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구 남성사 연구의 주요 의제들

        설혜심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7 젠더와 문화 Vol.10 No.2

        The study of masculinities appeared in the 1980s as a response to the influence of New Feminism and women’s history. This article provides an overview of the history of masculinities, focusing on 5 agendas developed by masculinity studies: 1, the historical re-approaches to make ordinary men visible, in response to the establishment of women’s history; 2, changes of dominant masculinity with periodization; 3, historical cases revealing multiple masculinities as advocated by R. W. Connell; 4, the crisis of masculinity in historical writings, which prompted the revitalization of men’s studies; and 5, men’s studies from the perspectives of performity and fluidity, focusing on behavior subjectivity rather than structure, and analysing its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남성사 연구는 새로운 페미니즘과 여성사의 영향으로 198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이 글은 그동안 서구 남성사가 내놓은 주요 성과물들을 남성연구의 주요 테제들과 연결시켜 개괄한다. 1. 여성사 출범의 문제의식이기도 했던 ‘남성 되살려내기’를 구현한 역사연구, 2. 남성사 고유의 주제라 할 수 있는 남성성의 시대적 변천문제, 3. 코넬(R. W. Connell)이 제창한 복수의 남성성(multiple masculinities)을 보여주는 역사적 사례들, 4. 남성연구의 중흥을 불러일으킨 ‘남성성의 위기(crisis of masculinity)’ 테제, 5. 구조보다는 행위주체성을 주목하는 수행성과 유동성 개념을 적용한 남성사 연구들을 차례로 소개하며 그 특징과 한계를 분석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18세기 대영박물관에 전시된 인삼: 입수 경로와 당대의 반응

        설혜심,Sul, Heasim 고려인삼학회 2021 인삼문화 Vol.3 No.-

        이 연구는 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한 박물관으로 꼽히는 대영박물관이 개관 당시부터 인삼을 주요 전시품으로 취급하고 있었음을 학술적으로 규명했다. 대영박물관은 영국의 저명한 의사이자 과학자, 수집가인 한스 슬론(Hans Sloane, 1660-1753)의 유언에 따라 그의 컬렉션을 토대로 건립된 것으로, 인삼을 비롯한 '식물성 물질 표본(Vegetable Substances specimens)'이 그 핵심에 놓여 있었다. 이 글에서는 먼저 슬론이 방대한 컬렉션을 모으는 과정을 재구성하면서 영국의 초기 제국주의와 본초학, 수집과의 관계를 밝혔다. 대영박물관에 전시되었던 인삼 표본 4개--Radix Ginseng or ninzin from China (VS 532)/ Ginseng. Id (VS 8,198)/ Roots & seeds of Gin-seng (VS 7,825)/ Ginseng root (VS 12,140)--의 출처와 입수 경로를 추적하였다. 이들은 각각 중국, 일본, 북아메리카에서 온 것으로, 각각 고려인삼, 죽절삼, 화기삼으로 추정된다. 당시의 영향력 있던 인쇄물을 통해 인삼이 대영박물관의 주목할 만한 전시품으로 대중들에게 홍보되었으며, 영국에서는 화기삼이 고려인삼에 비해 열등한 평가를 받고 있었다. This research uncovered that the world-renowned British Museum has displayed ginseng as part of notable exhibitssince its opening. The British Museum was established in 1753 upon the bequest of Sir Hans Sloane, a famous physician, scientist, and collector. At the heart of his collections was the vast amount of vegetable substance specimens. This study first reconstructed Sloane's collection activities in the context of British Imperialism and botanical science in the early modern period. It then traced the origins and routes by which four ginseng specimens were obtained: Radix Ginseng or ninzin from China (VS 532), Ginseng. Id (VS 8,198), the roots and seeds of ginseng (VS 7,825), and ginseng root (VS 12,140). These specimens were presumed to originate from one type of Korean ginseng from China, a Japanese ginseng variant from Japan, and two ginseng species from North America. The English public learned about ginseng and ginseng exhibits via a flourishing printing culture. In England, Korean ginseng was appreciated much more highly than American ginseng.

      • KCI등재

        매너에서 에티켓으로: 19세기 영국의 에티켓북과 중간계급 헤게모니 신화

        설혜심 영국사학회 2023 영국연구 Vol.49 No.-

        While many historians viewed that the English middle class with economic power and moral virtues achieved supremacy over Victorian England, revisionists argued for the persistence of aristocratic power throughout the 19th century. This article, focusing on the etiquette books, re-examines the myth of ‘the victorious middle class’ in Victorian England. 18th century England, armed with the concept of the concept of ‘politeness’ developed the middle class manners which despised the French Courtly civilité and extolled the virtues of social openness. 19th century etiquette, however, was a file of detailed behavioral instructions lacking the concept of moral virtues. The traditional aristocracy invented and constantly changed the rules of etiquette to exclude the rising middle class from the arena of dominance. Exclusive residential social gatherings, with dinner parties and drawing room intercourse and the role of hostess, gained increasing social importance. Etiquette books began to comprise court etiquette, such as Levée and Drawing room receptions, locating Queen Victoria on the apex of social hierarchy and disseminated the respect of the traditional social order. The popularity of the etiquette books suggests that the assumption of the middle class’s cultural hegemony in 19th century England was a myth. Rather, etiquette could be a valuable prism that projects the cultural integration in progress between the middle class and aristocratic values. 많은 학자가 경제력과 도덕성으로 무장한 중간계급이 19세기 영국 사회를 장악했다고 보았지만, 수정주의자들은 귀족의 영향력이 19세기 내내 지속되었다고 주장했다. 이 글은 에티켓북에 초점을 맞추어 빅토리아 시대 중간계급 신화를 재검토한다. 18세기 영국에서는 프랑스 궁정식 매너와 대타적으로 폴라이트니스(politeness) 개념을 내세워 중간계급 특유의 개방적인 매너를 발전시켰다. 하지만 19세기 새로 등장한 에티켓은 도덕적 요소는 상실한 세세한 행동지침의 총합이었다. 전통적 지배층은 부상하는 중간계급을 배척하기 위해 까다로운 에티켓을 발명하고 끊임없이 그 내용을 변경해갔다. 또한 배타적인 저택의 회합이 중요해지고 디너파티, 드로잉룸 교제, 여주인의 역할이 강화되었다. 에티켓북은 레비와 드로잉룸 알현식 등 왕실 에티켓을 싣기 시작하는데, 이는 사회적 위계질서의 정점에 여왕을 위치시키며 전통적 질서에 대한 존중을 전파하는 것이었다. 에티켓북의 인기는 19세기 영국 중간계급의 문화적 헤게모니 도식이 신화였음을 드러낸다. 오히려 에티켓은 이 시대에 전통적인 상류층과 중간계급 사이에 문화적 융합이 일어나고 있었음을 잘 드러내 준다.

      • 역사학과 상상력은 어떻게 만나는가?

        설혜심 延世大學校 文科大學 2008 人文科學 Vol.88 No.-

        근대 역사학이 과학적 검증성을 통해 합리적 인과관계를 도출하는 것을 본질로 천명한 이래 역사학은 상상력과는 동떨어진 학문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미 지나간 과거를 고찰의 대상으로 삼는 역사학에는 상상력이 필수적으로 개입한다. 이 논문은 역사연구에 있어 상상력이 동원되거나 개입되는 다양한 방식을 소개하며 역사학에서의 상상력의 중요성을 되짚어보는 글이다. 상상력은 오랜 학문인 역사학을 지속시켜온 가장 중요한 원동력으로, 상상력으로 인해 역사는 절대적인 '과거'가 아닌, 끊임없이 새로워질 수 있었다. 이제 역사가는 역사적 사건뿐만 아니라 과거 사람들의 꿈과 상상력까지도 고찰의 대상으로 삼게 되었고, 미시사와 감각의 문화사 같은 새로운 접근들이 이 분야를 한층 풍부하게 만들었다. 여기서 한 시대를 온전하게 재구성하고자 하는 '사회적 상상력'은 특히 중요한 요소로 부각된다. 검증적 작업에 있어서도 역사가의 건전한 상상력은 부족한 사료를 메워주는 접착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역사가는 무의식적으로 역사가라는 동질적 집단을 상정하는가 하면, 기술의 대상으로 관습적인 상상의 공동체를 조형해 내곤 한다는 문제점도 안고 있다. 한편, 역사의 생산자인 역사가뿐만 아니라 소비자인 독자들 역시 상상력을 발휘하며 역사서술을 접하게 되는데, 향후 역사가들은 역사소비에 개입되는 독자들의 상상력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Since modem history proclaimed the rational empirical causal explanation as its true vocation, historical study has often been perceived as a learning without imagination, Imagination, however, is essential to the historical study. With imagination, history has constantly been able to renew itself, and the historical analysis now encompasses, not only the external events and the historical situations, but also the dreams and imaginations of the people who lived the past. Such new historical methods as the micro-history and the cultural history of senses enrich these arenas where the concept of 'social imagination' emerges as a crucial factor. Even in the field of empirical analysis, historian's sound imagination is useful and often desired, because it could fill the gaps appearing on the imperfect historical evidences. Meanwhile, historian must stay vigilant against the abusable application of imaginative concept in his own historical writing, like 'us(historians)' and such other homogeneous groups as 'nation' and 'community.' Now, besides the imagination of the historian who produces history, more attention is required to explain the imagination of the readers who consume history.

      • KCI등재

        품격이 필요해: 엘리아스의 『문명화 과정』과 18세기 영국의 매너

        설혜심 영국사학회 2022 영국연구 Vol.48 No.-

        This article analyses three courtesy books of the 18th century — the propriety text for young gentlemen and ladies, The Polite Academy; Erasmus Jones’s conduct manual for social upstart, The Man of Manners, or Plebeian Polish’d; Samuel Richardson’s letter-writing manual, Letters Written to and for Particular Friends. These sources prove the existence of a variety of new manners for the middle class in 18th century Britain, challenging Norbert Elias’s argument that French courtly manners of the 17th century were spread down to all over Europe without any notable resistance. Although British manners contained some French influences, the manners of the middle class despised the superficiality of French manners, and accentuated the simplicity, sincerity and concern for others. While these texts reveal the awareness of commercial society and social mobility, they also emphasize the idea that polite manners were the important means to unite and ameliorate the commonwealth. That is where manners, which prompted the politeness debate in the political thought of the 18th century, are associated with the British character and patriotic discourses. 이 글은 18세기 예법서 세 권—소년 소녀를 위한 예절 교본인 『품격 있는 아카데미』; 에라스무스 존스가 벼락출세한 사람을 위해 쓴 『매너 있는 사람』; 사무엘 리처드슨의 서간문범(書簡文範) 『특별한 친구에게 쓰는 편지들』—을 분석한 것이다. 17세기부터 프랑스 궁정 매너가 유럽 전역으로 별다른 저항 없이 사회 저변부로 퍼져나갔다는 노르베르트 엘리어스의 도식과 달리, 이 사료들은 18세기 영국에서 중간계급을 위한 새롭고 다양한 형태의 매너가 생겨났음을 증명한다. 프랑스의 영향을 받은 예법도 일부 존재했지만, 전반적으로 영국 중간계급의 매너는 겉치레를 경계하며 단순성과 진정성, 타인에 대한 배려를 강조하는 것이었다. 이들 예법서는 상업 사회와 사회적 이동성에 대한 분명한 자각을 드러내는 한편, 품격 있는 매너가 공동체의 화합과 발전을 가져올 중요한 수단임을 강조한다. 그것이 바로 18세기 정치담론 폴라이트니스 논쟁을 촉발한 매너가 영국성 및 애국 담론과 연결되는 지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