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학생의 스트레스 대처유형, 대인관계 능력, 자존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성미현(Mi-Hyeon Seong),남혜리(Hye-Ri Na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과에 재학중인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유형, 대인관계 능력 및 자존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는 2016년 3월 1일부터 4월 1일까지 간호과 대학생 169명으로부터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중독위험군이 32%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해본 결과, 일반적 특성 및 스마트폰 사용특성에서 동아리유무, 스마트폰 사용동기와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주요변수에서 스트레스 대처유형의 하위영역 문제 중심, 희망적 관측과 자존감이 스마트폰 중독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문제중심(β=-3.278, p=.031)과 희망적 관측(β=.117, p=.044)을 많이 사용할수록, 자존감(β=-3.149 p=.009)이 낮을수록, 동아리(β=2.744 p=.019)활동을 하지 않을수록, 스마트폰 사용동기(β=-1.122 p=.003)가 의사소통을 위해서일수록, 스마트폰 사용시간(β=2.975 p=.000)이 많을수록 스마트폰 중독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설명력은 43.6%였다. 따라서 간호과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 일반적 특성 및 스마트폰 사용특성을 포함한 영향변인들을 고려하여 중독정도에 따른 차별화된 중재전략을 개발·적용해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tress coping style, relationship ability, and self-esteem on smartphone addiction in nursing students and to provid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s for smartphone addic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69 nursing students and analyzed with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by using SPSS 21.0 program. The smartphone addiction risk was shown to be 32%.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smartphone addiction were problem focused coping style (β=-3.278, p=.031), hopeful prediction (β=.117, p=.044), circles presence (β=2.744 p=.019), motive for smartphone usage (β=-1.122 p=.003), and average daily using time (β=2.975 p=.000). These factors explained 43.6% of the variance in smartphone addiction. In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n intervention program for smartphone addiction, with consideration to the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outlined in this study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우울 및 자기효능감 비교연구: Type D 성격군과 non-Type D 성격군을 중심으로

        성미현 ( Seong Mi Hyeon ),김옥선 ( Kim Ok Sun ),정연옥 ( Jung Youn Ok ),석소현 ( Sok Sohyune )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17 정신간호학회지 Vol.26 No.3

        The purpose of study was to examine and compare the clinical practicum stress, depression, and self-efficacy between Type D and non-Type D personality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used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urvey design. Subjects included a total of 120 nursing students (Type D personality: n=60, non-Type D personality: n=60) in Seoul,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descriptive statistics, x<sup>2</sup>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ANCOVA, and Scheffe test as a post hoc test with SPSS/WIN 21.0 program.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clinical practicum stress (t=2.81, p=.029), depression (t=6.67, p<.001), and self-efficacy (t=9.84. p<.001) between non-Type D and Type D personality among nursing students. Conclusion: Type D personality in nursing students had higher clinical practicum stress and depression than them of non-Type D personality in nursing students. Nursing interventions or strategies for Type D personality in nursing students are needed to decrease clinical practicum stress and depression.

      • KCI등재

        한국판 백신주저성 측정도구의 신뢰도, 타당도 검증

        성미현(Seong, Mi-Hyeon),김인숙(Kim, In-Sook),윤채민(Yoon Chae-Min) 한국웰니스학회 202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백신주저성 측정도구(Vaccine Hesitancy scale)를 한국의 실정에 맞게 개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있다. 한국판 백신주저성 측정도구의 번역은 번역-역번역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내용타당도, 구성타당도, 수렴타당도, 판별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하였다. 데이터는 탐색적요인분석에 150명, 확인적요인분석에 250명 총 400명의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요인구조를 탐색하기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주성분분석과 Varimax회전을 하였으며 aiser-Meyer-Olkin(KMO)검정과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을 통해 두 개의 요인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 한국판 백신주저성 측정도구(K-VHS)는 총 9개의 문항으로 최종 확정되었고, 요인 1 ‘신뢰부족’ 7문항, ‘위험’ 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70이었으며, 구성타당도 검정에서 수정지수(Modification Intex)를 적용하여 수정한 모델을 구축하고 외생잠재변수의 측정오차간 상관관계를 설정한 후 모델의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χ2=19.16(p<.001), CMIN/DF=1.07, GFI=.98, RMR=.02, SRMR=.02, RMSEA=.02, TLI= .99, IFI= .99, NFI= .96, CFI= .99로 나타났다. 또한 준거타당도 검증을 위해 자기효능감 측정도구와 상관관계를 분석결과 유의한 부적상관관계(r= -.21, p= .001)를 보였으나, 준거타당도 기준에는 부합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판 백신주저성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백신주저성 측정도구가 사람들의 백신 예방접종에 대해 망설임 정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추후연구에서 한국판 백신주저성 측정도구를 통해 사람들의 예방행위에 대한 연구 및 간호실무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vaccine hesitancy scale by developing it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Korea. The transl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vaccine hesitancy measurement tool was made through the translation-reverse translation process, and cont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verified. Data were collected from 400 general adults, 150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250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factor structur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Varimax rotation were performed. Two factors were confirmed through Kaiser-Meyer-Olkin(KMO) test and Bartletts sphericity tes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Korean version of the vaccine hesitancy measurement tool (K-VHS) was finally confirmed with a total of 9 items, and factor 1 consists of 7 items of ‘lack of trust’ and 2 items of ‘risk’.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was Cronbachs α = .70, and the model fit was analyzed after establishing a model modified by applying the Modification Intex in the construct validity test, establish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ment errors of exogenous latent variables. Results: χ²=19.16 (p<.001), CMIN/DF=1.07, GFI=.98, RMR=.02, SRMR=.02, RMSEA=.02, TLI= .99, IFI= .99, NFI= . 96, CFI = .99. In addition, the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self-efficacy measurement tool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r = -.21, p = .001) to verify the criterion validity, but it did not meet the criterion validity criteria. Through this stud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vaccine hesitancy measurement tool was verified, and the evidence that the vaccine hesitancy measurement tool could be used to measure peoples hesitation about vaccination was presented. In future studies, it is expect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vaccine hesitancy measurement tool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research on preventive behavior and nursing practice.

      • 중년 남성의 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송지현,성미현,Song, Ji Hyeun,Seong, Mi Hyeon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한국디지털정책학회논문지 Vol.19 No.3

        본 연구는 중년 남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5.0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PSS Process Macro(Model 4), 부트스트래핑 접근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생활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매개변수인 자아존중감의 효과를 고려할 경우 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49이었다. 매개변수인 사회적 지지의 효과를 고려할 경우 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50이었다. 즉, 매개변수를 고려하지 않았을 때 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쳤던 전체효과 .62에 비해 감소되었다. 이를 통해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는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중년 남성의 우울 감소 및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 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depression in middle-aged men.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WIN 25.0 program,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PSS Process Macro (Model 4), and bootstrapping approach. As a result of this study, when considering the effect of self-esteem, a paramet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depression, the direct effect of life stress on depression was .49. Considering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s a parameter, the direct effect of life stress on depression was .50. That is, when the parameters were not considered, life stress decreased compared to the overall effect of .62 on depression.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dep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