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데이터 방송의 현황과 정책과제

        성열홍 한국방송공사 2002 방송 문화 연구 Vol.14 No.-

        Digital broadcasting will not only increase the number of channels compared to the past when channel capacity was limited but also provides the interactive service including data broadcasting. Specifically, satellite broadcasting serviced from the first quarter of 2002 with over 80 channels and NVOD, EPG servce has created a leading role for digital broadcasting in Korea. Firstly, this study examines the introduction of commercialized data broadcasting service scheduled to begin on the first quarter of 2003 through satellite broadcasting in Korea. Therefore it focuses on the concept and technical understanding of data broadcasting. Secondly, the study presents research on regulations of interactive service in foreign countries and provides lessons gained from their advanced data broadcasting industries. This benchmarking can serve as a valuable reference for development of our data broadcasting industry. With these comparisons between foreign studies and the Korean broadcasting environment, we can conclude that the deregulation on data broadcasting is very essential for soft landing because the current broadcasting law can not afford the interactive service like data broadcasting. So, lastly charter suggests data broadcasting regulation to minimized the problems when this interactive service is introduced through digital media platform.

      • KCI등재

        신화적 원형의 브랜드 내러티브 적용에 따른 의미 생성 경로의 적합성과 소비자 설득 효과

        성열홍,백광진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9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9 No.-

        This study takes an argumentative and exploratory approach to investigate the semantic generation of differentiated brand narratives, reflective of mythical archetypes, and its persuasion effect. This study will examine if storytelling, which carries archetypes of collective unconsciousness, such as collective dream, instinctive desire, emotional feelings, can effectively create a brand concept and the generative path of meaning, when combined with brand motif and narratives. In addition, this paper will take an argumentative approach to prove the inference that mythical brand narratives, through the process of internal priming, has a meaningful effect on activating persuasion knowledge. Finally, this study will examine whether brand narratives can be a useful mean to increase the emotional bond among brand identify, brand personality, and consumers, and also determine if brand narratives can help strengthen brand-self connection. 본 연구는 논증적이고 탐색적인 연구를 통하여 신화적 원형(mythical archetypes)이 적용된 차별적 브랜드 내러티브(brand narrative)의 의미 생성과 그 설득 효과에 대해 규명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인간의 집단적 무의식의 원형인 집합적인 꿈, 본능적인 열망, 정서적 감정을 담은 신화의 스토리텔링이 브랜드 모티프(brand motif)와 내러티브로 결합되었을 때 효 율적인 브랜드 콘셉트와 의미 생성 경로로 작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아울러 신화적 브랜드 내러티브는 내재적 점화 과 정을 통해 설득 지식의 활성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추론을 논증해 보고자 한다. 또한 브랜드 내러티브가 브 랜드 정체성, 브랜드 퍼스낼리티 및 소비자와의 정서적 관계를 향상하는데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는지 검토하고, 자아 브 랜드 연결성을 강화하기 위한 조절작용을 할 수 있는지 파악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무안경 3D 광고의 효과성 연구

        차혜영,성열홍,한맑음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5 조형미디어학 Vol.18 No.3

        The greatest advantage of autostereoscopic 3D display is that it solved inconvenience of watching stereoscopic image putting on glasses. Contents realized through the method of lending realism in three dimensions are capable of arousing fun and interest, catching consumers’ eyes, so autostereoscopic 3D display is expected to become media that can become a new paradigm in advertising market in the future. To verify the effect of 3D advertisement that adopted glassless method,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or not there exist differences in liking, persuasive power, expressivity, satisfaction between autostereoscopic 3D advertisement and general advertisement, and analyzed influence of those factors on advertisemen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Study results show that liking and satisfaction differed between the two advertisements, whereas persuasive power and expressivity remained unchanged. Of the factors, satisfaction and expressivity exert a positive effect on advertisement attitude, and advertisement attitud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This indicates tha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and expressivity in autostereoscopic 3D advertisement, the greater the effect of purchase intention. Such study results present an academic implication on the influence and possibility of autostereoscopic 3D advertisement and has a significance in the way that the results can provide practical preliminary data for production of advertisement. 무안경 3D 디스플레이의 가장 큰 장점은 기존에 안경을 착용하고 입체 영상을 시청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했다는데 있다. 입체적으로 현실감을 주는 방식으로 구현된 콘텐츠는 소비자들의 시선을 사로잡으며, 재미와 흥미를 유발할 수 있어 앞으로 무안경 3D 디스플레이는 광고 시장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수 있는 미디어로 전망된다. 본 연구는 무안경 방식을 채택한 3D 광고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무안경 3D 광고와 일반광고의 호감도, 설득력, 표현도,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러한 요인들이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연구결과 호감도와 만족도는 두 광고 사이에 차이점이 있었지만, 설득력과, 표현도에서는 차이점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요인들 중 만족도와 표현도는 광고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고태도는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무안경 3D 광고는 만족도와 표현도가 높을수록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효과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무안경 3D 광고의 영향력과 가능성에 대해 학문적으로 시사점을 찾을 수 있으며, 광고를 제작하는데 있어 실무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옴니채널쇼핑에 의한 소비자 수용의 심리적 저항요인 -스타벅스 제품 픽업 서비스, 사이렌오더를 중심으로-

        심인선,성열홍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6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47 No.-

        온・오프라인 유통 채널이 서로의 단점을 보완, 유기적으로 통합된 새로운 유통 패러다임으로 옴니채널쇼핑(omni-channel shopping)이 전 세계적으로 주목 받고 있는 상황이다. 소비자들은 자신들이 모르는 새 온・오프라인을 넘나들며 서비스를 이용하고(EC연구회 외, 2015), 이러한 서비스의 이용은 가속화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그러나 소비자는 혁신적인 제품・기술을 바로 수용하는 것은 아니며 일정정도 저항을 거친 후에 수용하는 성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식음료판매 옴니채널쇼핑의 대표적인 서비스인 스타벅스 사이렌오더를 혁신의 개념으로 이해하고 이에 대한 잠재 이용자의 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 혁신저항이 소비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보았다. 연구결과, 지각된 유용성, 소비자 혁신성, 복잡성, 복귀성이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고 혁신저항은 소비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옴니채널쇼핑의 후속연구와 관련 종사자들을 위한 실무적 정보를 제공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Leading it to a new paradigm of distribution called "omni-channel shopping that supplement the weakness of on & off distribution channel. Consumers has been using this service in the on & off market (EC research ,2015), it would accelerate the speed futhermore. But, consumers are not likely to accept this innovative product or technology right away but to accept the trend after some resistance for the time being. This study regards consumers resistance of Starbucks 'Siren' order service, innovative service of F&B omni shopping channel as an innovation and draws resistance factors of potential users and innovation resistance regards considerably impacts on the variable of 'Customer Satisfaction'. 'Perceived Usefulness','Customer Innovativeness',‘Complexvity','Reversibility' greatly impact on the resistance of Starbuck service of 'Siren Order', Innovation Resistance' considerably impacts on the variable of 'Customer Satisfaction'. We believe that this paper could help to provide the practical information for those who are in the industry of a follow up study of omni channel shopping.

      • KCI등재

        챗봇 체험마케팅이 챗봇태도와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Bernd Schmitt의 체험 요소를 중심으로 -

        김은영,성열홍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9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8 No.-

        This study, based on applying Bernd Schmitt's experiential factors, aim to examine the effect of chatbot experiential marketing on the overall feeling of user's experience with chatbot service and the intention to use chatbot servic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fluence and intention of using factors of experiential marketing through review of previous studies, it is hypothesized that experiential marketing using chatbo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overall feeling of experience about chatbot service and the intention to use chatbot service. Based on this, a survey was conducted on 186 men and women who had experience using chatbots, and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of valid data are as follows. First, cognitive, behavioral and emotional factors among the chatbot's experiential marketing factor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user's experience with chatbot service. Second, behavior, relationship, cognition, and emotion among the chatbot's experiential marketing factor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intention to use chatbot service. Third, the user's experience with chatbot servic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chatbot service. In conclusion, it can be confirmed that chatbot experiential marketing has a positive effect on users' overall feelings about chatbot service experience and their intention to use chatbot service.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analyzes the value of chatbot experiential marketing. It provides a foundation for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 use of chatbot marketing and provides meaningful data along with positive influences on the establishment of chatbot marketing strategy by strengthening experiential factors. It is expected to provide a standard for developing a quality chatbot service suitable for users' convenience. 본 연구는 번 슈미트의 체험 요소를 적용한 챗봇 체험마케팅이 사용자의 챗봇서비스에 대한 체험의 전반적인 감정과 챗봇 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체험마케팅의 요소들의 영향 력과 사용의도를 살펴본 결과, 챗봇을 이용한 체험마케팅이 소비자의 챗봇서비스에 대한 체험의 전반적인 감정과 챗봇서비 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의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울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챗봇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남・여 1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유효 데이터를 통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챗봇의 체험마 케팅 요소 중 인지, 행동, 감성요소가 사용자의 챗봇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챗봇의 체험마케 팅 요소 중 행동, 관계, 인지, 감성요소가 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챗봇태도는 사용의도 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챗봇 체험마케팅이 사용자들의 챗봇서비스 체험 에 대한 전반적인 감정과 챗봇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 구는 챗봇 체험마케팅의 가치를 분석한 연구라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챗봇마케팅의 활용에 대한 이론적 이해의 토대를 마 련하고, 체험요소 강화를 통한 챗봇마케팅 전략 수립에 긍정적 영향과 함께 유의미한 자료를 제공하여 이용자들의 편의에 맞는 양질의 챗봇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혁신성 소구방법을 활용한 광고캠페인의 수용자 경험 사례 연구 - 3D프린팅 기술을 통한 광고캠페인 사례를 중심으로 -

        김수정,성열홍,이길형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9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7 No.-

        This study, which examined the examples of advertising campaigns with innovative appealing methods using overseas 3D printing technology, sought to raise awareness on the need of innovative advertising communication in our advanced society and suggest the integrative direction in the fields of innovative technology like 3D printing and advertising marketing. Overseas global enterprise brands accommodate innovative technology and conduct advertising campaigns in linkage with the field of advertising marketing in an attempt to implement a new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While, our country has very rare relevant research and almost no examples of actual advertising campaigns. Under the circumstances, this study, based on the precedent research, defined the attributes of innovativeness with five factors of ‘assertiveness’, ‘sensibility’, ‘sharing with others’, and ‘trialability’, ‘observability’ of Rogers(2003). And it drew ‘usability’, ‘accessibility’, ‘complexity’, ‘creativity’ as attributes of user experience, and using analysis model designed based on precedent research and innovation theory of Rogers, analyzed overseas examples of advertising campaigns with innovative appealing methods. As a result, the study found that, compared with normal appealing methods, innovative appealing methods allowing the consumers to have freshness, delight and fun in the environment equipped with experience value of assertiveness, emotional value and relationship building and trialability through advertising campaign might work as a factor to satisfy the advanced consumers. It also found that the higher the attributes of innovativeness, the higher the attributes of user experience in general. This was because advertising campaigns with innovative appealing methods might usually allow the users to experience in overall production process of innovative technology. And the study believes should process of communication be built allowing overall experience of users by means of five attributes of innovativeness and four factors of user experience, communication with users could be improved through advertising campaigns with innovative appealing methods. This study examined the intangible factors affecting user experience such as the attribute of innovativeness as seen by the examples of advertising campaigns with innovative appealing methods and is expected to raise awareness on the need of innovative marketing communication. And this exploratory study, which sought to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innovative appealing methods in advertising campaigns and user experience as a basic research, is also expected to provide leads in establishing new advertising strategy in the future. 본 연구에서는 해외의 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혁신성 소구방법의 광고캠페인 사례를 고찰함으로써 고도화된 사회에서 혁 신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필요성 인식과 향후 3D프린팅과 같은 혁신기술과 광고마케팅 분야의 통섭적 사고에 대 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해외의 글로벌 기업 브랜드는 혁신기술을 받아들이고, 이를 통해 광고마케팅 분야와 결부 시켜 광고캠페인을 진행하며 소비자와 새로운 방식의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관련 연구가 이루 어지거나 실질적으로 광고캠페인이 진행된 사례는 극히 드문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혁신성 의 속성을 ‘자기표현(assertiveness)’, ‘감성(sensibility)’, ‘타인과의 공유(sharing with others)’와 로저스(Rogers,2003)의 ‘시 용가능성(trialability)’, ‘가시성(observability)’의 5가지로 정의하고, 수용자 경험 속성으로 ‘이용성(usability)’, ‘접근성 (accessibility)’, ‘복합성(complexity)’, ‘창조성(creativity)’을 도출하여 선행연구 및 로저스의 혁신성 이론을 토대로 설계한 분석모델을 통하여 해외 혁신성 소구방법의 광고캠페인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일반적인 소구방법보다는 광고캠페 인을 통한 자기표현의 경험 가치와 정서적 가치, 관계 형성과 시용가능성이 갖춰진 환경에서 새로움과 즐거움, 재미의 소구 가 가능한 혁신성 소구방법이 진화한 소비자를 충족시킬 만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혁신성의 속성이 높을 때 전반 적으로 사용자 경험 속성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혁신성 소구방법의 광고캠페인은 대체적으로 혁신기술을 활용한 제작 과정 전반에 수용자의 체험이 가능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혁신성의 다섯 가지 속성과 수용자 경험의 네 가지 요소를 포괄적으로 활용하여 수용자들의 총체적 경험이 가능한 광고캠페인 프로세스를 구축한다면 혁신성 소구방법 의 광고캠페인을 통한 수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혁신성 소구방법의 광 고캠페인 사례의 혁신성 속성 등 수용자의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무형의 요인을 연구함으로써 혁신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광고캠페인의 혁신성 소구방법과 수용자 경험의 관계를 이해하여 이와 관련된 연구의 기초가 되는 탐험적 연구로써 향후 새로운 광고 전략 수립의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기호학적 의미를 통해 고찰해 본 현대 패션 디자인 색채의 변화에 관한 연구 -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

        임현이,성열홍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7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0 No.-

        최근 패션마켓은 소비자들의 각기 다른 개개인의 취향을 반영하여 더욱 세분화되고 있으며, 다양한 컨셉과 디자인을 선보 이고 있다. 패션과 패션색채는 사회⋅문화 맥락에서 상징성과 의미를 가지는 대표적 문화 기호이며, 인간의 근원적 욕구인 미적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자기표현과 차별화 수단으로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상징적 가치를 전달하는 시각기호’로서 패션 색채가 변화하는 의미를 지닌 가치대상이며, 동시에 사회적 승인을 기반으로 새로운 상징적 가치를 창출하는 가치행위로 패션마켓에서 사회현상과 함께 패션색채의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Barthes의 신화론과 Baudrillard의 소비이론에 근거하여 현재 패션마켓에서 색채의 기준이 되고 있는 중세에서 현대에 이르는 시기적 구분을 14 ~ 16세기 르네상스 전후, 18세기 중반 ~ 19세기 초반까지의 산업혁명 전후, 제 1,2차 세계대전, 20세기 이후로 나누어 특징적인 색채 5가지를 선정하여 기호학 관점으로 패션색채의 변화를 분석하였 다. 패션과 패션색채의 변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선행이론을 토대로 심층인터뷰를 통해 패션의 소비가치 변화, 패션색채 변화의 기호학적 함의, 현대 패션색채 변화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요인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 정성적 조사를 하였다. Recently, fashion market is more subdivided by reflecting the individual taste of each individual and presents various concepts and designs. Fashion and fashion color is a representative symbol of culture with symbolism and meaning i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s a representative means of self-expression and differentiation that pursue aesthetic beauty as a desire, it is a value object that has a meaning that changes the fashion color as a visual symbol that conveys a symbolic value that continuously changes. At the same time, it is very important to keep a close eye on the social phenomenon and the change of fashion color in the fashion market. In this study, based on Barthes ‘mythologies’ and Baudrillard ‘La société de consommation: ses mythes, ses structures’. The period from medieval to modern which is the standard of color in fashion market, From the mid ~ Renaissance, 19th century to the post ~ Industrial Revolution, after World War I, II and after the 20th century, five characteristic color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semiotics. Based on the theoretical review on fashion and fashion color changes. I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on the factors affecting modern fashion consumption value, semiotic meaning of fashion color and change of modern fashion color through ‘Depth Interview’.

      • KCI등재

        외계어 사용 광고에서 소비자의 이해도와 호감도 연구

        함의정,성열홍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7 조형미디어학 Vol.20 No.2

        Recently, many languages that are widespread in community services on the Internet are shown as destructive form. Korean scholars call this language as an netspeak without nationality. Language in advertisements should be the language of the era, and should be made towards consumers of the same times. The advertising language needs proper understanding and quick judgment ability. However, using those netspeaks for advertising is a phenomenon of disruption of the persuasive communication that is the purpose of advertising.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changes in attitudes of consumers who are exposed to netspeak advertisements in terms of advertising communication. It was hypothesized that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of netspeak advertising according to gender,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advertisement according to gender. It was hypothesized that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vorability of the advertisement according to gender,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avorability of the advertisement according to gender. It was hypothesized that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of netspeak advertising according to vocation,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advertisement according to vocation. In addition, general adult group was found to be as a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from the other group, such as elementar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In other words, adults have relatively lower understanding ability of netspeak advertising tha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t was hypothesized that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vorability of the advertisement according to vocation,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avorability of the advertisement according to vocation. The favorability of netspeak advertising was highest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followed by college students, graduate students, general adults, and high school students. 최근 인터넷상의 커뮤니티 서비스에서 유행하고 있는 언어들은 파괴적인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언어를 한글 학자들은 국적도 없는 외계어라고 한다. 광고에서 언어는 시대의 언어여야 하며, 같은 시대의 소비자를 향해 만들어져야 한다. 그리고 광고 언어는 바르고 빠른 이해력과 판단능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외계어 사용 광고는 광고의 목적인 설득적 커뮤니케이션이 훼손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광고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외계어 사용 광고가 소비자에게 노출됨으로써 나타나는 소비자의 태도 변화를 실증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외계어 사용 광고에 대한 이해도는 남성보다 여성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계어 사용 광고에 대한 호감도는 남성과 여성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외계어 사용 광고에 대한 이해도는 고등학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다음은 초·중학생, 대학생과 대학원생, 일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일반 성인들은 초·중학생 및 고등학생과 외계어 사용 광고에 대한 이해도에서 유의미하게 구분되는 집단으로 나타났다. 즉, 성인들은 초·중학생과 고등학생들보다 외계어 사용 광고에 대한 이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외계어 사용 광고에 대한 호감도는 초·중학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다음은 대학생 및 대학원생, 일반, 고등학생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초·중학생은 고등학생과 대학/대학원생 및 일반 성인들과 외계어 사용 광고에 대한 호감도에서 유의미하게 구분되는 집단으로 나타났다. 즉, 초·중학생들은 고등학생이나 대학 및 대학원생, 일반 성인들보다 외계어 사용 광고에 대한 호감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