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제전환기 러시아의 신자유주의와 경제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성원용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1999 러시아연구 Vol.9 No.2

        Глобализация и неолиберализм как ее идеология создали неравновесное развитие между всеми странами. И в отдельно каждой стране возникают сосредоточение богатства и углубление нищеты в силу неолиберализма. Неолиберализм сам по себе является идеологией, которая полна противоречиями и самоотрицаниями, как показывает последнее совытие финансового кризиса глобального масштаба. В связи с глобализацией можно сказать условно, что все страны неизбежно должны следовать неолиберальным стандартам и правилам под влиянием гобальной рыночной системы. Но главное состоит в том, как принимать этот вынужденный порядок, если бы не обойдется без вхождения в мировой экономический порядок. В целом на Западе приняли неолиберализм как рамку определения политики для того, чтобы внобь определить роли государсвтва в экономике и распространить рыночные силы на всю систему. Но здесь в России приняли неолиберализм как нечто иное : 'больше свободы, больше богатства.' Неолибералисты выразили свою идеологическую радикальность построить рыночную экономику за кароткое время, не глубоко осмысливая экономическую культуру России, ее традицию, экономические связи между бывшими союзными республиками, и ценностно-смысловые особенности русского народа. Вместе с тем они радикально принимали монетаризм в качестве экономической идеологии, представляющей либерализацию и дерегулирование, ожидая рыночного автоматизма, который практиески не существует и не функционирует в рынке несовершенной конкуренции. Итак, основываясь на рынке и конкуренции в чистом виде, неолибералисты в России одним духом попытались отойти от административно-командной системы за счет шоковой терапии, и добиться финансовой стабилизации за короткое время. Однако, большой проект построения laissez-faire капитализма , не имеющего государственную собственность и вмешательство государства в экономику представляет собой лишь авантюрное испытание. В конечном итоге этого большого испытания в стране продолжается разрушение социальной инфраструктуры, снижение уровни жизни подавляющих масс людей, спад производства, кризис инвестиции.

      • KCI등재
      • KCI등재

        러시아의 신동방정책과 대유라시아주의

        성원용 한국비교경제학회 2022 비교경제연구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how Russia's two macro-trends related with the rising of Mega-Asia, that is, Russia’s 'Turn to the East' and 'Greater Eurasia' correspond to the dynamic structure of Mega-Asia, and to evaluate characteristics and tendencies inherent in the structure of Russian foreign policy from the perspective of geoeconomics and geopolitics. The Policy of 'Turn to the East' under Putin started from the realization that the central axis of civilization(power) was moving from the Atlantic Ocean to the Asia-Pacific(Northeast Asian) region. And it implicates pragmatic policy orientation to develop underdeveloped Russia Far East by learning the experience of the dynamic economic development from the Asia-Pacific (Northeast Asia) countries including China and to realize Russia's geoeconomic and geostrategic national interests by establishing mutually beneficial cooperative relations with countries in this region. The purpose of expanding the Greater Eurasia Partnership is to form a single Eurasian economic mechanism through a free economic integration project, but in fact, the motivation is to pursue a multipolar system against the neoliberal paradigm and unipolar system led by the US, and to strengthen trilateral cooperation system among China, Russia and India. It has already completed a strategic partnership of anti-American solidarity with China, and plans to expand the axis of cooperation spatially to India and ASEAN in the future. Positive results have begun to emerge in terms of the potential for realizing Greater Eurasia. In particular, the revitalization of Eurasian international transport corridors centered on railroads, which cross along the North-South direction and East-West direction on the transport and logistics axis, is expected to be the physical foundation of the Greater Eurasia partnership and spatial expansion, as well as a catalyst for regional integration in the future. 이 글의 목적은 메가아시아의 부상과 관련하여 러시아의 두 가지 거시트랜드, 즉 ‘신동방’정책 (Turn to the East)과 ‘大유라시아’(Greater Eurasia)로 표현되는 글로벌 단위의 유라시아 공간 구조 및 협력 네트워크 구축이 메가아시아의 동학 구조에 어떻게 상응하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지경학과 지정학의 관점에서 러시아 대외정책의 구조에 내재된 특징과 경향성을 평가하는 데 있다. 푸틴 시기 신동방정책은 대서양에서 아태(동북아)지역으로 문명(세력)의 중심축이 이동하고 있다는 현실 인식에서 출발한 것이고, 중국을 비롯한 아태(동북아)지역 국가들의 성장 에너지를 흡수하여 낙후된 극동지역을 개발하고, 역내 국가들과의 호혜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함으로써 러시아의 지경학적·지전략적 국익을 실현하려는 실용주의적 정책 지향성을 의미한다. 大유라시아 파트너십 확대의 목적은 자유로운 경제통합 프로젝트를 통해 단일한 유라시아 경제 메커니즘을 형성한다는 데 있지만, 사실 그 동기는 미국이 주도하는 신자유주의 패러다임과 단극체제에 맞서 다극체제를 지향하고, 중-러-인 3각 협력체제를 강화한다는 데 있다. 이미 중국과는 반미 연대의 전략적 동반자관계를 완성했고, 향후 연대의 축을 인도와 ASEAN까지 공간적으로 확장하겠다는 구상이다. 대유라시아 실현의 잠재 역량 측면에서 긍정적 성과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특히 교통물류축에서 동서남북으로 교차하는, 철도 중심의 유라시아 국제운송로 활성화가 대유라시아 파트너십과 공간 확장의 물적 토대이자 향후 지역통합의 촉매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 KCI등재
      • 러시아 농촌의 사회경제적 상황과 농공복합체의 구조 변화

        성원용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러시아연구소 2002 유라시아연구 Vol.2 No.1

        현대 러시아의 농업개혁은 그 동안 축적된 모순들을 해결하고 농업경제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보다는 오히려 사회주의 시기 형성된 농업경제의 생산잠재력마저 파괴하는 사태를 초래하고 말았다. 1990년대부터 매년 모든 농업생산량의 절대치가 끊임없이 감소하는 상황이 연출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토양이 침식되고, 비옥한 흑토가 유린되는 것부터 시작하여 농업생산의 주체인 농민들의 경작능력이 퇴화되는 현상에 이르기까지 러시아 농업생산력의 전면적인 파괴 과정이 일어나고 있다. 농업부문의 시장개혁에서 우선적 과제는 국가소유의 독점구조를 해체하고, 다양한 소유형태를 창출하는 것이지만 이러한 과제는 단순히 국가소유형태를 폐기하는 것으로 대체되어 버렸고, 결국 모든 경제주체를 사적소유자로 단일화하는 모험주의에 의해 진정한 사적소유자를 창출하기보다는 자영농 발전의 맹아마저 해체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말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