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취약계층 아동의 비만예방을 위한 비만관련요인 -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

        박선희(Sun-Hee Park),최은숙(Eun-Suk Choi),이선희(Sun-Hee Lee),성정혜(Jeong-Hye Seo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7

        본 연구에서는 취약계층 아동의 비만 형성에 대한 요인으로 식이 자기효능감,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의 관련성을 확인하므로 향후 취약계층 아동비만을 관리하는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K도 A시에 소재한 11개의 지역아동센터 방문하는 아동 중 취약계층 아동으로 본 연구에 참여하고자 부모와 아동이 함께 서면 동의한 대상자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ver.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취약계층 아동의 비만요인으로는 식이자기효능감, 부모의 양육태도, 가족형태 · 편부모가정, 부모비만여부 · 한 부모비만이었고, 취약계측 아동의 이들 변수의 비만요인에 대한 설명력은 32%였다. 따라서 취약계층 아동의 비만형성을 예방하기 위해 아동의 식이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겠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향후 취약계층 아동들이 가지는 환경적요인 즉 부모양육태도, 가족형태 등을 고려한 아동과 부모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간호중재전략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self-efficacy, physical self-efficacy, and parental rearing attitudes considering obese children from the vulnerable class that utilized Community Child Care (CCC) centers. Methods In this study, sampling was conducted and 126 children from the vulnerable class who visited 11 regional children"s centers located in A city, K province were chose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test and ANOVA using the SPSS Window 22.0.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determin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besity factors of vulnerable children included dietary efficacy, parents" parenting attitude, family type, single-parent family, parental obesity. Parental obesity held the greatest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as 32% of the vulnerable children had at least one obese parent.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ursing intervention strategy in which children and parents can participate in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parental attitude and family type of vulnerable children visiting Community Child Care (CCC) center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