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해상법상 정기용선계약에 관한 고찰

        성해연(Haiyan Cheng),정영석(YeongSeok Cheong)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法學硏究 Vol.24 No.2

        중국 해상법 제127조에서는 ‘선박소유자와 용선자 간의 권리ㆍ의무에 관한 규정은 오직 용선계약서 상에 약정되어 있지 않거나 다른 약정이 없는 경우에 한해 적용한다.’라고 규정되어 정기용선계약 및 기타의 항해용 선계약, 선체용선계약이 임의법규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렇듯 중국 해상법 제6장의 규정이 임의법규이고, 표준계약서식을 사용하여 계약을 체결하고, 표준계약서식에서는 대부분 영국법을 준거법으로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해운실무상으로는 중국 해상법이 적용될 여지가 거의 없어 보인다. 다만, 용선계약의 편제가 한국 상법과 다르다는 점에서 용선계약을 이해하는 중국 해상법의 입법태도가 우리나라나 영미법계와 다를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또 중국과의 교역량이 절대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우리나라로서는 향후 중국 해상법을 준거법으로 하거나 한중 항로에서 사용될 표준용 선계약서식 등의 개발 등에 대비하여 중국 해상법상의 용선계약에 대한 분석과 이해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정기용선계약에 관한 중국 해상법의 관련 규정의 내용을 분석하고, 특히 법적성질과 관련한 중국법학계의 해석론적 경향에 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정기용선계약상의 선박소유자·용선자의 권리와 의무에 관한 관련 규정 및 중국 해상법상의 개선방향에 관하여도 고찰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article 127of the China Maritime Law “The provisions concerning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the ship owner and the charterer in this Chapter shall apply only when there are no stipulations or no different stipulations in this regard in the charter party”,illustrate Time Charter, Voyage Charter Party and Bareboat Charter Party are all part of random legal norm. The Chapter six of the China Maritime Law stipulate to use the standard contract forms during signing the contract of random legal norm and use the English Law as applicable law. Thus there is little opportunity to use China Maritime Law during the practice of ocean shipping. The formation of Chinese charter party is different from Korean Commercial Law. There are also some differences in the understanding of legislation attitude between China and Korean or Common Law system countries. In pace with the rapid increase of trading volum between China and Korea, the China Maritime Law would be used as applicable law or a standard Charter Party forms would be exploited specially for the Korea China’s sea route in the future. In conclusion, the writer consider it is inessencial to analyse and comprehend the China Maritime Law. This article analyses some relative contents about Time Charter Party in the China Maritime Law, especially the interpret trend of Chinese legal science in legal nature. The writer also inspected the stipulations concerning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the shipowner and the charterer in Time Charter Party and proved the improved direction of the China Maritime Law.

      • KCI등재

        중국 해상법상 용선계약에 관한 고찰

        정영석(Cheong, Yeong-Seok),성해연(Cheng, Hai-Yan)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東亞法學 Vol.- No.70

        용선계약법의 원조라 할 수 있는 영국이 용선계약에 관한 성문법규를 가지고 있지 않는 판례법인 반면 중국은 중국 해상법이라는 성문법규에서 용선계약에 관한 명문의 규정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성문법규성, 서면계약성, 해사성을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임의법규성은 부합계약이 아닌 용선계약에서는 당연한 특징으로서 전 세계 모든 해상법이 그렇게 해석하고 있다고 본다. 다만, 항해용선계약은 중국 해상법 제4장 해상화물운송계약의 제7절에서 규정하고 있고, 동장의 제1절 일반규정에서 제4장의 규정을 모두 강행법규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해석상 문제가 될 수 있다. 입법상 개품운송계약과 구분하지 못한 오류가 아닌가 판단한다. 선체용선계약은 전형적인 임대차계약의 일종으로 「중국 해상법」은 선박소유자의 권리와 의무, 용선자의 권리와 의무에 대하여 비교적 상세한 규정을 두고 있는데, 대체로 Barecon 89의 내용을 수용하고 있어서「중국 해상법」 의 특징은 미미한 것으로 보인다. 정기용선계약은 Baltime, 항해용선계약은 Gencon의 내용을 수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시 「중국 해상법」의 특징은 찾아보기 어렵다. 다만, 해상법을 제정할 당시 영국법을 대폭 수용하려는 의도를 보였지만, 최초 제정 당시의 전문가들이 일본의 학계의 영향을 많이 받은 상태였기 때문에 영국과는 달리 정기용선계약과 선체용선계약을 선박임대차 계약이라는 관점에서, 항해용선계약은 운송계약이라는 관점에서 입법하게 된것으로 보인다. As of the end of the year 2013, Korea was ranked number one in the import of China and China was the biggest trade partner of Korea, which directly shows the economic development between the two countries. Most of the import or export goods are carried by sea transportation. In this sense charter parties are widely used as an important contract type for carriage of goods by sea. Therefore maritime law can be said to be a very important source of law in international transaction. Considering the volume of the trade and the shipping power of both countries, the Korean Commercial Code or the Chinese Maritime Code should be the governing law with respect to the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though English law is still chosen as the governing law in many contracts. Nevertheless we need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n the charter party law of China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when the Korean Commercial Code or the Chinese Maritime Code are more often chosen as the governing law of contracts. While English law, which can be said to be the origin of the charter party law, has a case law system and does not have a written code for the charter party law, China has a written code, i.e. the Chinese Maritime Code, which regulates charter party contracts. Thus, the Chinese Maritime Code can be said to have features for written codes and written contracts and it has the maritime procedure and courts under the Maritime Litigation Special Code. As a manifest feature of the Chinese Maritime law, disputes under the charter parties belong to the maritime litigation. A charter party law is a dispositive law, which is a natural feature of it. All the maritime laws of the world are interpreted in that way. A bare boat charter party is one of the typical leasing (or demise charter) contracts and the Chinese Maritime Code has relatively specific regulations for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the ship owners and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the charterers. It has adopted the contents of Barecon 89 in general and thus does not have its own features. For time charter parties, the Chinese Maritime Code has adopted the contents of Baltime and, for voyage charter parties, it has adopted Gencon. It does not have its own features for both time charterparty and voyage charterparty, too. Nevertheless, though the Chinese law makers tried to adopt English law widely, they were already influenced by the Japanese academia and they regulated time charter party and bareboat charter party under the concept of the vessel leasing contract and regulated voyage charter party under the concept of contract of carriage of go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