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공 고관절 치환술 후 발생된 대퇴 스템 주위 골절

        이중명(Joong-Myung Lee),황대우(Dae-Woo Hwang),최희준(Hee-Joon Choi),설용동(Yong-Dong Seol),이돈석(Don-Seok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5 No.2

        목적: 인공 고관절 치환술 이후에 발생한 대퇴 스템 주위 골절을 Vancouver 방식에 따라 분류하고 각각의 치료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1년 8월부터 2008년 2월까지, 인공 고관절 치환술 이후에 발생한 대퇴 스템 주위 골절, 총 44명 44예 중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기능하였던 32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Beals와 Tower의 기준을 이용하여 치료결과를 판정하였다. 결과: 치료결과는 우수가 27예, 불량이 5예로, 불량한 결과를 보인 5예 중 불유합이 4예에서 발생되어 3예에서는 내고정술을 시행하였고, 나머지 1예는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불량한 결과를 보인 나머지 1예는 시멘트형 스템 B1형 골절 치료 후 스템에서 이완이 발생되었으며, 추가로 중장기 추시에서 4예(시멘트형 스템 B1형 골절 3예, 시멘트형 스템 C형 골절 l예)에서 스템의 이완이 발생되어 총 5예에서 재치환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무시멘트형 B1형 골절과 시멘트 시용 유무와 상관없이 B2, B3형 골절은 Vancouver 분류 및 이에 따른 치료원칙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시멘트형 스템 B1형 골질의 경우 치료 후, 불유합, 대퇴 스템의 이완 등이 초래되는 불량한 치료 결과를 보여 내고정시 골이식술을 포함한 견고한 고정이나 스템 재치환술이 필요하다. 골다공증이 있는C형 골절에서도 불량한 치료 결과를 보일 수 있어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 Purpose: To determine results of treatment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the Vancouver classification in periprosthetic femoral fractures after total hip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Among 44 cases of periproshtetic femoral fractures after hip arthroplasty treated between Aug. 1991 and Feb. 2008, thirty-two cases with minimum follow-up greater than one year were included. Outcomes were evaluated using the Beals and Tower's critieria. Results: Outcomes were excellent in 27 cases, and poor in 5 cases. Four of 5 cases with poor result were due to non-union. Three cases were treated with internal fixation and 1 case was treated with a conservative method. One case with a poor result was due to loosening of the cemented stem of a Vancouver type B1 fracture. Loosening of the stem after mid to long term follow up occurred in an additional 4 cases (3 cases with a cemented stem in a type B1 fracture, 1 case with a cemented stem of a type C fracture). Loosened stems were revised with a long revision stem. Conclusion: For type B1 peri prosthetic fractures around a cementless stem, and for type 82, type B3 peri prosthetic fractures, treatment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the Vancouver classification showed excellent results. However, type B1 peri prosthetic fractures around a cemented stem showed poor results with non-union or stem loosening. Hence, more rigid fixation using a bone graft or revision of the stem is needed. In type C periprosthetic fractures in osteoporotic patients, closer attentions is needed to avoid co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