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경부 이형성증과 암의 진단을 위한 액상세포 검체에서 p16<sup>INK4a</sup>/Ki-67 이중면역염색의 평가

        성미희,이훈택,신민식,오서영,김욱연,Sung, Mi Hee,Lee, Hoon Taek,Shin, Min Shik,Oh, Seo Young,Kim, Wook Youn 대한임상검사과학회 2015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KJCLS) Vol.47 No.3

        Recently, $p16^{INK4a}$/Ki-67 dual immunostaining has been introduced as a new biomarker protocol for early detection of uterine cervical dysplasia and cancer in liquid-based cytology (LBC). We performed the $p16^{INK4a}$/Ki-67 dual immunostaining using a CINtec$^{(R)}$ PLUS kit in a total of 109 LBC cases of cervicovaginal smear and compared its results with those from LBC, HPV hybrid capture II (HC II) test and histological diagnosis. Expression of $p16^{INK4a}$ and Ki-67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ases of LSIL or higher in cytological diagnosis and cases of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CIN) 1 or higher in histological diagnosis (p<0.001 and p<0.001, respectively). Among forty-six cases of atypical squamous cells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ASCUS) in LBC, $p16^{INK4a}$ and Ki-67 was expressed in 31 (67.4%), which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ases of CIN I lesion or higher in histology. The sensitivity of $p16^{INK4a}$/Ki-67 dual immunostaining for finding lesions of CIN 1 or higher was 89.0%, which was higher than LBC. The specificity was 73.5%,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HC II test. Based on these results, the $p16^{INK4a}$/Ki-67 dual immunostaining method can be a useful diagnostic marker for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LBC and the specificity of HC II test. 최근 $p16^{INK4a}$/Ki-67 이중면역염색은 액상세포검사에서 자궁경부 이형성증과 암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한 새로운 생체 표지자로 대두되고 있다. 저자들은 자궁경부질도말의 액상세포검체 총 109례에서 CINtec$^{(R)}$ PLUS kit를 사용하여 $p16^{INK4a}$/Ki-67 이중면역염색을 시행하였고, 그 결과를 액상세포검사, HPV hybrid capture II (HC II) 검사 그리고 조직학적 진단과 서로 비교하였다. $p16^{INK4a}$/Ki-67 양성 발현은 세포학적 진단에서 저등급 편평상피내병변 이상의 증례 그리고 조직학적 진단에서 자궁경부 상피내종양 1등급 이상의 증례에서 유의미하게 높았다. 액상세포검사상 비정형 편평 상피세포 소견을 보이는 46례 중, 31례 (67.4%)가 $p16^{INK4a}$과 Ki-67 양성 소견을 보였고, 이러한 양성 증례들은 조직검사에서도 대부분 자궁경부 상피내종양 1등급 이상의 병변에 해당하였다. 자궁경부 상피내종양 1등급 이상의 병변을 발견하기 위한 $p16^{INK4a}$/Ki-67 이중면역염색의 민감도는 액상세포검사보다 높은 89.0%였고, 특이도는 73.5%로 HC II 검사보다 높게 분석되었다. 따라서, $p16^{INK4a}$/Ki-67 이중면역염색 방법은 액상세포검사법의 민감도와 HC II 검사법의 특이도를 보완하기 위한 진단적 검사로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자궁경부 이형성증과 암의 진단을 위한 액상세포 검체에서 p16INK4a/Ki-67 이중면역염색의 평가

        성미희 ( Mi Hee Sung ),이훈택 ( Hoon Taek Lee ),신민식 ( Min Shik Shin ),오서영 ( Seo Young Oh ),김욱연 ( Wook Youn Kim ) 대한임상검사과학회 2015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KJCLS) Vol.47 No.3

        Recently, p16INK4a/Ki-67 dual immunostaining has been introduced as a new biomarker protocol for early detection of uterine cervical dysplasia and cancer in liquid-based cytology (LBC). We performed the p16INK4a/Ki-67 dual immunostaining using a CINtec® PLUS kit in a total of 109 LBC cases of cervicovaginal smear and compared its results with those from LBC, HPV hybrid capture II (HC II) test and histological diagnosis. Expression of p16INK4a and Ki-67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ases of LSIL or higher in cytological diagnosis and cases of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CIN) 1 or higher in histological diagnosis (p<0.001 and p<0.001, respectively). Among forty-six cases of atypical squamous cells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ASCUS) in LBC, p16INK4a and Ki-67 was expressed in 31 (67.4%), which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ases of CIN I lesion or higher in histology. The sensitivity of p16INK4a/Ki-67 dual immunostaining for finding lesions of CIN 1 or higher was 89.0%, which was higher than LBC. The specificity was 73.5%,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HC II test. Based on these results, the p16INK4a/Ki-67 dual immunostaining method can be a useful diagnostic marker for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LBC and the specificity of HC II test.

      • 구연발표 : 세침흡입 검체를 이용한 분자진단의 적용

        오서영,김효빈,신민식,임민자,성미희,박성휘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08 조직세포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08 No.-

        배경: 분자진단은 감염성 질병진단, 암의 진행 및 진단, 질병 치료약제 처리 결정에 대한 지식과 분자생물학적 기술의 적용으로 진행되며 조직절편이나 세포검체에 RNA 또는 DNA probe를 사용하거나 핵산 추출을 통해 이루어지는 모든 검사를 포함한다. 분자진단은 감염성질병(infection disease), 유전적 질병(inherited disease), 고형암(solid tumor), 혈액종양(haemato-oncology) 진단 등의 네 가지로 구성된다. 분자진단이 유전적 질병의 진단에 보편적으로 이용이 되는 동안 고형암(solid tumor)에 관련된 진단에 세포, 조직 검체를 이용한 분자진단의 적용 필요성에 대해 조직진단 전문가(histopathologists)나 세포진단 전문가(cytopathologists)들 사이에서 의견들이 분분하고 관심도가 증가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세포진단이나 조직진단에 분자진단은 때때로 명확한 진단의 정립에 꼭 필요하고 일반적인 조직, 세포학적 진단에 암의 진행과 질병의 약제처리에 관련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며 세침흡입을 통해 얻은 조직 세포로부터 직접적인 질병의 원인 및 유전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해 준다. 또한, 병리검체는 종종 분자병리진단에 매우 유용한 재료이며 조직, 세포학적 검사의 불일치 진단 보완을 위한 보조적인 진단법으로 이용되어지고 있다. 최근 병리검사에서는 실제로 세포검체를 이용하여 암의 진단 및 혈액 종양의 진단에 분자 검사를 적용하려는 노력과 함께 ‘molecular diagnostic cytopathology``라는 정의 하에 조기 진단 및 치료 정보를 분자 진단의 적용으로 제공하려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조기 진단에 이용되는 세침흡입법을 이용한 검체인 세포와 조직 검체는 검체 채취가 쉽고 용이하며 빠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표본의 양이 적어 분자진단(diagnosis of molecular)에 어려움이 많다. 본 연구는 핵산 추출법의 개선과 cell dissection 기술의 적용을 통해 체액 및 세침흡입법으로 채취한 검체에 돌연변이 분자병리검사를 적용하여 면역검사등과 함께 종양의 유형과 침습 정도 확인 등의 빠르고 정확한 결과를 제공하려 한다. 방법: 2007년 부터 2008년 8월 동안 건국대학교병원에 방문한 환자에서 채취한 체액 및 세침흡입법으로 얻은 검체를 이용하였다 핵산은 원하는 세포만을 현미경하에서 바늘(26gage)로 dissection 방법으로 채취하여 추출하였고 핵산증폭(PCR)은 EGFR, K-ras, B-RAF 유전자 돌연변이검사를 위한 위치를 증폭 시킨 후 pyrosequencer를 이용한 돌연변이 존재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EGFR 돌연변이 검사 총 160건에서 세침흡입법을 이용한 검체는 17건(10.6%), 체액은 13건(8.1%), tissue biopsy 은 123건(76.9%)을 진행하였고 총 28.1%에서 돌연변이가 나타났고 세포 검체에서는 46.7%, 조직검체 에서는 25.2% 의 돌연변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K-ras 돌연변이 검사는 총 122건 중 세침흡입법을 이용한 검체는 9건(7.4%), 체액은 12건(9.8%), tissue biopsy 은 98건(80.3%)을 진행하였고 총 8.2%에서 돌연변이가 나타났고 세포 검체에서는 12.5%, 조직검체 에서는 7.1% 의 돌연변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B-RAF 돌연변이 검사는 총 521 건으로 세침흡입법을 이용한 검체는 452건(86.8%), 수술 조직 검체는 68건(13.1%)을 진행하였고 총 19.2%의 돌연 변이를 확인 할 수 있었고 갑상선암 진단에서 세포 진단에서 Atypical 인 경우 39.0%의 돌연변이가 나타났고 불확실진단(indeterminate)에서는 25%에서 돌연 변이가 나타났다. 고찰: 폐암 환자의 항암치료제를 결정짓는 EGFR 과 K-ras 돌연변이 검사시 수술 후 조직을 이용하기 보다는 수술 이전에 세침흡입법을 통해 얻은 검체로 조직 세포학적 진단과 더불어 분자병리검사를 시행하여 폐암 조기진단과 동시에 암 치료제의 신속한 결정으로 환자 조기 치료에 도움이 되고 있다. 그리고 갑상선 암(papillary thyroid carcinoma) 진단에 도움이 되는 B-RAF 돌연변이 검사에서는 세포 세침흡입 검체의 세포진단에서 Atypical 이나 indeterminate 진단처럼 부정확한 진단에 분자검사를 적용하여 정확한 진단결과를 환자에게 제공하여 수술 및 치료 결정에 도움이 되고 있다. 이는 적은 검체에서 핵산을 추출할 수 있는 핵산 추출법의 적용과 암세포 등의 원하는 세포만을 선택하여 채취 할 수 있는 dissection 기술의 적용으로 돌연변이 검출 확률을 높여 조직, 세포 검사 및 면역병리검사와 더불어 정확한 진단에 도움을 주고 빠른 치료방침을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었다. 조직세포병리진단 분야에서 분자진단은 급속한 발전을 이루고 있고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만큼 새로운 검사법의 적용으로 더 정확한 진단의 직접적, 보조적 방법으로 접근이 필요할 때라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