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 및 영향요인

        성경자(kyoung-Ja S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5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직무스트레스, 피로, 직무만족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자료수집은 2014년 9월 15일부터 9월 30일까지였으며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자는 D시 내 노인요양시설 및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에 근무하고 있는 여성 요양보호사 232명이었다. 분석은 SPSS WIN ver 21.0과 AMOS (Analysis of Moment Structure) ver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추정하기 위하여 공분산 구조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모형에 포함된 변수들이 피로는 직무스트레스에 의해 4.9% 설명되었고. 직무만족도는 직무스트레스, 피로에 의해 54.6% 설명되었으며 이직의도는 직무스트레스, 피로, 직무만족도에 의해 46.2% 설명되었다. 즉, 직무스트레스, 피로 및 직무만족도가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에 직, 간접적인 효과를 미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직무스트레스, 피로, 직무만족도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고 안정된 평생직장에서 업무를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근무환경 및 근로조건 개선을 위한 정책적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job stress, fatigue, and job satisfaction, which affect the turnover intention of elderly nursing home care workers. Data were collected from Sep.15 to Sep. 30, 2014.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delivered and collected without the respondents’ personal information. The subjects were 232 female care workers working in nursing homes in D ci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1.0 and AMOS 21.0 programs.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affect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care work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The variables included in this study were fatigue, which comprised 4.9% of job stress. Job satisfaction explained 54.6% of job stress and fatigue. The turnover intention was 46.2% due to job stress, fatigue, and job satisfaction. In other words, job stress, fatigue, and job satisfaction had a direct or indirect effec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care workers. In conclusion, job stress, fatigue, and job satisfaction affect the turnover intention. Therefore, a policy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and working conditions is needed to reduce the turnover intention of care workers, and fulfill their duties in a stable life time workpla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