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평생학습 주민활동가의 사회적 자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매개 중심 -

        성원숙(Won Suk Sung) 한국평생교육HRD학회 2023 평생교육 인적자원개발연구 Vol.2 No.2

        연구배경 : 평생학습은 개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직접적이면서 본질적인 목적이다. 평생학습현장에서 리더 역할을 하는 평생학습 주민활동가의 사회적 자본이 삶의 질에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평생학습 환경에서의 평생학습 주민활동가의 사회적 자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은 평생학습 주민활동가 246명으로 하였고. 실증분석을 위해서 설문지법은 자기 보고식(self-report)으로 온라인으로 전달하고 회수하였다. 연구에서 설계된 모형을 기반으로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설문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통계 SPSS와 AMOS를 이용하여 연구문제를 검증하고자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학습 주민활동가의 사회적 자본이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학습 주민활동가의 자기효능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생학습 주민활동가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평생학습 주민활동가의 사회적 자본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사회적 지지는 사회적 자본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미미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시사점 : 기존 평생교육과 관련한 연구와 비교하면, 평생교육 현장에서 리더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평생학습 주민활동가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지 않으므로 명확한 차별성이 있다고 하겠다. 또한 평생학습 주민활동가의 경우 사회적 지지에 비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했을 때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것을 봤을 때, 평생학습 주민활동가의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경험과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Background : Lifelong learning is a direct and essential purpos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f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who play a leadership role in lifelong learning, on quality of life, mediated by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f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in various lifelong learning environments on quality of life, mediated by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Methodology / Approach :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tudy subjects were 246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For empirical analysis, the questionnaire method was delivered and collected online in self-report format. Based on the model designed in the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s using statistical SPSS and AMOS. Findings /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social capital of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quality of life directly. Second,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of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quality of life.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f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on quality of life was negligible. Fourth, self-efficacy showed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quality of life of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And, social support showed negligibl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quality of life. Implications : Compared to existing research related to lifelong education,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who play a leadership role in the lifelong education field, so there is a clear distinction.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 quality of life of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is higher when mediated by self-efficacy rather than social support, it suggests the need to provide experiences and programs that enhance the self-efficacy of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 KCI등재

        성인교육의 확장과 심화를 위한 인식론적 전환에 관한 고찰: 들뢰즈⋅가타리의 리좀 이론을 중심으로

        이관춘,최수연,김향균,정지영,성원숙 한국성인교육학회 2023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6 No.4

        본 연구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리좀이론을 중심으로 성인교육의 확장과 심화를 위한 인식론적 전환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인식론적 전환은 문제설정의 방식과 직결된다는 점을 포착하고 알튀세르와 그람시의 이론을 통해 인식론적 단절의 문제를 논의하였다. 이어, 성인교육에 대한 인식론을 접근하는 두 가지 준거로서 들뢰즈와 가타리의 수목형 사유방식과 그 대척점에 있는 리좀형 사유방식을 개괄적으로 비교⋅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성인교육의 확장과 심화를 위한 인식론적 전환을 성인교육의 학문적 정체성, 성인교육의 철학, 그리고 성인교육의 학습원리 등 세 가지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그 결과, 안드라고지로서의 성인교육을 세 단계, 즉 동일성의 성인교육, 차이존중의 성인교육, 차이생성의 성인교육으로 규정하고, 성인교육의 확장과 심화를 위해서는 접속과 생성 및 변이를 거듭하는 역동적인 생성철학으로의 인식론적 전환이 필요하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The central concern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pistemological change for the extension of adult education based on rhizome of Deleuze and Guattari. For th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epistemological transition should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problematique’, the study firstly examined the ‘epistemological break’ through the theories of Althusser and Gramsci. Rhizome model were further examined and compared with the Tree Model, as the two criteria for approachjng the way of thinking about adult education. On the basis of this, the epistemological change for the extension of adult education were discussed from three perspectives such as the identity of adult education, philosophy of adult education, and the four pillars of adult education. The results suggested three steps of adult education as an adragogy: adult education of ‘sameness’ or identity, adult education of ‘difference respect’, and adult education of ‘difference devenir’, and emphasized that epistemological change, as the creation philosophy repeating connection, creation, and integradation, should be needed for the extension of adult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