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해외 주요국가 투자인센티브제도와 제주투자진흥지구 간 비교연구

        성덕근,최용복 제주대학교 관광과경영경제연구소 2019 産經論集 Vol.39 No.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investment promotion an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investment system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domestic economic special zones such as jeju investment promotion distric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n order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investment promotion, the actual conditions of investment promotion districts and economic special zones are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ies. Then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investment promotion system between the Jeju autonomous region and overseas developed countries was conducted. Based on this analysis,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promotion of investment attraction of Jeju investment promotion districts has been derived. Result -The investment support system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s weaker than that of other competitive international cities and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tax advantages. Thus, the supplementary measures should be provided. In addition, it can be pointed out that the linkage between economic policy, commercial policy and special government policy is insufficient due to the problem of compliance with related industrial polic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licy connection between ministries is insufficient by operating similar special zones for each government ministry. Conclusion - The investment promotion district needs a policy effort to improve the investment efficiency such as shifting the target scope of the investment promotion district to a negative system for fostering the leading industry of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The investment promotion zone needs to make policy efforts to improve investment efficiency in order to foster core industries of Jeju International Free City. Therefore, the scope of investment promotion zone should first be switched from the current positive method to the negative method. Also,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the problem of post-management. It is also urgent to expand the basic infrastructure. However, the location of geopolitical, transportation and economic demands in Jeju Island is inferior compared to those of Hong Kong and other competitors. In view of this, we should seek active support for the expansion of infrastructure in the central government's resources.

      • KCI등재

        불법원인급여에 관한 로마법 전통과 독일민법 및 일본민법을 통한 우리민법 해석론 재검토

        성덕근,정상현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23 성균관법학 Vol.35 No.4

        In general, Article 746 of the Korean Civil Code is understood as a provision that is integral to Article 103. These two regulations have something in common: they have the purpose of preventing anti-social acts and have the function of establishing moral norms as legal norms. However, Article 746 is not a regulation that broadly excludes all claims for refund of wages that are socially condemnable; it is only a regulation that excludes the right to claim refund of unfair profits. Article 103 of the Korean Civil Code can be said to act as a limiting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or as a practical principle of public welfare, an ideology that governs the entire legal system. Therefore, it cannot be said that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se two regulations is exactly the same. The historical meaning of Article 746 of the Korean Civil Code goes through the Japanese Civil Code, and there is a legislative background that inherits the formal framework of the German Civil Code and the substantive significance of the French Civil Code. In other words, Article 387 of the draft Japanese Civil Code(1886) written by French civil law scholar Boissonade stipulated illegal cause benefits. The main text of this regulation stipulated the return of benefits due to ‘cause illicite’, and the proviso stipulated that if the cause of such illegality existed in the beneficiary, the claim for return would be rejected. The Roman law's right to recover unjust enrichment based on immorality(condictio ob turpem causam), which can be said to be the historical origin of illegal causes of benefits, was a limited system that excluded claims for the return of benefits received as a result of morally unscrupulous acts. However, there was a distortion in Justinianus' code that went beyond immoral acts to include violations of mandatory laws. Moreover, the German Civil Code stipulates the invalidity of not only acts that violate good morals(gegen die guten Sitten) but also acts that are contrary to the provisions of the law(Articles 135 and 138), and acts of illegal causes. It went through a historical change that defined the sign in the same way(gegen ein gesetzliches Verbot oder gegen die guten Sitten). The current Japanese Civil Code Article 708 succeeded Article 817 of the German Civil Code, and Article 746 of the Korean Civil Code was also stipulated as the same mark of conduct. Illegal causation benefits were distorted as their scope of application was defined broadly during the compilation of the Roman Code of Law and the modern civil code, especially the German Civil Code. Uniformly rejecting claims for return of unjust enrichment on the grounds that the beneficiary has illegality results in reflexively acknowledging the attribution of such benefits to the beneficiary. This leads to the unreasonable result of not recognizing the return of benefits paid under an invalid contract and fixing it as is. Furthermore, uniform recognition or exclusion of claims for return of unfair profits is possible only when the cause of social criticism lies with one party, the payer or the beneficiary. However, in reality, in many cases, both parties have immoral causes. In some cases, there are cases where blame is stronger on the beneficiary than on the payer. Nevertheless, rejecting refund claims based solely on the blameworthiness of the payer is far from fairness, which is the basic philosophy of the unfair enrichment system. The meaning of illegality as stipulated in Article 746 of the Korean Civil Code should be narrowly interpreted as immoral and unscrupulous cases. Furthermore, deleting this provision itself from the Civil Code would be a way to fundamentally eliminate the irrationality of the illegal cause benefit system. 일반적으로 민법 제746조는 제103조와 표리일체를 이룬다. 이들 규정은 반도덕적 법률행위를 규제하는 법규범으로서 그 역할의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제103조는 선량한 풍속과 사회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실천원리로서 민법뿐만 아니라 전체 법체계를 지배하는 근본이념인 반면, 제746조는 반사회적인 급부의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을 배척하는 규정일 뿐 소유권에 기한 물권적 청구권이나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을 부정하는 일반규정으로 보아서는 안 되기 때문에 그 적용범위가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ᅟᅥᆼ 우리민법 제746조에서 규정한 ‘불법의 원인’은 프랑스민법에서 그 연원을 발견할 수 있으므로 그 적용범위에 대한 해석 역시 이에 기초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이 규정에 대한 역사적 궤적은 일본민법 제708조를 거쳐 독일민법 제817조의 입법과정과 그 변화를 따르고 있다. 봐소나드(Boissonade)의 일본민법초안 제387조에서 본문은 ‘불법의 원인’(cause illicite)에 의한 급부의 반환을 규정하고, 단서에서 그러한 불법의 원인이 급부자에게 존재하는 경우에는 반환청구가 거부된다는 규정을 두고 있었다. 이때 등장하는 불법의 원인은 프랑스민법의 원인론과 그에 관한 법률적 근거에서 기원한다. 고전로마법의 불법원인급여 원리는 부도덕원인의 부당이득반환소권(condictio ob turpem causam)이 도덕적으로 용납할 수 없는 행위에 따라 이루어진 급부의 반환청구를 배척하는 제한적 형태일 뿐이었다. 그러나 유스티니아누스 법전에 의하여 강행법규 위반행위를 포함하는 왜곡에 따라 독일민법은 ‘법률의 규정에 반하거나’(gegen ein gesetzliches Veräußerungsverbot) ‘선량한 풍속에 위반하는’(gegen die guten Sitten) 행위의 무효를 규정하면서(제135조, 제138조), 불법원인급부의 행위표지를 이와 동일하게 규정하는 역사적 변화를 거쳤다(gegen ein gesetzliches Verbot oder gegen die guten Sitten). 현행 일본민법 제708조는 독일민법 제817조를 계승하였고, 우리민법 제746조 역시 이와 동일하게 규정되었다. 결과적으로 고전로마법에서 파렴치한 행위에 따른 급부의 부당이득반환청구를 배척한 제한적 형태가 로마법대전의 편찬을 통하여 사회질서 위반이나 강행법규에 반하는 원인의 급부반환조차 배척하는 적용범위의 왜곡이 있었고, 이를 근대민법전 중 독일민법전에 계수되는 과정에서도 그 적용범위를 넓게 규정함으로써 기인하였다. 급부자에게 불법성이 있다고 하여 일률적으로 부당이득의 반환청구를 거부하는 것은 반사적으로 수익자에게 그러한 급부의 귀속을 인정하는 결과가 된다. 그리고 반환청구의 획일적 인정이나 배척은 사회적 비난 내지 법적 보호의 거부원인이 급부자나 수익자의 일방에게 존재하는 경우에나 가능한 것이다. 그런데 현실적으로 불법원인급여가 관계하는 다양한 사례들은 대개 쌍방당사자 모두에게 그러한 원인이 있는 경우가 많고, 어떤 경우에는 오히려 수익자에게 비난성이 더 강한 경우도 존재한다. 그럼에도 이러한 경우에조차 오직 급부자측의 비난성만을 고려하여 반환청구를 배척하는 것은 부당이득원리의 기본이념인 형평과 거리가 멀다. 우리민법 제746조 본문에서 규정하고 있는 불법의 의미 자체를 좁게 해석할 필요성이 있고, 나아가 이 규정을 삭제하는 것이 불법원인급여 원리가 안고 있는 불합리를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일 것이다.

      • KCI등재

        가상자산의 법적 성격과 민사집행에 대한 고찰 -비트코인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성덕근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22 성균관법학 Vol.34 No.4

        가상자산은 ‘경제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서 전자적으로 거래 또는 이전될 수 있는 전자적 증표’이다. 가상자산의 법적 성격은 민법상 물건이라고 볼 수 없지만, 최소한 재산 또는 재산적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서 채권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보유하고 있는 자가 가지는 권리는 기본적으로 ‘재산권’의 성격을 가진다. 가상자산에 대한 민사집행에 있어서, 먼저 채무자의 가상자산을 탐지하는 방법으로 재산명시절차와 재산조회가 활용될 수 있지만, 보다 효율적인 운용을 위해 민사집행규칙 제36조 제1항 별표에 ‘가상자산사업자’가 추가되어야 한다. 그리고 가상자산사업자가 집행법원 내지 집행관에게 관련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특정금융정보법 제10조 등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가상자산에 대해 압류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가상자산을 민사집행법상 ‘그 밖의 재산권’으로 파악하여 ‘채권에 대한 강제집행’에 관한 절차가 준용되어야 한다. 구체적인 강제집행절차는 가상자산의 보관장소에 따라 달라지는데, 비트코인이 채무자의 전자지갑에 보관되어 있다면 개인키 확보를 위해 채무자의 협조가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압류명령 이후 처분금지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채무자의 협력의무를 입법을 통해 명시하는 조치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비트코인이 거래소에 보관되어 있다면, 채무자는 거래소를 상대로 가상자산반환청구권이 있으므로 민사집행법상 ‘채권에 의한 강제집행절차’를 따라야 한다. 그리고 법원의 압류명령 이후 채무자의 임의처분을 무력화시키는 법적 근거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현금화절차에 있어서는 ‘전자등록주식에 대한 강제집행절차’와 마찬가지로 매각명령과 양도명령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채권자 위험부담에 관한 소고 - 부당해고와 중간수입상환을 중심으로 -

        성덕근,정상현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09 성균관법학 Vol.21 No.3

        Code civil coréen adopte une règle de 'periculum est debitoris' sur les contrats synallagmatiques(art.537 C.civ.). Puis comme l'exception de la règle, il adopte 'periculum est creditoris' à l'art.538 C.civ.. Mais l'art.538 al.2 C.civ. définit l'obligation des débiteur, en tant que "Au cas où le créancier assurait la charge des risque et le débiteur avait des intérêts par l'évitement de sa obligation(exécution), le débiteur doit en rembourser au créancier". Donc le débiteur doit rembourser la somme qu'il a économisé comme le frais de transport au créancier. Cependant sur l'application de cette article à la situation du congédiement, il y a un problème suivant. Si un débiteur(travailleur) qui avait été licencié a obtenu des revenus par autre emploi pendant tout ce temps, on peut considérer les revenus comme 'des intérêts par l'évitement de sa obligation(exécution) de l'art.538 al.2 C.civ.' et il doit en rembourser au créancier(l'employeur qui l'avait licencié)? Beaucoup des auteurs coréens et jurisprudences prétendent que "Au principe, débiteur(travailleur) qui était licencié peut demander sa salaire entière au créancier par l'art.538 al.2 C.civ., mais il doit rembourser autres revenus au créancier parce qu'autres revenus sont 'les intérêts par l'évitement de sa obligation(exécution) de l'art.538 al.2 C.civ.'. Néanmoins, il doit rembourser 30% de la salaire moyenne seulement par l'art.46 al.1 du Code de travail". Mais je m'y oppose par les raisons suivantes. Tout d'abord, l'art.46 C.tra. sur le salaire de la suspension du travail ne doit pas appliquer au cas du congédiement injuste. Parce qu'on doit seulement appliquer le Code de travail au cas des raisons collectives(par exemples-les conditions pour travailer, congé et suivant). Donc on ne doit pas le appliquer au cas du congédiement injuste qui est 'la contravention du contrat de travail entre parties', on doit seulement appliquer l'art.538 al.1 C.civ. au cas du congédiement injuste. Deuxièmement, je ne peut pas admettre 'la relation de la causalité adéquate' entre le congédiement et autre revenu. Parce que la relation de la causalité présuppose le jugement normatif de valeur, que l'employeur qui a provoqué l'état illégal comme le congédiement injuste peut citer 'autres revenus des débiteur' dans le but de réduire sa obligation de payer le salaire. Par ailleurs si l'emplyeur peut citer comme ça, c'est injuste parce que le personne qui a fait l'acte illégal sera avantageux au contraire. La dernier raison, c'est qu'il n'y a pas d'art.615 al.2 de Code civil allemand comme "……, on doit prélever la somme que le débiteur n'a pas obtenu intentionnellement sur la salaire entière" ou de décisions de "National Labor Relations Board, NLRB" aux états-unis comme ça, dans le Code civil coréen. En conclusion, dans le Code civil coréen, on ne doit pas prélever la somme que le débiteur a obtenu des revenus par autre emploi pendant tout ce temps sur autre revenus du débiteur.

      • KCI등재

        민사집행법상 평등주의에 대한 고찰

        성덕근 한국법학원 2023 저스티스 Vol.199 No.-

        우리 민사집행법은 채권자가 경합하는 경우 압류채권자에 의해 개시된 집행절차에서 배당요구의 종기까지 참가한 모든 채권자들을 평등하게 취급하고 채권자가 가지는 채권의 비율에 따라 배당하는 ‘평등주의’를 취하고 있다. 본래 금전집행과정에서 채무자의 재산으로 경합하는 채권자들을 모두 만족시킬 수 없는 경우 채권자들의 경합과 배당에 관한 입법주의로는 ‘우선주의’와 ‘평등주의’ 그리고 ‘군단우선주의’가 존재한다. 이들 입법주의에 대해 비교법적으로 살펴보면, 독일과 미국은 ‘우선주의’적인 강제집행절차를 가지고 있고, 프랑스는 ‘평등주의’를 채택한 대표적인 나라라고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유체동산에 대한 집행을 제외하고 평등주의보다는 우선주의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스위스는 우선주의와 평등주의를 절충한 군단우선주의를 취하고 있고, 일본은 민사소송법의 제정 당시 평등주의적 집행참가제도를 마련하였지만, 구민법을 대체한 메이지민법에서는 구민법상 평등주의의 근거규정이 삭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까지 여전히 평등주의의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우리 민사집행법이 채택하고 있는 ‘평등주의’의 원칙이 과연 채권자들의 이해관계를 정의롭게 조정하는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해 검토가 필요하다. 평등주의가 내포하는 근본적인 문제점으로는 평등주의가 민사집행법상 구현되어야 하는 사적 자치와 조화되기 어렵고, 도산절차와는 달리 개별적 강제집행절차에서는 평등보다 자유가 중시되어야 한다는 점이 지적된다. 평등주의로 인한 실무적인 문제점으로는 i) 복잡한 절차와 비용의 증가, ii) 취약한 채무자보호, iii) 배당요구자가 많아질수록 집행채권자가 불리해진다는 역설, iv) 허위채권신고의 증가가능성 등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고려하자면, 평등주의를 그대로 고수하여 문제점을 방치하는 것보다는 우선주의로 전환함으로써 해소할 수 있는 새로 얻을 수 있는 이익이 더 크다. 다만 실체법상 ‘채권자 평등주의’가 절차법상 ‘평등주의’로 관철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있을 수도 있겠지만, 독일과 프랑스의 경우처럼 민법상 채권자 평등의 원칙을 인정하면서도 집행의 단계에서는 우열을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그리고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 때 현재의 시점에서 평등주의의 대안으로서 우선주의가 고려될 필요가 있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제주국제자유도시 투자지원제도 개선방안

        성덕근(Sung, Deok Guen),김상명(Kim, Sang Myeong),최용복(Choi, Yong bok) 대한부동산학회 2019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7 No.3

        본 연구에서는 투자지원제도의 일반적인 개념을 정리하고, 대표적인 투자진흥지구를 운영하고 있는 제주특별자치도의 투자지원제도를 검토하면서 국내의 경제특구 및 아시아 주요국(일본, 홍콩, 싱가포르)의 투자지원제도와 비교 연구를 진행했다. 이를 통해 투자지원제도 문제점을 도출하여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투자지원제도가 적용되는 한국의 경 제특구는 아시아 주요국과 비교하여 산업용지 가격, 임금수준 등 생산요소 경쟁력이 떨어지며, 법인세율은 높은 반면 세제감면 인센티브는 낮은 점이 외국인투자 유치의 부진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제주투자진흥지구의 경우 세제감면 등의 혜택을 누리면서도 사전계획이 이행되지 않는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외국인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제주투자진흥지구에 입주하는 국내기업에 대해 아시아 주요국의 특구에 적용되는 투자지원제도에서 외국인투자기업과 동일하게 세제 및 자금 지원이 필요하다. 물론 외국인투자에 있어서 규모별 일괄적인 세제감면 인센티브 적용은 특구별로 동일 투자 프로젝트에 대해 과당 유치경쟁이 벌어지고 있어 투자유치의 협상력이 떨어 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특구에 따른 지역별․산업별로 인센티브를 차별화하는 방안을 함께 강구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the general concept of the investment promotion support system is summarized and the investment promotion support system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hich introduces and operates representative investment promotion district, We will carry out comparative studies with investment support system. This suggests the promotion and improvement plan of investment attraction support system. As a result of the study, Korea s economic special zones, which are subject to the investment support system, are inferior in competitiveness of production factors such as industrial land price and wage level compared to other major Asian countries. The corporate tax rate is high and the tax incentive reduction incentive is low. And the Jeju Investment Promotion District has suffered from the problem that the plan is not fulfilled while enjoying benefits such as tax breaks and reductions due to long-term investment delays. Therefore, the incentive for taxation on domestic companies in the Jeju Investment Promotion Zone is needed to revitalize the central functions of attracting foreign investment, as it is necessary to provide tax and financial support as well as investment support system applied to special zones of major Asian countries. The incentive for comprehensive tax breaks by foreign investment scale should be differentiated by region / industry as incentive competition for the same investment projects may occur and the negotiating power of investment attraction may be lowered by other special zone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