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VM TREATMENT 시술에 100% PURE ETAHNOL 사용시 THROMBOSIS 형성시간에 관한 연구

        성낙순,피우현,이헌수,조원홍,안미섭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2016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Vol.19 No.1

        목적: A. V. M Treatment 시술 시 ethanol을 이용하여 시술을 한다. Ethanol이 몸 안에 들어가게 되면 Vascular endothelium demage를 일으키고 지질 자체의 단백질을 파괴함으로써 그로 인하여 thrombosis가 형성되고, 비정상 혈관의 혈류에 영향을 주며, 정상 적인 혈관의 혈류개선을 이루어 치료의 효과를 보게 된다. 이에 본 논문은 A. V. M Treatment시 ethanol이 주입된 후 thrombosis가 형성되는 시간을 실험적으로 알아봄으로써 Ethanol injection 재사용에 대한 시간 간격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실험.1 Normal blood와 blood + ethanol을 대상으로 하여 2분, 4분, 6분, 8분, 10분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적혈구의 형태와 Blood thrombosis의 형태를 관찰하였다. 실험.2 Saline, blood, ethanol을 동일한 용량으로 각 각 saline + blood, saline + blood + ethanol 혼합하여 실험.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Saline, Blood, ethanol을 동량의 비율로 혼합하기 위하여 micro pipette와 Eppendorf를 이용하였고, thrombosis 형태를 관찰하기 위하여 Olympus X-40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일정한 400 배율로 영상을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는 전자 현미경(Olympus-X40)을 이용하여 얻은 영상을 통하여 본원에서 A. V. M Treatment 시술을 하는 교수님 3분을 대상으로 적혈구의 형태와 blood의 thrombosis 형태 변화로 치료에 도움이 되는 시간을 결정하였다. 결과: Saline + blood, saline + blood + ethanol의 시간 흐름에 따른 변화를 비교한 결과 정성적 평가에서 saline + blood의 적혈구 형태와 saline + blood + ethanol 에서의 thrombosis 형태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saline + blood + ethanol에서 thrombosis 형태는 saline + blood에서의 thrombosis 형태와 확연히 구분되었고 thrombosis 생성시간도 더 빠른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상온에서의 Normal blood 와 blood + ethanol을 혼합물 또한 위 실험과 시간적으로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결론 및 고찰: 본 논문에서는 A. V. M Treatment 시술 시 ethanol은 비정상적인 혈관에 Vascular endothelium demage가 일어나 thrombosis가 형성이 되도록 한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Thrombosis가 점 점 더 형성이 되어 8~10분 후에는 Thrombosis의 형성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본 논문은 A. V. M Treatment 시술 시 Ethanol사용은 Thrombosis 형성을 최대화한 8~10분 후 Ethanol을 다시 사용함으로써 적정용량의 Ethanol로 최대의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본 논문 PURE Ethanol(100%)만 대상으로 하여 실험을 하였고, Ethanol 90%, Ethanol 80%, Ethanol 70%, Ethanol 60% 등 각 각의 농도에 따른 Thrombosis 형성시간은 알 수 없었으며, Ethanol 용량에 따른 변화는 관찰 할 수 없어 앞으로 지속된 실험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시술상 주변의 움직임에 따른 시술상 오염도 측정 관한 연구

        성낙순,김상헌,조원홍,안미섭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2017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Vol.20 No.1

        서론: 의료계는 첨단과학을 이용하여 수많은 질병들을 치료하고 있다. 하지만 2015년도 바이러스에 의한 국가 비상사태를 겪으며 의료계는 엄청난 타격을 받음으로 인하여 뼈저린 교훈 을 얻게 되었다. 바로 감염관리의 필요성이다. 수많은 질병을 수술을 대신하여 시술들이 행하여 지는 혈관 조영실에서의 무균적 시술은 당연한 필수 요건이라 하겠다. 시술상 주변의 오염이 곧 환자에게는 치명적일 수밖에 없는 환경에서 실험을 통하여 시술상 주변의 움직임에 의한 오염도 정도를 시각화시켜 같은 직종에 종사자들에게 감염관리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함이다.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암센터 혈관조영실 시술실 출입문이 다른 작은방,큰방 두곳의 시술실을 선정하였다. 2) 실험도구:시술실 안에 있는 낙하균을 실험하기 위한 일반세균(Tryptic Soy Aga,TSA)배지, 진균(Sabroud Dextrose Aagr,SDA)배지, 입자계수기(particle counter, Aero Trak APC 9310-02 Made in USA)(g)(h), 시술상(procedure table) 3) 실험방법 ① 시술상은 벽면에서 20 cm 떨어뜨렸고, 시술상 좌,우측과 중앙에 위치하고 동일한 선상에 일반세균과 진균을 배치하였다. ② 일반배지는 ㄱ1, ㄴ2, ㄷ3 순으로 하였고, 진균 배지는 ㄱ 1-1,ㄴ2-2,ㄷ3-3 과 같이 표시하고 각각을 구분하여 일정한 위치에다 놓고 실험을 하였다. ③ 각 실험은 1시간단위로 하였고, 공조의 변화와 시술실 문의 개폐 등 과 같은 변수를 두었고, 시술상 주변으로 0보,100보,500 보와 같은 실제 움직임에 의한 인위적인 변수도 추가하여 낙하균 실험을 하여 채취된 시료들은 일반세균 32도에서 48시간, 진균은 25도에서 96 시간을 배양해서 현미경을 통한 세균수를 카운터 하여 결과를 도출 하였다. ④ 상위 3가지 방법은 국제 기준에 근거하여 실험을 하였다(ISO 13485) ⑤ 각 실험의 간격 사이는 scrub을 실시하여 추가적인 오염원 발생을 차단 하였다. ⑥ 위 실험과 동일한 조건하에 입자 계수기를 병행하여 실험을 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g,h ⑦ 공조는 내부 순환공조:4회 이상 ,외부 순환 공조 횟수:15회 이상, 양압(10~15Pa) 상태, 고속 mode 설정하여 실험 하였다. 내부 시료 체취량(28.3liter/1분당) 결과: 낙하균 실험 결과 공조 ON 문 CLOSE 상태에서는 움직임이 0 보 일때는 TSA,SDA 는 어떤 위치에서도 발견되지 않았으며,100보,500 증가함에 따라 각각의 배지에서 발견 되었다.공조를 ON 상태, 문은 CLOSE 인 경우 움직임0 보 일때는 TSA 와 SDA 는 발견 되지 않았으나 100보,500보 증가함에 따라 조금 더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공조 OFF ,문 CLOSE 인 경우는 움직임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배지에 TSA와 SDA 가 발견 되었으며,움직임에 의해 좀더 많이 증가함을 확인 하였다.입자 계수기의 결과도 움직임의 증가와 공조ON 상태,문 OPEN 상태보다 공조 OFF 문 OPEN 상태가 공기중 부유 입자의 수치증가를 확인 하였다 고찰: 무균 시술을 행하는 혈관 조영실에서의 낙하균 측정을 위한 배지 실험과 입자 계수기의 실험 결과는 (낙하균 5개 이하/시간)으로 나타났으며, 입자 계수기의 결과 역시 10,000 class 기준에 적합한 상태임을 증명할 수가 있었다. 공조가 ON 상태에서 움직임이 없으면 시술실 내부는 오염되지 않았으며(1시간 단위의 결과), 공조를 off 상태에서의 결과는 기준치 이상의 오염도 증가 하는 결과를 알 수가 있었다. 오염도의 증가 변수는 시술상 주변의 움직임에 의하여 좌우되며, 공조가 가동중인 상태보다 공조를 하지 않았을때 오염도의 증가를 확인 할 수 있었다.실제 시술을 하는 과정에서의 측정하지 못함은 제한점으로 들 수 있었으며,가상의 시술환경 설정으로의 측정을 재현해 봄으로 실제 시술시 발생할수 있는 오염의 정도를 파악하는데 그 의의를 둘수 있겠다. 결론: 혈관조영 시술시는 반드시 공조를 하여야 하고, 시술실 문을 닫고 시술해야 함은 물론 꼭 필요로 하는 경우에만 시술실 에 입실하고 작업함을 권유. 불필요한 움직임은 배제하여야 하며, 시술실 입실시 반드시 손위생 규칙 엄수 및 마스크, 캡 등 복장의 착용준수, Hepafilter 의 정기적인 교체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 선천성 혈관 질환의 치료를 위한 에탄올과 요오드 조영제 혼합물의 크리스탈 성분 분석

        성낙순,김상헌,전진호,고인범,안미섭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2018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Vol.21 No.1

        서론 : 경화제로서 에탄올은 선천성 혈관 기형을 요오드 조영제와 혼합 된 형태로 치료하는데 자주 사용하고 있다 동정맥류 기형의 색전술을 . 위해 에탄올과 조영제 Visipaque 320 (iodixanol)가 혼합되었을 때 결정 형성이 된다는 논문을 접한바 있다1). 본연구는 요오드 함유량에 따라 에탄올과 요오드 조영제를 혼합하여 침전물이 형성되는지 여부와 그 화학 성분을 규명 하여 색전 물질로서 다른 조영제의 안전성 여부에 관하여 논의해 보고자 함이다. 대상및방법: Visipaque 270, 320 (iodixanol), Xenetix 300, 350 (Iobitridol) 4 개의 다른 성분의 조영제를 준비하여, 조영제와 에탄올의 혼합물을 10cc rock syringe 와 3 way를 이용, 50 % 및 80 % 농도로 혼합하고, 피펫 (Eppendorf) (관측 배율 : 100 배, 400 배)을 사용하여 일정량을 슬라이드에 놓고 10 분, 60분, 180 분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각각의 생성물의 변화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결정이 형성되었을 때 원심 분리기로 농축액을 추출하여 성분 분석을 의뢰하였다 결과 : Visipaque 270 과 320두 가지 종류만 크리스털 이 형성되었으며, 3-way를 이용하여 2~3회 에탄올과 조영제를 섞어주면 침전물은 사라지고, 최대 180 분 동안 다른 화학적 반응이 보이지 않았음. 성분 분석결과는 주성분인 요오드 (95 %)와 염소 (4 %), 기타(1%)로 구성되었음을 확인 할수 있었다. 고찰: 크리스탈의 생성으로 동정맥 기형치료에 있어 특정 조영제는 사용 할수 없다1는 주장은 실험 결과에서 보면 반대되는 의견을 제시 할수 있으며, 시간의 경과에도 조영제와 에탄올 혼합물은 변화하지 않는다는 점과 성분 분석 결과 중요성분은 요오드가 주성분이며, 나머지는 극소량의 물질이거나 에탄올 성분에 녹는다는 점과 과거부터 현재까지 선천성 혈관 질환에 사용되고 있는 Xenetix 와 에탄올과 혼합시 화학적인 반응이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결론 : 조영제와 에탄올 혼합시 일시적으로 생성되는 슬러지(생성물)는 녹아서 사라짐과 시간의 경과에도 불구하고 재 생성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성분분석 결과에서 보듯이 I(요오드)와 CL(염소) 성분은 유기 화학적 개념에서 본다면 에탄올과 반응했을 때 녹을 수 있다는 점을 본다면 선천성 혈관기형 시술에 Visipaque 270, Visipaque 320 조영제를 사용함에 있어 색전제 로서 동정맥 혈관기형 시술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SCOPUSKCI등재

        내장 신경 반복차단 예에 대한 임상적 연구

        성낙순(Nak Soon Sung),윤덕미(Duck Mi Yoon),오흥근( 대한통증학회 1990 The Korean Journal of Pain Vol.3 No.2

        N/A Splanchnic nerve block (SNB) is performed to relieve intractable upper abdominal pain caused by carcinoma of the upper G-I tract. Not all patients achieve satisfactory pain relief; therefore, a second or third nerve block trial may need to be performed. In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analyze the possible factors which might affect the result of repeated SNB in 42 the patients among 264 patients who received SNB at Severance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1985 to December 1989.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mong the 42 patients, including 30 males and 12 females, the fifties and forties were the major age groups. 2) Among the underlying diseases, stomach cancer was the most common (18 cases) and pancreatic cancer was next (14 cases). 3) The main locations of pain were the upper abdomen, epigastrium and entire abdomen in decreasing order. 4) Among the thirty-nine cases of first SNB combined with ascites, 13 cases received a repeat block, 81.0% of whom had had metastatic lesion. 5) There were 54.2% who had had single or combined treatment, operation, chemotherapy or radiotherapy before SNB. 6) Twently seven cases (64.3%) had received opioid medication for pain control. 7) In the 75% alcohol group, 11.7% of patients required a second block, and in the pure and 50% alcohol group, 9.6% of patients required a second block within two weeks of the first block. Three cases in both of these repeated block groups required a third block; represent!ng 3.9%, of the 75% alcohol group and 1.6% of the pure and 50% alcohol group. 8) The volume of alcohol used was more than 16 ml bilaterally in both cases. 9) The points of the inserted needle were positioned in the upper and anterolateral part of the L, vertebra on both sides on the anteroposterior roentgenogram. The contrast media was spread upward along the anterior margin of the vertebral body and posteriorly in repeat block. The frequency of repeat block was higher in cases with ascites or metastasis. The instance of repeat block within 2 weeks of the first block was lower in the pure and 50% alcohol group than in the 75% alcohol group. Thus, alcohol concentration and patient status may be considered factors which influence the result of repeated SNB. We suggest early application of SNB in upper abdominal cancer patients.

      • Cleaned room air 사용하는 시술에 대한 혈관 조영실 내 공기 청정도 기준에 관한 고찰

        한웅신,성낙순,김경수,고인범,안미섭,현동호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2019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Vol.22 No.1

        목적 : 현재 수술적 치료를 대신하여 병원 내 혈관 조영실에서 다양하고 복잡한 시술을 시행하고 있다. 이로 인해 병원 내 감염관리 또한 수술장과 더불어 일정한 청정도를 유지해야 한다. 특히 Venous Malformation Sclerotherapy(V.M Scle)과 Balloon occluded Retrograde Transvenous Obliteration(B.R.T.O) 시술의 경우 시술실 안에 존재하는 공기를 직접 혈관 내에 주입 해야 하므로 감염관리에 각별히 신경 써야 할 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체 내에 공기를 주입 했을 경우 문제가 되지 않는 혈관 조영 시술실 내의 공기청정도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대상으로는 삼성서울병원 혈관 조영실 시술실 내에서 실험을 진행 하였으며 측정에 이용된 기구로는 식약청 인증을 받은 입자계수기(particle counter, Aero Trak APC 9310-02 Made in USA)(g)(h)와 시술실 안에 있는 낙하균을 실험하기 위한 일반세균(Tryptic Soy Aga ,TSA)배지, 진균(Sabroud Dextrose Aagr,SDA)배지 이용하였다. 공조 횟수의 경우 20~25회/h 상태에서 진행하였고 공조방법은 난류형 형태로 진행하였으며 HEPA filter의 경우 교체 후 4개월 경과 된 상태였다. 실험은 미항공우주국(NASA) NHB 5340.2에 기준을 두고 진행하였다. 입자 수 실험으로는 공간적 상태는 시술실 문을 닫고 사람이 없는 공실 상태와 실제시술자가 시술을 진행하는 상태에서 각각 실험하였고 위치는 시술실 문 앞쪽과 문 안쪽 부분으로 나누어 입자 계수기를 이용하여 1분간 총 5회에 거쳐 같은 위치, 높이(1m)에서 측정하였다. 입자 수의 크기는 0.5㎛, 1.0㎛, 3.0㎛, 5.0㎛ 크기 별로 입자 수를 측정하여 합산하였다. 낙하균 시술대 위에 일반세균 배지와 진균 배지를 각각 올려 놓은 상태에서 공조상태에서 1시간 동안 채취를 하였고 그 후로 일반세균 배지의 경우 32도 온도에서 48시간, 진균 배지의 경우 25도 온도에서 96시간을 각각 배양하여 실험하였다. 결과 : 입자 수의 결과 사람이 없는 공실 상태에서 문 앞쪽의 경우 0.5㎛ 크기 이상의 입자 수는 평균 2477, 안쪽 시술 측의 경우 평균 1735 나타났다. 실제시술자가 시술을 진행하는 상태에서는 문 앞쪽의 경우 0.5㎛ 크기 이상의 입자 수는 평균 4668, 시술상태의 경우 평균 4474로 나타났다. 실험결과 시술자가 없는 공실상태의 경우 문 앞쪽이 안쪽 시술 측에 비해 1.4배 높은 입자 수를 보였고 실제 시술자가 시술을 진행하는 상태의 경우 문 앞쪽이 안쪽 시술 측에 비해 약 1.1배 수치의 상승을 보였다. 시술자가 없는 상태와 있는 상태에서의 수치를 비교해 볼 때 문 앞쪽의 경우 1.8배의 입자 수 상승이 보여졌고 문 안쪽의 경우 2.5배에 달하는 수치 상승이 보여졌다. 낙하균 실험결과는 일반세균 배지와 진균 배지 모두 낙하균의 colony 즉 집락은 발생 되지 않았고 두 실험 결과 모두 class 10000에 적합한 수치였다. 결론 : 혈관 조영 시술실 내의 공기 청정도 실험 결과 class10000 이내에 공기 청정도 수치가 나타났다. 이는 미국에서 제시하는 미항공우주국(NASA) NHB 5340.2 기준으로 볼 때 BCR(바이오클린룸)기준에서 병원관련 일반 수술실 부분에 합당한 결과이다. 상기 조건의 시술실 내에서 삼성서울 병원 혈관조영실에서 지난 8년간 총 1479명 환자가 시술실 내 공기를 이용한 시술을 진행 하였고 모든 환자에게서 공기에 오염으로 인한 부작용은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혈관 조영 시술실 내의 공기 청정도를 최소한 Class10000내로 유지한다면 시술실 내 공기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은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