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오염된 지하수 처리와 추적을 위한 엑스퍼트 시스템의 개발

        성기원,선우중호 한국수자원학회 1990 물과 미래(한국수자원학회지) Vol.23 No.4

        지하수 오염처리에 관한 문제는 수공학 이외에도 지질학, 화학, 독극물학 등의 전문지식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Expert System(이하 ES)가 설계되기에 이상적인 환경을 지니고 있는 분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오염물질로 오염된 지하수의 처리에 대한 조언과 그것에 대한 추적을 위한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있다. Prolog 언어를 사용하여 개발된 이 프로그램은 현장 실무자에게 독극성의 정도와 화학반응의 축연성, 특정지점의 농도계산을 통하여 현 상황에 대한 심각성의 정도와 대응책을 조언하게 된다. The domain of contaminated groundwater flow is a broad and multidisciplinary field requiring expertise in engineering, geology, chmistry and toxicology, and is an ideal area for the application of Expert System. The Expert System which is developed in this research can assist user to find possible remedial actions in case that the groundwater was contaminated with toxic pollutants. Documentation including the degree of toxicity, the possibility of chemical reaction and concentration of pollutant can be supported also. Prolog, and artificial intelegence programming language, is used to implement the prototype expert system. This expert system can explicitly advise users about contaminants' toxicity, possiblity reaction with other chemicals and their concentrations.

      • KCI등재

        수문지형특성 및 시간응답특성의 상사성을 이용한 Nash 모형 해석

        성기원 한국수자원학회 1997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30 No.2

        Nash 모형의 매개변수를 유역의 수문지형특성과 시간응답의 상사성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를 미계측 유역에 대한 추정방법으로 적용하여 보았다. 유역의 수문지형특성의 상사성은 유역의 지형학적 동질성에 대한 검증방법인 자기상사성을 통해 파악하였으며 시간응답의 상사성은 Nash 모형의 매개변수들과 지체시간 및 도달시간과의 관계를 수립하여 이용하였다. 위천유역의 경우 이러한 상사성에 대한 주목할만한 특징이 발견되었는데 이를 미계측 유역에 대한 매개변수 측정에 이 Parameters of the Nash model were analyzed using similarity concepts for the hydrogeomorphologic and the time response characteristics, then the application of parameter estimation was performed for a basin where no data are available. The self-similarity

      • SCOPUSSCIEKCI등재

        흉추 추간판 탈출증의 Transpedicle Approach에 의한 치료 1예

        성기원,박춘근,김문찬,김달수,강준기,송진언 대한신경외과학회 1984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13 No.2

        A case of T_(8-9) disc herniation presenting with signs of spinal cord compression is reported. The patient was subjected to a transpedicle approach through a midline incision and was cured completely. The other surgical techniques and the diagnostic value of the spine CT are also discussed.

      • SCOPUSSCIEKCI등재

        흰쥐의 실험적 간질에서 뇌량절개술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

        성기원,이재수,최창락,송진언 대한신경외과학회 1989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18 No.1

        In order to study effect of corpus callosotomy for epiletpic lesions located at sensory-motor cortex, changes in amplitude, frequency of background activity and frequency of abnormal discharges of postcallosotomy electroenencephalography(EEG) recordings were observed in the crystal penicillin induced epileptic model of rats. In control group of 10 rats simple right cranietomy was done and needle electrodes were bilaterally inserted into pairetal and occipital scalp, connected to EEG recording system. Experimentally induced epileptic group was obtained by instillation of 1-2 drops of crystal penicillin solution(800,000IU/mI) at right parietal area(20 rats). Postcallosotomy group was consisted of the animals stereotactically performed callosotomy with blunt ended stainless steel, sized 3 ㎜, width and 0.5 ㎜, thickness(20 rats). Preoprative and postoperative EEG recordings were obtained in each animals over 20 mi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Bilateral synchronous epileptic discharges were shown in experimental induced epileptic group, which compared to control group. 2) Section of the corpus callosum caused the abolition of bilateral synchronous epileptic discharges, when compared to experimentally induced epileptic group. 3) Frequency of abnormal discharges in the contralateral hemisphere was more decreased than crystal penicillin-instillated lesion in postcallosotomy group. 4) The Background activity of postcallosotomy group was slower than control group. From the results of EEG analysis, corpus callosum mights play a important role in formation of bilateral synchronous discharges and callosotomy was seemed to be an effective method to control crystal penicillin induced epileptic rats, which had epileptic focus in sensorimotor cortex.

      • KCI등재

        Gamma분포형 함수 적합을 이용한 Clark 모형의 매개변수 간접추정

        성기원 한국수자원학회 2003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36 No.2

        Clark 모형의 매개변수 추정방법을 개선하기 위하여, 순간단위도를 gamma 분포형 함수로 가정하여 매개변수를 추정한 후 이를 Clark 모형의 매개변수로 전환하는 간접 추정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전통적인 Clark 모형의 매개변수 추정방법의 개연적인 부정확성을 개선하는 특징과 더불어 Nash 모형과의 상관성을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제안된 매개변수 추정방법을 위천 유역에 적용한 결과 만족할 수 있는 수준의 추정값을 얻을 수 있었으 An indirect or supplementary approach is proposed for determining the parameters of the Clark's model in order to improve existing defect in estimating the parameters. The gamma-distribution type function is employed to represent the Clark's model, which

      • KCI등재

        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한 능형회귀모형의 검정 : 빈도별 홍수량의 지역분석을 대상으로

        성기원 한국수자원학회 1998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31 No.1

        빈도별 홍수량의 지역분석을 위하여 유역의 지형특성을 독립변수로 이용하는 회귀모형을 검정하였다. 그런데 이들 독립변수들간의 상관관계가 존재할 경우 능형회귀모형이 이용되기도 하는 이 방법은 다중공선성 문제를 극복하는데 적합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능형회귀모형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조정변수가 포함되는 비용함수를 최소화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 최적화를 위하여 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유전알고리즘은 자연 생물의 유전 및 진화과정을 모방한 추계학적 탐색 A regression model with basin physiographic characteristics as independent variables was calibrated for regional flood frequency analysis. In case that high correlations existing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ridge regression has been known to have

      • 규모문제를 고려한 수문응답의 해석 : 1. 모형이론의 유도

        성기원,선우중호 한국수자원학회 1995 물과 미래(한국수자원학회지) Vol.28 No.4

        강우-유출모형의 유도와 적용에 고려되야할 규모문제를 검토하여 모형의 지형매개변수와 해상도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지형인자들의 측정과 계산은 주어진 정보의 해상도에 의존하며 또한 민감하다. 따라서 지형인자를 적용하는 강우-유출 모형은 분석에 이용한 해상도의 영향을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유도된 강우-유출모형은 규모문제가 고려될 수 있는 GIUH 모형으로 이 모형은 유역의 수문응답을 하도망응답과 사면응답으로 분리하여 모의한다. 하도망응답의 계산은 선형화된 St. Venant 식으로부터 유도한 확산근사법을 이용하였고 사면응답은 2모수 gamma 분포식을 사용하였다. 하도망의 지형적 특성과 응답의 초기분포는 폭함수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규모문제를 고려하여 Fractal 이론 및 Melton의 지형법식을 이용하여 폭함수를 유도한국였고 이를 유원위치함수를 이용하여 가중치를 부가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cale problem and to analyze the relations between scale and geomorphologic parameters of the rainfall-runoff model. Generally, measurement and calculation of geomorphologic parameters rely on and are sensitive to the resolution of source information available. Therefore, rainfall-runoff models using geomorphologic parameters should take account of the effects of the map scale used in their development. The derived rainfall-runoff model considering scale problem in this research is the GIUH type model, that is a basin IUH consisting of the channel network response and hillslope response. The cannel network response is computed by means of the diffusion analogy transformed from linearized St. Venant equation and hillslope response is calculated by 2-parameter gamma distribution function. Representing geomorphologic structure of the channel network and initial distribution of its response is width function. This width function is derived by fractal theory and Melton's law to consider scale problems and is weighted by the source location function (SLF) proposed in this research to increase the applicability.

      • 규모문제를 고려한 수문응답의 해석: 2. 적용 및 분석

        성기원,선우중호 한국수자원학회 1995 물과 미래(한국수자원학회지) Vol.28 No.5

        해상도를 고려하는 GIUH 모형에 대한 적용과 분석을 평창강 유역의 소유역인 이목정유역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모형의 적용과 Fractal 분석을 위해 1:25,000, 1:50,000 그리고 1:100,000 축척의 지도를 이용하였다. 따라서 축척간의 비율이 일정한 값을 갖는다. 링크의 길이는 해상도 1mm의 구장기를 이용하였고 Fractal 차원은 Richardson 방법을 사용하였다. 지도의 축척에 따라 매개변수들의 현저한 변화를 발견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매개변수의 물리적 의미를 상실하게 한다. 그런데 Fractal 변환과 의 Melton지형법칙은 이러한 규모문제를 효과적으로 조정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방법은 하도망과 유역간의 연관성을 모형에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GIUH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지수형 GIUH 모형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2모수 gamma GIUH 모형이 좋은 재현성을 보였다. 따라서 Fractal 이론을 도입한 2모수 gamma GIUH 모형은 축척을 고려하는 IUH를 유도하는데 있어서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The application and analysis for the scale considering GIUH model proposed by the authors in this issue have been performed for the leemokjung sub-basin in the Pyungchang basin one of IHP representative basin in Korea. Scales of topographic maps for model application and fractal analysis are 1:25,000, 1:50,000 and 1:100,000. The ratio between successive scales is therefore constant. Link lengths were measured using a curvimeter with the resolution of 1 mm. Richardson's method was employed to have fractal dimension of streams. Apparent alternations of parameters were found in accordance with variations of map scale. And this tendency could mislead physical meanings of parameters because model parameters had to preserve their own value in spite of map scale change. It was found that uses of fractal transform and Melton's law could help to control the scale problem effectively. This methodlogy also could emphasize the relationship between network and basin to the model.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GIUH proposed in this research, the model was compared with the exponential GIUH model. It is proven that proposed 2-parameter gamma GIUH model can better simulate the corresponding runoff from any given flood events than exponential GIUH model. The result showed that 2-parameter gamma GIUH model and fractal theory could be used for deriving scale considered IUH of the basin.

      • KCI등재

        Mallows의 통계량을 이용한 수문응답 추정

        성기원,심명필 한국수자원학회 1999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32 No.4

        비모수능형회귀분석법을 이용하여 수문응답을 추정하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응답을 추정하기 위하여 평균제곱예측오차에 대한 추정량인 CL 통계량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가중행렬은 전통적으로 이용도는 단위행렬과 특수한 형태인 행렬인 Laplacian 행렬을 각각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추정응답의 오차분산을 추정하는 방안에 대한 검토도 실행하였다. 합성자료와 실제자료에 대한 분석 결과 가중행렬과 Laplacian 행렬을 오차분산은 편기 수정된 The present paper describes the problem of hydrologic response estimation using non-parametric ridge regression method. The method adapted in this work is based on the minimization of the statistics, which is an estimate of the mean square prediction er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