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서울 자치구들의 학교시설에 대한 공평성 연구

        설인환(Seol In Whan) 한국정책개발학회 2012 정책개발연구 Vol.12 No.1

        This paper analyzes whether the current school facility funding systems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Seoul equally provide school facilities to 25 autonomous districts within. A school funding analysis framework was specially designed for this study, and it was us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funds for school facility is adequately provided to each district, whether it is horizontally and/or vertically equitable, and whether school facilities differ according to the fiscal condition of the distric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urrent school facility funding systems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re not equitable. The adequacy ratio in the school site analysis was more than 1.0, which shows it only meets the minimum criteria. The adequacy ratio in the school building analysis was only 0.83 per student. It was concluded that the current funding system is fiscally neutral and horizontally equitable, but not vertically equitable. In the fiscal neutrality analysis,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adequacy ratio of school facility per student and property tax per student. Horizontal equity can be inferred from the relevant variables including the range,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McLoone index and Verstegen index. However in the vertical equity analysis, additional support for the growing districts was not significant. 본 연구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학교시설비 지원제도가 서울에 있는 25개 자치구들에게 학교시설을 공평하게 제공하는 시스템인지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분석방법은 교육재정 분석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모형을 사용하여 학교시설이 충분한 수준으로 지원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또 수평적으로, 수직적으로 공평한 지원이 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아울러 자치구들의 재정형편에 따라 학교시설이 달라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자치구들에 대한 학교시설비 지원시스템은 공평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충분성 분석에서 자치구들의 학교교지 충분도는 1.0 이상으로 나타나 최소한의 기준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교건물의 충분도는 학생당 0.83으로 나타나 불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평적 공평성 분석에서 범위, 변동계수, 맥룬지수, 버스티겐지수등 수평적 공평성 평가척도들의 값을 본 결과 수평적으로 공평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직적 공평성 분석에서는 학생 수가 늘어나는 성장자치구들에 대한 추가적 지원이 뚜렷한 양상으로 확인되지 않았으므로 수평적 공평성은 존재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다. 끝으로, 재정적 중립성분석에서, 비록 학생당 학교시설의 충분도와 학생당 재산세 간에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재정적 중립성은 확보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후보

        지방교육행정기관 사업별 예산제도의 개선 방향

        설인환(Seol In Whan),송재석(Song Jea Shuck) 한국정책개발학회 2010 정책개발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2008년부터 도입 시행하고 있는 지방교육행정기관의 사업예산제도 운영에 대한 사업구조화 이론을 검토하고, 미국과 호주,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수행되고 있는 지방행정기관들의 예산 집행사례를 비교함으로써 도출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바람직한 개선 방향을 제언하는데 있다. 사업예산제도를 도입하는 목적은 각 조직의 활동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수 단적인 사업들을 중심으로 예산을 편성함으로써 조직의 활동이 명확해지고 성과와 연계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 운영되고 있는 지방교육행정기관에서 시행중인 사업별 예산제도는 구축할 당시부터 지방교육자치단체의 자율적 정책이나 사업들을 중앙정부가 획일적으로 결정해주었기 때문에 지방교육자치의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따라서 정책사업과 단위사업 결정권한을 지방교육행정기관에 일임해주기 위해서는 현재 교육과학기술부가 담당하고 있는 업무를 행정안전부로 통폐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지방교육행정기관도 지방자치단체 사업예산 지침에 따라 사업예산의 사업 구조화를 실행하도록 하는 방안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operational issues of the local education budgeting system in Korea by comparing the program structure of local governments in the United States, Australia, and Korea, and to propose ways to solve the problems identified in the Korean budgeting system. The budgeting system clarifies the activities performances of an organization by implementing instrumental programs that will enable the realization of fundamental goals. The budgeting system implemented by current local offices of education, however, contains obstacles that interrupt the autonomous activities of local offices of education because of central government intervention. It is necessary to transfer a part of the responsibiliti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o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in order to expand the effectiveness of local offices' policies. Thus, the most desirable outcomes for local offices of education are achievable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program structuraliz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ame guidelines for budgeting system used by local governments.

      • KCI등재

        지방의회 의원들의 쪽지예산에 관한 연구 : 서울시의회 지방교육예산 심의과정을 중심으로

        설인환(In Whan Seol) 한국정책개발학회 2021 정책개발연구 Vol.21 No.1

        쪽지예산의 사전적 의미는 예산심의 과정에서 국회의원들이 예산심사를 맡은 위원들에게 자기 지역구 사업을 예산에 편성해달라고 쪽지로 부탁한 예산을 말한다. 일반적인 의미는 예산안 심의과정, 특히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의원들이 자신의 지역ㆍ민원사업 등을 추가로 끼워 넣는 예산을 말한다. 이것은 의원들이 쪽지에 적거나 원내대표 의원이 의원들의 요구를 집계해서 서류목록(쪽지)으로 예산 심사 소위 위원들에게 전달되는 관행에 대해 붙여진 이름이다. 해마다 우리나라 언론들이 의원들의 쪽지예산을 비난하는 이유는, 사업 타당성검토도 없이 선심성으로 예산 심의과정에 불쑥 끼워 넣고 통과되게 되면, 계속해서 장기간 예산이 투입되므로 예산낭비를 초래한다는 점이다. 또 소위 실세 의원들이 많이 가져가고 힘이 약한 의원들은 그렇지 못해서, 지역구 주민들 간에 형평성 문제도 발생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비난에도 불구하고, 의원들의 쪽지예산 관행은 왜 없어지지 않는 것일까? 개선은 가능한 것인가? 다른 나라들도 그런가? 본 연구는 이러한 의문에 답해보기 위해 대통령제 국가인 미국의회 사례와 내각책임제 국가인 호주 의회 사례를 분석한다. 쪽지예산이란 것이 불가피한 것인지를 살피고, 쪽지예산이 성행하는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우리나라 정치·예산제도도 살핀다. 본 연구의 성과는 지방과 중앙을 정치시스템이 같기 때문에 국회의원과 다른 지방의원들의 쪽지예산 연구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city councillors’ pork barrel spending during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education budget approval,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current practice. This study includes 10 years’ data from 2010 to 2020 budget year. The scop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were used to analyze the equity in earmarked spendings. According to the analysis, city councillors’earmark spendings was about one percent of the total education budget, and the members of the subcommittee on Budget accounted about two percent, which was twice as much. In the equity analysis,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for each year varied from 0.6 to 1.3, which seemed to reveal a considerable inequity, however, the one for the sum of the 10-year data was 0.4, indicating that the level of inequity was not so high in large stands. It was also found that one of the reasons why city councillors try earmarks lies in the budget system, which bans budget increase or the introduction of new items. According to an analysis on earmarks in the U.S, members of Congress earmarked around one percent of the discretionary spending every year. It seems that the controversial practice has been continued even though the president has the right of veto and there are strong CSOs such as CAGW monitoring the earmark spendings. In Australia, earmarking has been an issue relevant to the leadership group rather than individual MPs; they were accused of allocating more funds in specific areas to appeal to marginal seat voters. The Australian government is taking measures to consider MPs in the process of funding school facilities.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cabinet system, the budget approval process was so simple that the controversy over earmarks was difficult to find among individual MPs.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is needed to develop and implement new strategies in order to improve the inequity found in city councillors’earmarking practice. Based on the above conclusion, the following are suggested; First, it is needed to legislate a local ordinance on funding for the minor capital works, which specifies financial support for at least one per year to all schools. Second, since the current two-time notice system of grants is likely to cause supplementary budget and pork barrel spending, it shall be improved to the one-time notice system. Finally, the Ministry of Education shall give local governments more authority on financial decisions by increasing the portion of general grants and decreasing the portion of special gr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