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딥러닝 기반의 기술가치평가와 평가변수 추정

        성태응,김민승,이찬호,최지혜,장용주,이정희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0

        For securing technology and business competences of companies that is the engine of domestic industrial growth, government-supported policy programs for the creation of commercialization results in various forms such as 『Technology Transaction Market Vitalization』 and 『Technology Finance-based R&D Commercialization Support』have been carried out since 2014. So far, various studies on technology valuation theories and evaluation variables have been formalized by experts from various fields, and have been utilized in the field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However, Their practicality has been questioned due to the existing constraint that valuation results are assessed lower than the expectation in the evaluation sector. Even considering that the evaluation results may differ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the corporate situation and investment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eference infrastructure to secure th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of the technology valuation resul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evaluation infrastructure built by each institution and examine whether the latest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d deep learning technologies are applicable for performing predictive simulation of technology values based on principal variables, and predicting sales estimates and qualitative evaluation scores in order to embed onto the technology valuation system. 국내 산업성장의 동력이 되는 기업의 기술 및 사업역량 확보를 위해, 2014년 이후 정부기관을 중심으로 『기술거래 시장 활성화』, 『기술금융 기반의 R&D 사업화지원』등 다양한 형태로 사업화 성과창출을 위한 정책 프로그램이 수행되어 왔다. 현재까지 기술가치평가 이론과 평가변수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각계 전문가들에 의해 수행되고 기술사업화 현업에서 이용되어 왔으나, 평가현장에서는 평가목적 상의 기대보다 기술가치평가 금액이 적게 산출되는 등의 한계점이 존재하여, 그 실용성에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또한 미래에 대한 정성적 추정에 기반한 현행 기술가치평가 프로세스는 평가결과에 대한 객관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데이터에 근거한 참조 인프라 구축이 필요한 시기에 이르렀다. 본 연구에서는 기관별로 구축된 평가인프라를 살펴보고, 최신의 인공신경망 및 딥러닝 기술을 기술가치평가 시스템에 탑재하기 위해 핵심변수 기반의 가치금액 추정 시뮬레이션과 매출액 및 정성평가점수의 예측을 위한 적용 가능성을 살펴본다.

      • KCI등재후보

        미디어 콘텐츠의 시장가치 산정을 위한 가치평가 프레임워크 개발

        성태응,박현우,Sung, Tae-Eung,Park, Hyun-Woo 서비스사이언스학회 2016 서비스연구 Vol.6 No.3

        20세기 후반 이후 영상, 음성, 부호, 문자 등의 디지털 데이터에 IT 기술을 융합 적용하여 디지털포맷으로 상품화된 미디어 콘텐츠의 시장가치를 높이려는 많은 노력이 있어 왔다. 그렇다면 미디어에서 언급하는 드라마 '태양의 후예' 혹은 애니메이션 영화 '겨울왕국'에 대한 시장가치는 어떠한 기준과 방법론으로 산출할 수 있을까? 현재까지 미디어 콘텐츠 가치평가 프레임워크나 시스템 개발 등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에서, 본 논문에서는 영화, 온라인게임, 방송광고, 애니메이션 등 4가지 미디어 유형에 대한 콘텐츠 가치평가 프레임워크를 정형화하고 제시함으로써, 향후 콘텐츠 이전거래, 투자적정성 검토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한 실용적인 가치평가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여기서는 미디어 콘텐츠 유형별로 제작(개발)비용을 포함한 현금흐름(cash flow: C.F.)의 산출방안을 제시하고, 이와 연관된 기타 가치평가 핵심변수요인(경제적 수명, 할인율, 콘텐츠 기여도 및 로열티율)에 관한 참조정보 D/B를 제시하여, 기존 무형자산 평가시에 적용되었던 수익접근법 및 로열티공제법 방식의 가치평가 개념을 활용한 미디어 콘텐츠 가치평가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제안한다. Since the late 20th century, there has been much effort to improve the market value of media contents which are commercialized in a digital format, by fusing digital data of video, audio, numerals, characters with IT technology together. Then by what criteria and methodologies could the market value for the drama "Sons of the Sun" or the animated film 'Frozen', often referred to in the meida, be estimated? In the circumstances there has been little or no research on the valuation framework of media contents and the status of their valuation system development to date, we propose a practical valuation models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contents trading, review of investment adequacy, etc., by formalizing and presenting a contents valuation framework for the four types of media of movies, online games, and broadcasting commercials, and animations. Therefore, we develope computational methods of cash flows which includes production cost by media content types, provide reference databases associated with key variables of valuation (economic life cycle, discount rates, contents contribution and royalty rates), and finally propose the valuation framework of media contents based on both income approach and relief-from-royalty method which has been applied to valuation of intangible assets so far.

      • 융합기술 가치평가 모형의 개발에 관한 연구

        성태응,전승표,박현우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5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더불어 ICT 기계, ICT 금융, ICT 의료, ICT 나노 등과 같이 기술분야별 영역의 장벽이 허물어지고, 학제간 연구(Interdisplinary Research)가 일상화됨에 따라 무형자산의 가치평가시에도 융합기술의 가치평가 모형에 대한 니즈가 증대되고 있다. 특히, 기술의 매매, 현물출자, 기술금융(투자유치, 담보 · 보증), 인수 · 합병, 청산 · 소송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기술가치평가 모형은 융합기술의 입력변수 결정에 대한 체계적인 로직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실제 거래사례가 존재할 경우, 국제가치평가기준(IVS)에 의하면 시장접근법이 우선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고 권고된다. 그러나 융합기술의 이전거래를 비롯한 평가 활용사례를 수집하기도 어렵고 그렇다할 평가모델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융합기술에 대한 기술 및 시장의 사업화 환경을 고려하는 경우 소득접근법 기반의 평가기법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데, 기술수명, 매출액추정, 할인율, 산업기술요소 등의 핵심변수 결정에 관한 정형화된 로직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본 고에서 융합기술 사례에 대해 실용적으로 활용가능한 변수추정 로직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술수명의 경우, 복수 개의 국제특허분류(IPC)별 피인용특허수에 따라 가중 적용하여 수명추정을 위한 기준값을 정하며, 사업화소요기간 및 비용의 경우 평가대상 융합기술이 속하는 업종별 메타데이터값을 가중평균하여 현금흐름 추정기간을 최종 도출할 수 있다. 소득접근법에서의 매출추정, 할인율, 산업기술요소 변수 추정 이외에도 로열티공제법 적용을 위한 로열티율 결정에 있어서, 융합기술이 응용가능한 산업(업종)별 매출액 기반으로 가중 적용하여 각 변수값을 산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융합기술 가치평가 모형은 향후 기술의 융복합화 특성을 반영하여 적정 가치를 산출하는 평가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실물옵션 기반 기술가치 평가모델 정교화와 변동성 연구

        성태응,이종택,김병훈,전승표,박현우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5

        최근 들어 기술벤처기업에 대한 투자가 증가하고, 이를 위한 기술신용평가의 역할이 증대하였다. 그러나 금융권에서 바라보는 기술신용평가의 경우, 해당 기업의 신용등급이나 기술(력) 등급평가에 초점을 두어, 대상기술의 사업화 및 수익성 관점을 체계적으로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벤처캐피털(VC)이나 엔젤투자자를 비롯한 금융권에서 대상기술의 수익성 정보를 참조하거나 기술벤처기업 설립시 기술지분을 참고하는 등, 기존 기술이전거래 협상참조용이나 담보 · 보증용에 널리 이용되던 기술가치평가의 활용범위가 급격히 확대되고 있다. 제조 · 서비스 분야의 일반 기술 뿐만이 아니라, 바이오 · 제약 · 의료 분야 기술에서도 미래 투입되어야 하는 사업화 소요기간 및 비용을 고려하여 기술가치를 산정해야 할 때가 있다. 기존의 현금흐름할인법(DCF법)이 연속된 투자에 대한 고려를 못하거나 기술적용 제품의 상용화 투입비용에 대한 확률적인 속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등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기술과 투자의 가치는 기회가치로 보고 자원배분을 위한 의사결정 정보를 감안해야 하므로, 실물옵션의 개념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진다. 흔히 기업가치를 평가할 때 주가의 변동성(volatility) 개념을 도입하여 전일종가 대비 익일시가의 분산값을 활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개념을 기술가치평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주가의 연속성(상대적 미세한 변화)’ 및 ‘양(+)의 조건’을 고려해야 하는데, 실제 기술가치평가 상의 현금흐름은 사업초기년도 음(-)의 값이 나타나거나 2~3년 내외의 짧은 수익예상기간 하에서는 주가와 같은 변동성을 도출하는데 무리가 있다. 따라서 많은 문헌에서 연구된 바와 같이, 실물옵션 기반의 기술가치 산정을 위한 블랙-숄즈 모형에서 변동성과 기초자산가치, 그리고 사업화비용 간의 관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아울러 옵션가격결정모형(Option Pricing Model)에서 불확실성을 반영한 기초자산의 현재가치와 사업화비용의 현재가치분이 특정 임계조건 하에서 ‘옵션행사 포기(NAT; no action taken)’영역으로 구분되는 지를 수학적으로 도출하고 관찰변수(입력값)에 따른 옵션가치 산출표를 개발하여 제시한다.

      • KCI등재후보

        Elaboration of Real Options Model and the Adequacy of Volatility

        성태응,박현우 아시아기술혁신학회 2017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Vol.6 No.2

        When evaluating the economic value of technology or business project, we need to consider the period and cost for commercialization. Since the discounted cash flow (DCF) method has limitations in that it can not consider consecutive investment or does not reflect the probabilistic property of commercialization cost, we often take it desirable to apply the concept of real options with key metrics of underlying asset value, commercialization cost, and volatility, while regarding the value of technology and investment as the opportunity value. We at this moment provide more elaborated real options model with the effective region of volatility, which reflects the uncertainty in the option pricing model (OPM).

      • 인공지능과 기술가치평가

        성태응 한국통신학회 2021 정보와 통신 Vol.38 No.5

        2014년 이후 현재까지, 『기술거래 시장 활성화』, 『기술금융 기반의 R&D 사업화지원』 등 다양한 형태로 기업의 사업화 성공 및 성과창출을 위한 정부지원 정책 프로그램이 수행되어 왔다. 그 이전부터 기술가치평가 방법론과 평가변수에 관한 다양한 이론들은 학계 · 연구계 전문가들에 의해 정형화되고 기술사업화 현장 실무에 적용되어 왔으나, 평가현장에서는 평가목적 상의 기대보다 기술가치평가 금액이 적게 산출되는 등의 문제에 대응가능한 참조 평가인프라가 잘 구축되지 않았었다. 기업상황, 투자환경 등 고려요인에 따라 평가결과가 바뀔 수 있음을 고려한다 하더라도, 기술가치평가 결과의 객관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한 참조 데이터 체계가 필요한 시기에 있다. 본고에서는 ICT기술을 아우르는 평가 가능한 전 분야 기술가치평가 확산을 위해, 각 부처별 기술가치평가 지원사업 현황과 인공지능(기계학습, 딥러닝)을 활용한 기술가치평가 방법론에 대해 살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