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대 피해 아동의 언어능력에 대한 메타분석

        성시연,김영태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 Vol.20 No.4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통해 학대 피해 아동과 일반 아동의 언어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2000년부터 2021년 7월 15일까지 발표된 논문을 검색한 후 본 연구의 선정기준에 의해 총 9편의 분석 논문을 선정하였고 R version 4. 1. 1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일반 아동에 비해 학대 피해 아동의 전반적인 언어능력은 유의하게 낮았고 중간의 부적 효과크기(g = - 0.66; 95% CI [- 0.85, - 0.46]; p < .0001)를 보였다. 조절효과 분석 결과, 학대 유형별 효과크기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언어 영역별, 연령별 효과크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학대 피해 아동의 언어능력은 화용, 언어 표현, 의사소통에서 중간 이상의 부적 효과크기를 보였다. 학령전기의 학대 피해 아동에서 언어능력의 차이는 더 크게 나타났다. Purpose: The meta-analys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language ability characteristics of maltreated children compared to children who were not exposed to maltreatment. Method: After searching for articles that had been published from January 2000 to July 15, 2021, 9 articles that m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selected. The meta-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R version 4. 1. 1. Results: The overall finding showed poorer language ability in maltreated children. Maltreatment was associated with a moderate negative effect on language ability(g = - 0.66; 95% CI [- 0.85, - 0.46];p < .0001). The analyses of moderators reveal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maltreatment subtype;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f language domain, and age. Conclusion: The language ability of maltreated children showed a negative effect size above medium in pragmatic skill, expressive language, and communication. Earlier maltreatment was associated with greater negative effects.

      • KCI등재

        AAC 사용자의 초기 문해력 증진을 위한 음운인식 중재 메타분석

        성시연(Si Yeon Seong),한선경(Seon Kyoung Han),김영태(Young Tae Kim) 한국언어치료학회 2015 言語治療硏究 Vol.24 No.2

        Purpose: Literacy skills are essential in the lives of all people; it is more important to acquire literacy skills for AAC users. Although the acquisition of literacy skills is critical for people who use AAC, few studies have considered literacy skills related to AAC interventions. The purpose of this meta-analysis was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emergent literacy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ho use AAC. Methods: There were six single-subject studies which met the inclusive and exclusive criteria of our research. These studies had been published during between 2000 and 2015. The studies were analyzed based on intervention methods as well as participant characteristics, the experimental design, and an effect size measure, robust Improvement Rate Difference (IRD). Result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All of the participants were children (either preschool or school-age), most of the studies utilized multiple probe design, and the overall effect size of AAC emergent literacy interventions was moderate effect size (.57). The effect size was larger in preschool children than in school-aged children. Conclusions: Phonological awareness intervention related to emergent literacy skills for AAC users was more effective for preschool-aged children than for any other age group.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that the intervention for emergent literacy skills may be useful for young children. Further studies on literacy intervention with AAC are suggested.

      • KCI등재

        우반구 뇌손상 환자 발화의 정보전달 및 문장 간 결속 특성

        성시연(Seong Si Yeon),김영태(Kim Young Tae)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5 재활복지 Vol.19 No.2

        본 연구는 발병 후 14일 이내의 급성기 우반구 뇌손상 환자들의 발화에 나타난 정보전달 및 문장 간 결속 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우반구 뇌손상 환자 12명(남자 6명, 여자 6명)과 연령, 학력, 성비를 일치시킨 일반 성인 12명이었다. 그림 설명과 절차 설명하기 과제로 발화를 수집하여 주제와 과제에 적절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낱말인 CIU(correct information unit) 비율로 정보전달량을, CIU 중 중복되지 않은 낱말인 DCIU(different correct information unit)비율로 정보전달의 효율성을 살펴보았다. 문장 간 결속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접속표지의 총 사용률, 접속표지 유형에 따른 사용률, 접속표지의 총 오류율, 접속표지 유형에 따른 오류율, 접속표지 오류 유형에 따른 오류율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우반구 뇌손상 환자들은 일반 성인 집단보다 CIU 비율, DCIU 비율 모두 유의하게 낮았고 집단 간 접속표지의 총 사용률, 유형별 사용빈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우반구 뇌손상 환자 집단의 접속표지 총 오류율이 더 많았고 접속어미와 의미/통사적 오류가 유의하게 많았다. 본 연구 결과는 우반구 뇌손상 환자들의 언어장애 진단과 적절한 중재 목표 설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in the description tasks of the acute stage right hemisphere damaged(RHD) patients. Spontaneous speech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2 non-brain damaged(NBD) adults and 12 RHD patients. Subjects' speech samples were elicited from a single picture description task and a procedural description task. These samples were analyzed with a method which allowed examining within-and between-sentence levels. Results indicated the informativeness and the efficiency of the RHD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BD group. The total error rate of conjunction markers of the RH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BD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for conjunction markers type of "conjunctive endings" between groups. In analyzing error types, the RH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e semantic/syntactic errors than the NBD group. In conclusion, the RHD group produced less relevant and informative content than the NBD group. And the RHD group produced more errors in conjunction markers between sentenc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with useful information to assess and intervene of RHD patients.

      • KCI등재

        베이지안 기법에 기반한 수명자료 분석에 관한 문헌 연구

        원동(Dong-Yeon Won),임준형(Jun Hyoung Lim),심현수(Hyun Su Sim),성시일(Si-il Sung),임헌상(Heonsang Lim),김용수(Yong Soo Kim) 한국신뢰성학회 2017 신뢰성응용연구 Vol.17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range the life data analysis literatures based on the Bayesian method quantitatively and provide it as tables. Methods: The Bayesian method produces a more accurate estimates of other traditional methods in a small sample size, and it requires specific algorithm and prior information. Based on these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Bayesian method, the criteria for classifying the literature were taken into account. Results: In many studies, there are comparisons of estimation methods for the Bayesian method and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LE), and sample size was greater than 10 and not more than 25. In probability distributions, a variety of distributions were found in addition to the distributions of Weibull commonly used in life data analysis, and MCMC and Lindley’s Approximation were used evenly. Finally, Gamma, Uniform, Jeffrey and extension of Jeffrey distributions were evenly used as prior information. Conclusion: To ve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yesian method which are more superior to other methods in a smaller sample size, studies in less than 10 samples should be carried out. Also, comparative study is required by various distributions, thereby providing guidelines necessary.

      • KCI등재

        동화책 어휘를 통해 살펴 본 아동의 언어입력 환경: 체언을 중심으로

        한민경,성시연,최서진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동화책에 등장하는 단어들 중 체언의 유형과 빈도를 중심으로 그 형태적 특징을 알아보고 연구와 임상에서 동화책에 기반한 어휘목록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방법: 1-2세, 3, 4세, 5-7세 각 연령별 26권씩 총 78권의 동화책을 선정하여 동화책에 등장하는 14,728어절 중 체언에 해당되는 일반명사, 고유명사, 의존명사, 대명사, 수사 등 총 7,184어절을 중심으로 각 품사의 유형 수와 사용빈도를 계산하고 일원분산분석을 통하여 연령별 유형 수와 사용빈도 차이를 살펴보았다. 결과: 동화책에 등장하는 단어 중 체언은 전체 유형 수의 38.2%, 사용빈도 26.8%를 차지하였고 3, 4세용 도서에서 가장 높은 유형 수 비율과 사용빈도 비율을 보였다. 품사별로는 유형 수에서는 일반명사>고유명사>의존명사>대명사>수사의 순서로 많았고, 사용빈도는 일반명사>대명사>고유명사=의존명사>수사의 순서로 많이 사용되었다. 수사를 제외한 모든 체언 품사들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형 수와 사용빈도 비율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논의 및 결론: 아동의 언어입력환경 중 하나인 동화책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다양한 체언을 반복적으로 제공하여 아동의 어휘습득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리라 기대된다.

      • KCI등재

        동북아 물류중심 정책의 다(多)조직구조적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우윤석,성시연 한국물류학회 2006 물류학회지 Vol.16 No.4

        >본 논문은 동북아 물류중심 정책의 추진에 다수의 주체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다조직구조(multi-organizational structure)의 상황에서 어떠한 집행문제들이 발생하는가를 분산성과 중복성, 상충성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특성이 발견되었다. 첫째, 동북아 물류중심정책은 건설교통부, 해양수산부, 산업자원부, 재정경제부, 관세청 등 다수의 참여주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합조정 기능을 수행하는 선도적인 추진주체(Principal Agency)의 부재로 정책추진의 강도가 약화되고 있다. 둘째, 부처 간 사업의 중복으로 정책혼선과 예산 낭비가 초래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셋째, 총괄적인 물류기본법령의 부재로 물류관련 정책의 일관성과 안정성이 확보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동북아 물류중심정책의 추진에 보다 탄력성을 불어넣기 위해서는 Principal Agency의 존재를 명확히 세우고 상설적인 조정 전담역할을 하도록 하고, 관련 부처 간에 명확하게 업무영역을 배분하고 구분함으로써 정책 중복으로 인한 비효율을 방지하며, 물류관련 법령을 일원화할 수 있는 총괄적 법체계 개편이 필요함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아동의 어휘발달 촉진을 위한 언어입력환경으로서의 동화책 어휘 연구: 용언을 중심으로

        한민경(MinKyung Han),성시연(SiYeon Seong),최서진(SouJin Choi)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동화책에 사용되는 어휘 중 용언의 유형과 사용빈도 등 그 형태적 특징을 알아보고 동화책에 등장하는 용언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0-2세, 3-4세, 5-7세용 동화책 각 연령대에서 선정한 26권씩 총 78권의 동화책에 등장하는 총 14,728어절 중 동사, 형용사, 보조동사, 보조형용사, 긍정지정사, 부정지정사 등 용언에 해당되는 5,388어절의 품사별 유형 수와 사용빈도를 계산하고, 연령별 유형 수와 사용빈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결과: 동화책에 등장하는 용언은 동화책에서 사용되는 어휘 전체 유형 수의 25.9%, 어휘 전체 사용빈도의 18.7%를 차지하였고, 동화책 대상 연령이 높을수록 유형 수와 사용빈도가 증가하였다. 품사별 유형 수는 동사>형용사>보조동사>보조형용사>긍정지정사=부정지정사의 순서로 많았고, 사용빈도는 동사>형용사>보조동사>긍정지정사>보조형용사>부정지정사의 순서로 높았다. 동화책 대상 연령이 높을수록 동사는 유형 수와 사용빈도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나, 형용사는 유형 수와 사용빈도가 모두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보조용언은 유형 수는 유의미하게 감소하나 사용빈도는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논의 및 결론: 동화책에서 사용되는 용언 품사 중 동사와 보조동사의 경우 동화책 대상 연령이 높아질수록 다양한 종류가 빈번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나 동화책은 아동의 구문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언어입력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s and tokens of predicates in storybooks and to provide suggestions on the use of storybook predicates in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Methods: Twenty-six books from each age group of 0-2, 3-4, and 5-7 years were selected, totaling 78 storybooks. Morpholog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5,388 utterances containing predicates including verbs (Verb), adjectives (Adj), auxiliary verbs (Aux Verb), auxiliary adjectives (Aux Adj), positive copular (P Copula), and negative copula (N Copula) in order to calculate the types and tokens of predicates across word classes an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the types and tokens of each word class across storybook age groups. Results: In the selected storybooks predicates repre¬sented 25.9% and 18.7% of the total types and tokens, respectively, with types and tokens increasing with age. The order of types from greatest to smallest across word classes was Verb>Adj>Aux Verb>Aux Adj>P Copula=N Copula and the frequency of tokens was Verb>Adj>Aux Verb>P Copula>Aux Adj >N Copula. Across storybook age groups both type and token frequency for verb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age and decreased signifi¬cantly for adjectives, and for auxiliary predicates the type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age whereas the token frequency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age. Conclusion: Results show that the type and token frequency of verbs and auxiliary verbs increases with age in these storybooks. Thus, storybooks provide a language input environment that may positively influence syntactic development in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