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WRF-Fire 산불 연료·지형자료 해상도와 지상바람의 연소면적 모의민감도 및 오차 분석연구

        성지혜(Ji-Hye Seong),한상옥(Sang-Ok Han),정종혁(Jong-Hyeok Jeong),김기훈(Ki-Hoon Kim) 한국기상학회 2013 대기 Vol.23 No.4

        This study conducted WRF-Fire simulations in order to investigate sensitivities of the resolution of fire fuel and terrain data sets, and the surface wind to simulated fire area. The sensitivity simulations were consisted of 8 different WRF-Fire runs, each of which used different combination of data sets of fire fuel and terrain with different resolution. From the results it was turned out that the surface wind was most sensitive. The next was fire fuel and then fire terrain. Unfortunately, every run produced too much fire area. In other words no simulations succeeded in simulating such proper fire area so as for the WRF-Fire to be used realistically. It was verified that the errors of fire area from each runs were contributed by 41%, 53%, and 6% from surface wind, fire fuel, and fire terrain, respectively.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selection of Anderson fuel category in the area of interest seemed to be very critical in the performance of WRF-Fire simulations.

      • KCI등재

        교육문법으로서 독일어 동사 보충어에 관한 연구

        성지혜 ( Sung Ji-hye ) 한국독일어문학회 2022 독일어문학 Vol.98 No.-

        결합가 문법은 문장 내 문장성분의 통사적 기능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이 문법적으로 올바른 문장을 만드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외국어 교수·학습 분야에서 주목을 받아왔다. 학습자가 독일어 어휘, 특히 동사를 학습하는 과정만봐도 결합가 문법의 중요성은 쉽게 드러난다. 이에 본고는 DaF 교재에서 4격 보충어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교육문법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분석교재는 공통적으로 4격 보충어를 언어 사실에 충실하게 기술하고 있으나, 언어대조의 관점에서 기술하고 있지는 않았다. 또한 정도의 차이는 있어도 4격 보충어를 간단명료하게기술하고, 자연스럽고 다양한 텍스트를 통해서 도입하면서 구체적이고 시각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학습자의 인지를 돕고자 했다. 특히 읽기 및 듣기 텍스트를 통해서 발견한 문법 현상, 즉 4 격 보충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 4격 보충어의 형태 등을 학습자 스스로 정리할 수 있도록 한점, 교재의 부록에 동사의 보충어 개념을 상징적 기호를 사용하여 다시 한번 제시한 점은 독일어 문법 교수·학습 과정에 참고할 만하다. 한편, 실생활과 관련이 없는 외국어 학습을 위해서인위적으로 고안된 텍스트는 지양해야 할 것이다. Die Valenzgrammatik hat im Bereich des Fremdsprachenlehrens und -lernens Aufmerksamkeit erregt, da sie es uns nicht nur ermöglicht, die syntaktische Funktion von Satzkomponenten in einem Satz genau zu erfassen, sondern auch eine positive Rolle dabei spielen kann, Lernenden zu helfen, grammatikalisch korrekte Sätze zu erstellen. Die Bedeutung der Valenzgrammatik wird leicht deutlich, wenn man sich den Prozess ansieht, in dem Lernende deutsche Vokabeln lernen, insbesondere Verben. In dieser Studie wird daher untersucht, wie Verbergänzungen, insbesondere Objektergänzungen, in Lehrbüchern des Deutschen als Fremdsprache gehandhabt werden. Lehrbücher beschreiben üblicherweise Objektergänzungen getreu sprachlichen Tatsachen, jedoch nicht vom Standpunkt des sprachlichen Kontrasts. Obwohl es einen graduellen Unterschied gibt, werden die Objektergänzungen einfach und klar beschrieben und durch natürliche und vielfältige Texte eingeführt, und es wurden konkrete und visuelle Mittel verwendet, um die Wahrnehmung des Lernenden zu unterstützen. Insbesondere die Tatsache, dass Lernende die durch Lese- und Hörtexten entdeckten grammatikalischen Phänomene, nämlich Verben, die Objektergänzungen erfordern, und die Form Objektergänzungen organisieren können, ist nützlich für den Deutschunterricht. Dass der Begriff ‘Verbergänzungen’ im Anhang eines Lehrbuchs noch einmal durch Symbole dargestellt wird, ist auch erwähnenswert.

      • KCI등재

        남성들의 돌봄 참여 실태와 남성성의 변화 양상 - 대구지역 기혼남성들의 가사·육아를 중심으로

        성지혜 ( Sung Ji-hye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8 여성학연구 Vol.28 No.2

        최근 일생활균형은 사회적 이슈이자 정책적 화두이다. 일생활균형은 일 가정 여가가 균형을 이룬 삶을 의미하는데, 이를 위해 우선 돌봄의 불평등을 해결해야 하고, 일상생활의 젠더의식을 높여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대구는 타 지역에 비해 보수적이고 가부장적인 성향이 강하게 남아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가부장적 가족가치관이 지배적일뿐더러 성 역할 고정관념이 뚜렷하기 때문이다. 이는 남성들의 돌봄 참여가 상대적으로 낮고, 불평등한 돌봄이 여전하다는 것을 단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하지만 보수적이고 가부장적이며 권위적인 전통적 남성성과 동일시하기를 거부하는 새로운 남성들이 등장하고 있어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이 연구는 지역 남성성의 변화에 주목하면서, 전통적 남성성과의 단절을 통해 새로운 남성으로 호명 받고자 하는 남성들의 인식 변화와 돌봄 참여 실태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평등한 돌봄을 실천하려는 새로운 남성들이 강한 가부장적 남성성과 충돌하면서 남자답지 못한 남자로 낙인찍혀 위축되는가 하면, 강력한 가부장적 남성성으로 회귀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남성성의 변화는 필연적인 시대흐름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지역의 보수적인 이미지 변화를 위해서도 남성들의 빠른 편승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Work-life balance is a social issue and a political topic recently. It means a balanced life between work, family life and leisure time. In order to do it, gender inequality of caring have to be solved and gender consciousness in daily life ought to be raised. Daegu is estimated for having a severely conservative and patriarchal propensity beside other area. The family value of patriarchy is on a firm basis and sex role stereotype still remains strong. It means there has not much caring participation in men and unequal caring is as before. However, a new masculinity that rejects identification with traditional one as conservative, patriarchal and authoritarian is emerging in Daegu as well. The study takes note of changing masculinities in this area and observes the actual conditions of caring participation and changes in perception of men who want to be named new man by breaking with traditional manhood. The research shows that the new men intending to practice an equal caring are daunted by a stigma attached to be unmanly or return to a severely patriarchal masculinity over conflicting with traditional manhood. Nevertheless, it is essential to changes into the new masculinity and jumping on the bandwagon quickly to transform of images in Daegu.

      • KCI등재

        독일어 2격 부가어의 한국어 번역형태 분석 - 외국어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

        성지혜 ( Sung Ji-hye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8 독일언어문학 Vol.0 No.81

        본 논문의 목적은 독일어 명사구문에서 흔히 나타나는 2격 부가어의 유형을 살펴보고, 국내 외국어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독일어 2격 부가어 번역형태를 분석하는 것이다. 핵명사와 2격 부가어는 다양한 의미적 관계를 가지며, 명사구문 내 복잡한 통사적 구조는 중의성을 야기하기도 한다. 따라서 독일어 교수 학습 과정에서 이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할 필요가 있다. 학생들은 2격 부가어가 포함된 독일어 문장 20개를 한국어로 번역하였다. 독일어 문장은 최근 5년간 수능독일어Ⅰ에 출제된 독해 지문에서 발췌하였다. 번역형태는 학생들이 핵명사와 2격 부가어의 의미적 관계를 바탕으로 정확하고 자연스럽게 번역하였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핵명사와 2격 부가어 사이에 조사 ‘-의’를 사용한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서 조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조사 ‘-에서’를 사용한 경우, 의존명사 ‘-중’을 사용한 경우, 조사 ‘-의로’와 ‘-의’를 중첩하여 사용한 경우, ‘-에 있는’, ‘-를 위한’과 같은 표현을 사용한 경우, 문장으로 풀어서 쓴 경우 순으로 나타났다. 번역은 단순히 단어 대 단어의 치환작업이 아니다. 학습자는 핵명사와 2격 부가어의 의미적 관계를 가능한 정확하고 자연스럽게 나태내기 위해서 전략적 선택 능력을 키워야 한다. 예를 들면,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는 다양한 조사를 사용하거나 문장으로 풀어서 번역하는 것이 정확한 의미전달에 도움이 될 것이다. Das Ziel der vorliegenden Arbeit liegt darin, Typen der deutschen Genitivattribute zu forschen und die Übersetzungsformen der deutschen Genetivattribute ins Koreanische zu analysieren. Das Genitivattribut druckt verschiedene Beziehungen zum ubergeordeneten Nomen aus und von Zeit zu Zeit verursacht die Dọppeldeutigkeit. Darum brauchen wir das Genetivattribut in der didaktische Methode zu enthalten. Die Teilnehmer als Schuler des am 3. Jahrgang an der Framdsprachen Oberschule ubersetzen 20 deutsche Sätze ins Koreanische, die die Genetivattribute haben. Die Sätze wurde im Leseverständnis des Pruufungsbereichs ‘Deutsch I’ im koreanischen Abitur ausgezogen. Die Schuler haben Partikel ‘-의’ zwischen dem ubergeordeneten Nomen und Genitivattribut ubermächtig viel benutzt. Danach gab es die Schuler, die keine Partikel ‘에서’, abhängigen Substantiv ‘-중’, aufgeschichtete Partikel ‘의로의’ benutzt haben. Außerdem haben die Schuler die Ausdrucke wie ‘~에 있는’ und ‘~를 위한’ benutzt. Wenige Schuler haben den ubergeordeneten Nomen und das Genitivattribut im Satz umschrieben. Übersetzung ist nur keine Ersetzung der Wörter. Die Schuler sollten die strategische Fähigkeit zur Auswahl haben, um verschiedene Beziehungen zwischen dem ubergeordeneten Nomen und Genitivattribut genau und naturlich auszudrucken. Dazu ist es nutzlich, die verschiedene grammatische Partikeln zwischen dem ubergeordeneten Nomen und Genitivattributzu benutzen oder den ubergeordeneten Nomen und das Genitivattribut im Satz zu umschreiben.

      • KCI등재

        수능독일어와 SAT 독일어 문항 비교분석

        성지혜 ( Sung Ji-hye ),허남영 ( Heo Nam-young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교사교육연구 Vol.57 No.3

        본 논문에서는 수능독일어와 SAT 독일어 문항을 비교·분석하여 수능독일어 문항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SAT는 미국의 대학입학 자격시험으로서 수능의 틀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주었으며, 일반적인 사고력 측정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평가 목표가 수능과 닮아 있다. 이에 본 연구가 수능독일어를 비롯한 국내 독일어 능력평가 문항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데 참고할 만하다고 판단하였다. 수능은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게 개별 교과의 특성을 바탕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춘 문항의 출제를 지향한다. 하지만 매년 정해진 교과에 신뢰도와 타당도는 물론이거니와 변별성까지 갖는 문항을 출제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학생들의 실수를 유발하거나 평가 목표와는 다소 거리가 있어 보이는 요소에 초점이 맞춰진 문항들이 출제되고 있다는 것은 이러한 상황을 방증한다. 그리고 이러한 현실이 현재 독일어와 함께 선택교과로 분류된 제2외국어 교과목들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은 논의의 필요성을 더한다. 교수·학습은 교육과정에 따라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초적인 의사소통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데, 학생들이 수능의 출제 경향에 민감하게 반응하게 되면 수업도 수능 문항의 유형을 배제한 채 진행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수능독일어와 SAT 독일어 문항을 비교·분석하여 그 결과를 수능독일어 제고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두 시험의 문항을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두 시험 모두 수험생들의 대학수학능력을 평가한다는 취지에서 그 방향이 같았지만 형식 및 내용적 측면에서는 몇 가지 차이점을 보였다. 특히 SAT에서 듣기 문항 출제를 통한 통합적 언어능력 평가, 단순하고 반복적인 문형을 활용한 문항 제작, 다양한 매체의 활용 등은 현 수능독일어 문항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발전 방안을 논의하는 데 참고가 되리라 본다. This study aimed to seek ways to improve items on the German I test on the Suneung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esting items on the German I test on the Suneung and the Gernam test on the SAT. The SAT has a strong influence on forming the framework of the Suneung and also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it in the way of aiming at measuring the general ability to think. Therefore, specific items on the SAT deserves to be identified to recognize the limitations of the Suneung and come up with measures for improvement. The Suneung aims to make items which have reliability and validity based on content and level based on the high school curriculum. However, it ist not easy to make items every year in the fixed subject, having not only reliability and validity, but also discrimination. The fact that some items focused on causing students to make mistakes or docking points which are far away from evaluation objectives shows this situation. An in-depth discussion is needed now, because this situation can influence the reaction of students towards second foreign language subjects including German. The teaching and learning aim is to improve basic communicative ability for daily living according to the curriculum, but lesson plans cannot help considering the type of items on the Suneung because students are sensitive to tendency of items in the Suneung. In this respect,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German I test on the Suneung and the German test on the SAT and provides possibilities for improvement on the German I test on the Suneung. When analysing items by type, both are the same in evaluating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of students, but have several differences in form and content. Expecially, evaluation of integrated language ability through listening and item construction using simple and repetitive sentence structure on the SAT deserves more attention to discuss problems development with items on the Suneung.

      • KCI등재

        침지액에 산화칼슘 첨가가 두부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성지혜 ( Jee Hye Sung ),김로사 ( Ro Sa Kim ),지혜 ( Ji Hye Moon ),김윤숙 ( Yoon Sook Kim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2 산업 식품공학 Vol.16 No.2

        The effects of activated calcium (AC) addition (0.00, 0.05, 0.10, and 0.15% of tofu-immersion solutions) on the quality and shelf life of tofu were investigated. The pH values of tofu with AC were determined and all initial pH values were decreased during storage at 10oC. The turbidity of the tofu made with AC was lower than that of the tofu soaked in distilled water during storage at 10oC for 9 days. In sensory evaluation, the tofu soaked in water with AC had a day longer shelf-life than the tofu soaked in distilled water. The sensory evaluation of tofu with AC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not only color and overall acceptability but also textural changes (chewiness and hardness) during the storage periods. The aerobic bacterial, yeast, and mold counts in all treatments were increased during storage, and the addition of 0.15% AC showed the least change, suggesting that the AC had good antimicrobial activity.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use of soaking water with AC could be very useful to extend the shelf life of tofu.

      • KCI등재

        여성친화도시의 돌봄 실천에 대한 여성주의 접근

        성지혜(Sung, Ji-Hye)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6 젠더와 문화 Vol.9 No.1

        돌봄은 시대와 장소를 막론하고 지속적으로 성별화된 시선으로 바라봐졌다. 아직도 여성이 돌봄에 더 적합하고 자연스러우며, 남자다운 것은 돌봄을 하지 않거나 적어도 돌봄을 잘하지 못한다는 이미지는 여전하다. 여성이 오래전부터 사적영역을 넘어 공적영역을 포함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돌봄에 대한 성별 이데올로기가 끈질기게 작동하기 때문이다. 이중노동에 시달리는 여성의 상황을 방치하는 것은 불평등을 옹호하는 것이며, 우리 사회가 여성에게 이중의 책임을 전가시키는 비민주적인 행위임이 분명하다. 최근 들어 돌봄의 불평등을 해소시키고 양성평등 실현을 목표로 하는 여성친화도시가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여성친화도시의 돌봄은 여성, 남성, 국가가 ‘함께 돌봄’을 실천함으로써 책임과 권리를 공유하고, 돌봄의 가치를 확산시키고자 한다. 이는 여성주의가 돌봄에 대한 성 역할 구분을 성 차별 이론의 핵심으로 보고,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하는 문제로 돌봄의 평등을 주장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함께 돌봄’의 실천은 돌봄의 패러다임 전환을 통해 문명적 탈바꿈을 요구하고 있다. 돌봄의 변화와 혁명의 갈림길에서 ‘함께 돌봄’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여성주의 입장에서 여성친화도시를 조명해 보았다. Care is acknowledged to have a gender perspective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Women appear to be better suited for the role of providing care. Caring practices are therefore a matter of gender ideology and do not match with masculinity, showing that gender ideology still operates in both private and public sectors. Women are vested in the public sector, having left the private sector long ago. However, care is the responsibility of women, so that most women suffer from the dual responsibility of work and family life. Such inequality of gender roles is undemocratic since women must combine both family life and work life. The concept of a Women-Friendly City, therefore,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means of realizating gender equality. The Women-Friendly City shares the responsibilities of care over women, men and nations. This is addresses the issue of gender roles that is at the heart of sexist attitudes, whereas the feminist movement aims to solve gender inequality. The motto ‘caring with’ heralds a civilizational paradigm shift in the approach to care. This study describes the Women-Friendly City from the feminist perspective, promoting the idea of ‘caring with’ as a revolutionary change in the concept of caring.

      • KCI등재후보

        배아줄기세표의 인슐린 분비세포로의 유도 분화에 대한 연구

        성지혜,임천규,최혜원,이형송,신현상,전진현,윤현수,궁미경,Sung, Ji-Hye,Lim, Chun-Kyu,Choi, Hye-Won,Lee, Hyoung-Song,Shin, Hyeon-Sang,Jun, Jin-Hyun,Yoon, Hyun-Soo,Koong, Mi-Kyoung 대한생식의학회 2004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1 No.4

        Objective: Embryonic stem (ES) cells could be differentiated into the specific cell types by alternation of culture condition and modification of gene express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differentiation protocol for mouse and human ES cells to insulin secreting cells. Methods: Undifferentiated mouse (JH-I) and human (Miz-hESI) ES cells were cultured on STO feeder layer, and embryoid bodies (EBs) were formed by suspension culture. For the differentiation, EBs were cultured by sequential system with three stage protocol. The differentiating ES cells were collected and marker gene expressions were analyzed by seIni-quantitative RT-PCR in each stage. Amount of secreted insulin levels in culture media of human ES cells were measured by human insulin specific RIA kit. Results: During the differentiation process of human ES cells, GATA-4, a-fetoprotein, glucose transporter-2 and Ngn-3 expression were increased whereas OctA was decreased progressively. Insulin and albuInin mRNAs were expressed from stage IT in mouse ES cells and from stage III in human ES cells. We detected 3.0~7.9 IlU/rnl secretion of insulin from differentiated human ES cells by in vitro culture for 36 days. Conclusion: The sequential culture system could induce the differentiation of mouse and human ES cells into insulin secreting cell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differentiation of human ES cells into insulin secreting cells by in vitro culture with serum and insulin free medium.

      • KCI등재후보

        영어의 간섭현상 분석을 통한 독일어 발음 및 어휘 교육

        성지혜 ( Ji Hye Sung ),김용경 ( Yong Kyung Kim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3 교사교육연구 Vol.52 No.3

        한 사람이 모국어가 아닌 여러 언어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은 더 이상 놀라운 일이 아니다. 한국의 경우 초등학교에서 영어를 의무적으로 학습하며, 중등학교에서 영어 학습과 더불어 제3언어를 선택적으로 학습한다. 따라서 한국의 외국어 학습자는 기본적으로 최소한 세 가지 언어, 즉 한국어와 영어, 제3언어를 배우는 다중언어 학습자라 할 수 있다. 최근 기존의 이중 언어 및 제2언어 학습과는 구별되는 다중언어 및 제3언어 학습의 특수성을 고려한 새로운 모형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 모형들은 학습자의 연령, 학습 동기, 메타언어적 지식, 학습 전략, 학습외부적 요인, 언어 간 전이 등 양적으로 뿐만 아니라 질적으로 이중 언어 및 제2언어 학습과 구별된다. 본 논문에서는 언어 간 전이, 그 중에서도 제2언어 학습 경험과 지식이 제3언어 학습에 미치는 간섭현상에 주목하여 학습자의 영어 학습 경험과 영어 지식이 독일어 학습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발음과 어휘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통시적 관점에서 독일어와 영어는 공통조어(인구어족)에서 파생된 언어들로 유사한 점이 많은 반면에, 상이한 역사적 변천과정으로 인해 차이점 또한 존재한다. 특히, 두 언어 간 차이점은 한국인 독일어 학습자들이 쉽게 오류를 범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독일어 발음 및 어휘 학습에서 영어의 간섭현상을 분석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작업은 향후 영어 학습 후 제3언어로서 독일어 교수ㆍ학습법 구상을 위한 초석으로서 의미가 있겠다. People use many languages in addition to their mother tongues. In Korea, students learn English obligatorily in an elementary school and also learn a third language with English. Most Korean students are multilingual learners, who learn at least three languages(Korean, English, the third language such as Japanese, Chinese, French and German). Recently new models have been suggested, which reflect special characteristics of multilingual and the third language learning. These models distinguish existing bilingual models from second language learning ones qualitatively(age, motivation, metalinguistic knowledge, learning strategy of learners, interlanguage transfer and so on) as well as quantitative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negative effects of English(L2) learning experiences and knowledge on German(L3) learning, focused on the interlingual transfer(German as Foreign language after English). Korean students usually have difficulty in pronouncing German which has the same spelling as English, but different phonetic values. They also have difficulty in learning German vocabulary which has similar forms to English vocabulary, but different meanings. From the diachronic view, German and English are derived from Proto-Indo-European language. While there are many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languages, there are also many differences because of different historical transition. Above al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cause Korean German learners to make mistakes. Therefore, analyzing negative effects of English on German learning systematically is meaningful for planning to teach and learn German as the third language after English.

      • KCI등재

        교육문법으로서 독일어 시제괄호(완료형)에 관한 연구

        성지혜 ( Sung Ji-hye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7 교사교육연구 Vol.56 No.1

        영어 학습 후 제3언어로 독일어를 학습하는 한국인 학습자가 독일어에서 문장구성 요소들이 분리되어 나타나는 현상을 이해하고 자유자재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의식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한국인 학습자는 영어를 비롯한 여러 유럽언어들과 달리 원거리 구조를 취하는 독일어 동사복합체의 어순규칙을 익히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학습상의 난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현행 고등학교 독일어 교과서에 나타난 시제괄호(완료형)의 제시형태를 분석하고, 교과서 집필을 위한 새로운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분석기준으로 투어마이어(Thurmair)가 제시한 교육문법의 원칙을 활용하였다.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시제괄호(완료형)이 비교적 간단명료하게 기술되었으며, 눈에 띄는 컬러와 도식을 사용하여 학습자가 이해하기 쉽게 제시 되었다. 하지만 언어대조의 관점에서 기술한 흔적은 찾아볼 수 없었다. 물론 한 언어를 다른 언어와 대조해보는 것은 교과서의 특성상 실제 수업에서 교사의 추가적인 설명으로 대체할 수도 있으나, 교과서 집필 내용에 추가하는 새로운 시도를 해볼 수 있다. 즉 독일어 교과서 집필에 독일어와 동일한 어족에 속해 유형론적으로 유사한 영어를 잘 활용한다면, 영어지식으로 인한 간섭현상을 최소화하고 영어를 학습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외국어 학습에 대한 부담감을 이겨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중요한 문제는 독일어 교과서 집필에 학습자의 영어지식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관한 것이다. 학습자의 영어 지식이 독일어 학습에 무조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후속 연구로 학습자의 영어 지식 가운데 독일어 학습에 긍정적 전이를 일으킬만한 내용을 선별하여 효과적으로 기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Many Korean students, who learn German as foreign language after English,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various aspects of German sentence construction, specifically, the parentheses-structure in which the constituents of a sentence appear separately.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in their German learning, the presentation form of present perfect tense parentheses in current high school textbooks was analyzed in this study. With this, several suggestions for writing textbooks were identified. For the standard of analysis, the principles of pedagogical grammar by Thurmair was used in this study.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resent perfect tense parentheses descriptions in the textbooks were not only short and clear, but also easily understandable by using a striking color and chart. However, any remarks commenting on the contrastive linguistics aspect of the target language could not be found. German textbooks designed for Korean students could be improved by using a comparison to English because English and German are cognate languages and then typologically very similar. This addition to textbooks would help Korean students endure the emotional hardship of learning one more foreign language as they could rely on their previous English language learning experiences. However, Korean students` knowledge of English does not always have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German and therefore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specific English linguistic content which can lead to a positive transference in terms of effectively describing German sentence constr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