Bereich hat. Dies fahrt zu dem Ergebnis, dass die Polizei nur warten muss, bis eine Straftat begehen wird. Es ist rechtswidrig, wenn sie davor irgendeine Massnahme ergreift. Nach meiner Ansicht ist dies juristisch lockenhaft. Um Gefahr gegen Leben, Leib und Freiheit usw abzuwehren, muss die Polizei ihre Aufgabe erledigen. Aber kann sie nicht. Noch schlimmer ist, dass Gesetzgeber, Bevalkerung, sogar juristische Wissenschaftler der Meinung sind, dass die Polizei keine Zustandigkeit hat, Durchsuchungsanordnung direkt bei dem Gericht zu beantragen. Als Folge hat die Polizei mehrere Aufgaben, weniger Zustandigkeiten. Mit einem anderen Wort: Wasch mir den Pelz, ohne mich nass zu machen. In dieser Situation kann die Polizei Grundrechte der Borger auf Sicherheit aberhaupt nicht gewahrleisten Jetzt brauchen wir Paradigmenwechsel, numlich Schutzpolizei und Kriminalpolizei oder Gefahrenabwehr und Strafverfolgung unter dem Ziel Sicherheit neu zu etablieren.

      • KCI등재

        새로운 유형의 음주측정불응행위에 대한 법리적 검토

        성홍재(Seong, Hong-Jae)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法學論叢 Vol.42 No.-

        현행 도로교통법에 따르면, 경찰공무원은 교통의 안전과 위험방지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거나 술에 취한 상태에서 자동차등을 운전하였다고 인정할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술에 취하였는지를 호흡조사로 측정할 수 있고, 운전자가 경찰공무원의 측정에 응하지 않으면 처벌한다. 도로교통법을 제정할 당시에는 음주측정과 음주측정불응죄를 규정하지 않았다가 1980년 개정하면서 처음으로 규정하였다. 그러나 ‘교통안전과 위험방지의 필요성’이라는 요건으로 인하여 음주측정에 불응하더라도 처벌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1995년 ‘술에 취한 상태에서 운전하였다고 인정할만한 상당한 이유’라는 요건이 추가되었다. 음주측정불응죄는 주로 두 번째 요건에서 다툼이 있어왔고, 대법원 역시 이 요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로 판결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운전자가 음주단속현장에서 ‘도주’하는 유형의 음주측정불응행위가 나타났고, 이에 대해 대법원은 음주운전에 대한 혐의는 있으나 증명력이 부족하여 음주운전죄로 처벌할 수 없다고 판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주측정불응죄에 대해 역사적·문리적·목적적 해석방법으로 검토하였다. 역사적 해석방법에 있어서는 도로교통법의 제정시부터 현재까지 관련 규정의 변화를 살펴보았고, 문리적 해석방법에서는 ‘교통안전과 위험방지의 필요성’ 및 ‘술에 취한 상태에서 운전하였다고 인정할만한 상당한 이유’에 대해 분석하였고, 목적적 해석방법에 대해서는 음주측정불응죄를 신설하고 그 처벌을 강화한 목적을 해석하였다. 이러한 해석방법을 바탕으로 새로운 유형의 음주측정불응행위가 음주측정불응죄에 해당하는지 검토한 결과, ‘운전석 창문 미개방행위’와 달리 ‘도주’행위는 음주측정불응죄에 해당한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그러나 보다 더 바람직한 방안은 이에 대해 입법화하는 것일 것이다. According to road traffic act police officer can administer breath testing, when he admits necessity for the safety and averting danger on the road or believes with the probable cause that the accused drives in a state of intoxication. At this time the accused must comply the test by police officer. Otherwise the accused is guilty of the offense of refusing field sobriety test. At the beginning this rules were not prescribed on the road traffic act and in 1980 the rules were prescribed for the first time. But the accused could not be punished in spite of his refusal of field sobriety test, when there was no necessity for the safety and averting danger on the road. therefore the probable cause was added in 1995. Recently new type of refusing field sobriety test, for example escape on the road before the test or no wind-down the car window on the spot, showed up. The supreme court found the accused not guilty, who has escaped on the road before the test. The reason was why there was suspect him of drunken driving, but no evidence. Therefore, the rules are examined in 3 ways, namely in historical analysis, in the point analysis of the rules and in the spirit analysis of the law. Especially, considering the legislative intent of offense of refusing field sobriety test is to ensure the safety and averting danger on the road and the test by criminal penalty, he will be guilty who escapes on the road or doesn’t wind down the car window. It is better to prescribe the new type of refusing field sobriety test in the law, than to interpret the rule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aradigm. Until now the supreme court has adjudicated in the eyes of criminal law. But such decisions are not enough to solve many new type of social problems. This is why the eyes of police law have to be applied.

      • KCI등재

        테러방지법상 정보수집대상인 ‘테러위험인물’에 대한 비판적 검토

        성홍재(Seong Hong Jae) 경희법학연구소 2018 경희법학 Vol.53 No.1

        2001년 16대 국회부터 발의된 소위 ‘테러방지법’은 2016년 19대 국회에서 비로소 통과되었다. 이 법률에 의하면, ‘테러위험인물’이란 ‘테러단체의 조직원이거나 테러단체 선전, 테러자금 모금·기부, 그 밖에 테러 예비·음모·선전·선동을 하였거나 하였다고 의심할 상당한 이유가 있는 사람’을 의미하는 반면, ‘테러를 실행·계획·준비하거나 테러에 참가할 목적으로 국적국이 아닌 국가의 테러단체에 가입하거나 가입하기 위하여 이동 또는 이동을 시도하는 내국인·외국인’을 ‘외국인테러전투원’으로 개념짓고 있다. 테러위험인물에 해당할 경우 국가정보원의 정보수집대상이 되는데, 외국인테러전투원으로 가입한 경우에는 테러위험인물에 해당하지만, 가입하고자 이동 또는 이동을 시도한 경우에는 테러위험인물에 해당하는지 명확하지 않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국적국이 아닌 국가의 테러단체에 가입하기 위해 이동 또는 이동을 시도한 행위’가 테러예비행위에 해당하는지, 미수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명확하지 않다. 테러예비행위는 테러위험인물에 포섭되나, 테러미수행위는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 그 결과 현행 테러방지법상 정보수집대상이 되는 테러위험인물에 대한 개념규정은 명확성의 원칙에 반한다는 비판이 제기될 수 있다. 그 비판에서 자유롭기 위해서는 관련 규정을 보다 더 정치하게 규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대한 대안적 모델로 유럽경찰을 제시하고자 한다. 유럽경찰은 테러 등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정보를 수집·저장·분석하는 활동을 하는데, 이때 수집되는 정보대상은 범죄 피의자·전과자 외에 증인, 피해자, 접촉자, 정보제공자 등 5개 유형으로 구분하여 처리한다. 따라서 정보수집대상이 되는 테러위험인물 개념조항을 보다 더 명확하게 규정하고, 정보수집대상의 유형도 유럽경찰처럼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하도록 현행 테러방지법 개정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럼으로써 현행 테러방지법 제정 목적에 부합할 뿐 아니라 국민들에게 예측가능성을 부여하여 법적 안정성을 기할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Korean anti-terrorism law was discussed several times from 2001, it was only in 2016 put into force. Under this law, however the term the so-called potential terrorist and the so-called foreign terrorist is unclear. According to the law, the so-called potential terrorist is defined as a member of the terrorist group who collect money for terrorism or who promote the donation. Or they are regarded as those who can first create the condi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terror and then make an immediate preparation for the punishable attempt. In contrast, the so-called foreign terrorist is defined as those who participate in the foreign terrorist group for the attempt of the preparation of terror or who set in motion the participation in the terrorist group. It is also unclear that the so-called foreign terrorist belongs to the so-called potential terrorist. As a result, this ambiguity contradicts the certainty requirement. To solve this kind of problem, it is necessary to consider carefully Europol’s information system as a model. The Europol treats the following 5 groups of person: suspects or defendants, the victim, the witness, the contact person, the informants. The Europol collects, analyzes and saves the information about this 5 groups of person. After having analysed the information, the Europol forward the necessary information to the police of the member of the European Union. The Korean Anti-Terror Law should be revised after the European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