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호 간척기 토양의 염농도별 밭작물의 염해 평가

        이승헌,류순호,설수일,안열,정영상,이상모 江原大學校 附設 環境硏究所 2001 環境硏究 Vol.18 No.-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selecting the applicable crops in reclaimed land during desalinization period. A pot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5 different electrical conductivities of the saturated extracts (ECe 1, 3, 9, 14, and 16 dS·m^(-1)) of soils taken from the Dae-Ho reclaimed tidal lands. Eight crops (Chinese cabbage, radish, tomato, red pepper, buckwheat, soybean, sesame, and green perilla) were grown for 37days. Plant height and number of leaves were surveyed on 2 and 4 weeks after seeding, and on harvest time (5 weeks). After harvest, dry weights of harvested crops were measured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Emergence rates of crops were comparatively high except sesame. For sesame, there was no emergence at ECe over 3 dS·m^(-1). Growth and dry weight decreased significantly as increasing ECe. The ECe which decreased 50% of dry weight index were 14.2 dS·m^(-1) for radish, 11.4 dS·m^(-1) for Chinese cabbage, 10.2 dS·m^(-1) for tomato for red pepper, 8.9 dS·m^(-1) for buckwheat and green perilla, 8.6 dS·m^(-1) for soybean, and 8.9 dS·m^(-1) for tomato. At higher ECe that start the growth inhibition, increasing 1 dS·m^(-1) in ECe, 7.7, 6.5, 5.9, 5.6, 5.2, and 4.9% of dry weight decreased for buckwheat, green perilla, Chinese cabbage, radish, soybean, and tomato (red pepper), respectively. The critical value of ECe for crop survival except sesame was 15.4~23.1 dS·m^(-1).

      • KCI등재

        대호 간척지 토양의 염농도별 밭작물의 염해 평가

        정영상,류순호,이상모,이승헌,설수일,안열 한국환경농학회 2000 한국환경농학회지 Vol.19 No.4

        대호 간척지에서 제염진행 기간 중 우선 도입 가능한 작물을 선발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대호 간척지에서 염농도별로 채취한 토양을 사용하여 8가지 작물(배추, 무, 토마토, 고추, 메밀, 콩, 참깨, 들깨)을 Pot 재배하여 염농도별 장해정도를 평가하였다. 토양 포화침출액의 염농도는 1, 3, 9, 14 및 16 dS·m^(-1) 의 5수준으로 하고 1998년 10월 작물을 파종하여 11월 수확하기까지 37일간 재배하였다. 파종 후 2주, 4주, 그리고 작물체 수확 직전에(5주) 각 작물의 최대초장, 본엽수를 조사하였고, 수확 후 생체중을 조사하였다. 공시작물의 출아율은 5개 수준 모든 염농도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작물 생육상태(초장, 엽수)의 경시적 변화는 염농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참깨의 경우 초기에는 출아율이 비교적 높았으나 3주 이후에는 모든 염농도 수준에서 고사하였다. 수확 후 작물의 건물중도 염농도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염류장해가 없을 때의 생장량 대비 건물중의 50%가 감소되는 염농도는 무; 14.2 dS·m^(-1), 배추; 11.4 dS·m^(-1), 고추; 10.2 dS·m^(-1), 메밀과 들깨; 8.9 dS·m^(-1), 콩; 8.6 dS·m^(-1), 그리고 토마토; 6.8 dS·m^(-1) 이었다. 생육 저해가 시작되는 범위 이상의 염농도에서 메밀은 염농도가 1 dS·m^(-1) 높아질 때 건물 감소율이 7.7% 이었다. 그 다음이 들깨로 6.5% 이었고, 배추는 5.9%, 무는 5.6%, 콩은 5.2%, 그리고 토마토와 고추는 4.9%의 건물중 감소율을 보였다. 참깨를 제외한 7가지 공시 작물 모두 시험기간 중 생존이 가능한 염농도는 15.4 ∼ 23.1 dS·m^(-1) 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selecting the applicable crops in reclaimed land during desalinization period. A pot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5 different electrical conductivities of the saturated extracts (ECe 1, 3, 9, 14, and 16 dS·m^(-1) of soils taken from the Dae-Ho reclaimed tidal lands. Eight crops (Chinese cabbage, radish, tomato, red pepper, buckwheat, soybean, sesame, and green perilla) were grown for 37days. Plant height and number of leaves were surveyed on 2 and 4 weeks after seeding, and on harvest time (5 weeks). After harvest, dry weights of harvested crops were measured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Emergence rates of crops were comparatively high except sesame. For sesame, there was no emergence at ECe over 3 dS·m^(-1). Growth and dry weight decreased significantly as increasing ECe. The ECe which decreased 50% of dry weight index were 14.2 dS·m^(-1) for radish, 11.4 dS·m^(-1) for Chinese cabbage, 10.2 dS·m^(-1) for red pepper, 8.9 dS·m^(-1) for buckwheat and green perilla, 8.6 dS·m^(-1) for soybean, and 8.9 dS·m^(-1) for tomato. At higher ECe that start the growth inhibition, increasing 1 dS·m^(-1) in ECe, 7.7, 6.5, 5.9, 5.6, 5.2, and 4.9% of dry weight decreased for buckwheat, green perilla, Chinese cabbage, radish, soybean, and tomato (red pepper), respectively. The critical value of ECe for crop survival except sesame was 15.4∼23.1 dS·m^(-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