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전 70주년과 21세기 미국의 동북아 동맹전략 -전후체제 변경시도에 대한 공격적 현실주의의 평가와 대응방안-

        설인효 ( Inhyo Seol ) 한일군사문화학회 2015 한일군사문화연구 Vol.20 No.-

        2015년은 제2차 세계대전 종전 70주년을 맞는 해이다. 이러한 역사적 시점은 과거를 청산하고 새로운 출발을 다짐하는 계기가 되기도 하지만, 과거의 역사에서 우리가 배워야 할 바를 다시 한 번 상기하고, 그러한 교훈의 관점에서 현재를 재조명해야 하는 시점이기도 하다. 동북아에서 미국의 동맹정책은 미일동맹과 한미동맹이 상호보완적 관계로 공존하며 안정적 지역질서를 유지함과 동시에 일본의 재무장을 막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중국의 부상과 미국의 상대적 쇠퇴가 진행되면서 미국은 동맹 네트워크 유지의 부담을 줄이고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미일동맹을 강화하고 있다. 한국에 대해서는 중국에 지나치게 경사되는 것을 우려하고 있으며 한미일 삼각협력 강화를 종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중일갈등을 확대하고 미중갈등을 악화시켜 미중협력의 전략적 이익을 상실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세력관계 변화의 시기에 모든 국가들이 자국의 입장에서 합리적 선택을 고집할 경우 파국적 결과를 피할 수 없다는 것이 역사의 교훈이다. 미국은 전후 체계의 기본 공식에 따라 미일동맹과 한미동맹을 함께 발전시키되 한국이 한미동맹과 한중관계를 함께 발전시킬 수 있도록 허용함으로서 중국에게 평화적 공존에 대한미국의 의지를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2015 is the 70th anniversary of the end of the WWII. The historic moment like this has two different meanings. First, it``s time to rearrange and restart the historical clock. Second, it``s time to remind ourselves the lessons we should not forget from historical experiences. US alliance strategy in Northeast Asian region after the WWII has been based on the combination of strong S.Korea-US alliance and US-Japan alliance. The strategy has basically aimed to keep stable regional order, but importantly it has also had the function to prevent Japanese remilitarization. With the rise of China and relative decline of US, United States is now trying to alter the basics of its regional alliance system strengthening Japanese military role. However, the approach has the danger to strengthen the tensions between China and Japan, and the tensions between the two can be transferred to degeneration of US-China relations. US should keep the basic rules of combination of the two alliances limiting the military role of Japan. And by allowing S.Korea to develop S.Korea- China relations with S.Korea US alliance, the country can send signal of its real intention that US wants to keep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China as long as it can be.

      • KCI등재

        우크라이나 전쟁과 미래전: 인도-태평양 지역 및 한반도에 대한 함의

        설인효 ( Seol Inhyo ),배학영 ( Bae Hackyoung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23 국방연구 Vol.66 No.2

        미래전은 정보화전에서 지능화전으로 그 양상이 변모할 것이다. 전쟁의 본질은 체계의 대결에서 알고리즘의 대결로, 승리의 조건은 제정보권 달성에서 제지능권 달성으로, 수행의 주체는 인간에서 인간-기계 복합체계로, 수행방식은 네트워크 중심전에서 클라우드 중심전으로, 승리의 요체는 체계공략에서 인지공략으로 바뀔 것이다. 우크라이나전에서 드러난 미래전 양상은 다영역 작전, 사이버·정보전, 우주전, 인공지능 이용, 드론 및 무인기술의 활용, 인지전 수행의 본격화, 하이브리드전의 혼전 등 일곱 가지이다. 향후 기술발전 및 미·중 군사경쟁 양상을 고려할 때 한반도를 둘러싼 인도-태평양 지역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미래전 양상이 반영되며 전쟁 수행방식 및 전장 공간이 변모해 나갈 것이다. 우크라이나 전쟁의 교훈이 작용하고 대만을 둘러싼 군사적 긴장이 고조될 경우 이와 같은 변화가 가속적으로 진행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은 한미동맹 차원에서 새롭게 도입될 미래전 요소 및 양상에 유의하며 미래의 변화에 대비, 대응해야 할 것이다. The nature of future wars will transform from an information-based conflict to an intelligence-based one, and victory will depend on achieving dominance in intelligence rather than in information. The actors involved in warfare will shift from being human-centric to being human-machine composite systems. The mode of warfare will evolve from a network-centric to a cloud-centric one, and the object of attacks will change from system-based to cognition-based strategies. Seven characteristics of future wars have emerged from the conflict in Ukraine: multi-domain operations, cyber and information warfare, space warfare,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drones and unmanned technologies, the intensification of cognitive warfare, and the hybridization of warfare. Given the future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the nature of the military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surrounding Indo-Pacific region are likely to experience various forms of future warfare, which will require the transformation of the mode of warfare and the battlefield. The lessons from the conflict in Ukraine and the escalating military tensions surrounding Taiwan suggest that such changes may accelerate. In this context, South Korea needs to be alert to the new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future warfare that will be introduced through the US-South Korea alliance and prepare to respond to these changes.

      • KCI등재

        위협인식의 변화가 작전개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공해전과 다영역작전을 중심으로

        송진호 ( Jinho Song ),설인효 ( Inhyo Seol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24 국방연구 Vol.67 No.2

        본 연구는 위협인식 변화가 작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0년대 전반부와 후반부 미국의 대중국 위협인식과 중국을 겨냥한 대표적 작전개념을 분석의 대상으로 했다. 먼저 미국의 공식적 전략문서인 국가안보전략서, 국방전략서, 국가군사전략서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10년대 중반까지 미국의 대중 위협인식은 잠재적, 미래적, 차선적 성격을 갖는 반면, 2010년대 후반기가 되면 최우선적, 현재적 위협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는 점을 확인했다. 이와 함께 두 시기를 대표하는 대중국 작전개념인 ‘공해전(Air-Sea Battle)’과 ‘다영역작전(Multi-Domain Operations)’을 비교·분석했다. 공해전은 중국을 잠재적, 차선적 위협으로 인식한 결과로 형성 및 발전되었으며, 중국 본토의 지휘통제시설 타격을 포함한 대규모 공격 등 군사전략 상 직접적 접근 특성을 보였다. 이와 달리 다영역작전은 중국과의 실제 군사적 충돌 가능성을 상정하였고, 순차적이고 단계적인 접근, 경쟁 상태로의 회귀 등을 강조하는 군사전략 상 간접적 접근의 특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분석은 대상국에 대한 위협인식의 차이가 작전개념의 성격과 양상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보여주며 동시에 개별 작전개념의 본질적 속성을 분석하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해 주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changes in threat perception on operational concepts,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United States. It analyzes the evolution of the U.S. perception of the Chinese threat from the early to the late 2010s and examines representative operational concepts aimed at China during these periods. Initially, the study delves into official U.S. strategic documents, such as the National Security Strategy, National Defense Strategy, and Military Strategy, to trace the trajectory of threat perception. It was observed that up until the mid-2010s, the U.S. perceived the Chinese threat as latent, future-oriented, and secondary. However, by the latter half of the decade, this perception shifted towards viewing China as a primary and immediate threat. Furthermore, the study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two pivotal operational concepts targeting China from these respective periods: ‘Air-Sea Battle’ and ‘Multi-Domain Operation.’ The ‘Air-Sea Battle’ concept, which emerged during a time when China was considered a latent and secondary threat, is characterized by direct military strategies, including large-scale attacks targeting command and control facilities on the Chinese mainland. Conversely, the ‘Multi-Domain Operation’ concept, which presupposes the potential for actual military conflict with China, emphasizes a more indirect military strategy, advocating for a sequential and phased approach and a return to a state of competition. This analysis highlights how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threats against a target nation can influence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operational concepts. Additionally, it offers a new perspective on analyzing the intrinsic attributes of individual operational concepts, underscoring the dynamic interplay between threat perception and strategic military planning.

      • KCI등재

        미 합동작전개념의 형성과정과 각 군 간 경쟁 -공해전투와 다영역작전 개념 사례 분석-

        송진호 ( Song Jinho ),설인효 ( Seol Inhyo ) 한일군사문화학회 2024 한일군사문화연구 Vol.41 No.0

        본 연구는 합동작전개념의 형성 및 발전과정 고찰을 위하여 2010년대 이후 미국의 합동작전개념 형성을 주도했던 공해전투와 다영역작전의 형성 및 전개과정을 분석하였다. 특히 이 과정에서 각 군 간 경쟁이 갖는 의미를 조명하기 위하여 두 작전개념의 등장과 발전과정에서 각 군의 역할과 노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통상적으로 각 군 간 경쟁은 소모적이고 부정적 영향이 큰 것으로 인식된다. 그러나 미군의 사례를 살펴보면 새로운 합동작전개념 선점과 이를 통한 자군의 역할 확대를 위한 경쟁이 보다 완성도 높고 합동성을 갖춘 개념 발전에 상당한 기여를 했다는 점이 발견된다. 즉 합동작전개념의 선정 및 발전에 전투실험, 군사연습 등 객관화된 지표가 존재하고 공정한 경쟁이 보장될 경우 각 군은 보다 우수한 작전개념 제시를 위해 선의의 경쟁을 벌이고 그 결과 새롭게 제기된 군사위협 대응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 산출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우수한 합동작전개념의 산출은 우리 군에도 중대한 과제이다. 우리 군도 각 군 간 경쟁이 혁신적 개념 산출의 추동 요소가 될 수 있도록 건전한 경쟁을 촉발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을 위해 노력해 나가야 할 것이다. In order to examine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joint operational concepts, this study analyzes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Air-Sea Battle and Multi-Domain Operations, which have dominated the formation of U.S. joint operational concepts since the 2010s. In particular, it systematically analyzed the roles and efforts of each military in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the two operational concepts to shed light on the meaning of interservice rivalry in this process. In general, interservice rivalry is perceived as consuming and having a negative impact. However, the U.S. military’s case shows that competition to win new joint operational concepts and expand the role of its own forces has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more complete and joint concepts. In other words, if objective indicators such as warfighting experiments and military exercises are present in the selection and development of joint operational concepts and fair competition is guaranteed, each military can compete in good faith to present superior operational concepts and, as a result, produce effective measures to respond to emerging military threats. Producing a superior joint operational concept is a major challenge for our military. Our military should strive to create the conditions to spark healthy competition so that competition among the services can be a driving force for innovative concep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