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ynamics of Ethnic Nationalism and Hierarchical Nationhood: Korean Nation and Its Othernesss since the Late 1980s

        설동훈,서정민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 Korea Journal Vol.54 No.2

        Due to an influx of migrants, the multicultural character of South Korean society is gradually deepening. This transformation in the composition of the nation challenges the myth of Korea’s social homogeneity.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emergence of groups of ethnic and social minorities through the dual factors of globalization and the democratization of Koreans’ conception of nationalism and nationhood. From the late 1980s, new social minorities have emerged in Korean society through democratization and globalization. Globalization brought about an influx of Joseonjok (ethnic Koreans from China), North Korean refugees, foreign spouses, and migrant workers, while democratization has led to the appearance of hwagyo (ethnic Chinese in Korea), gays and lesbians,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honhyeorin (mixed-blood people) as social minority groups. These minorities have become members of the Korean nation-state, establishing themselves as new constituents constructing Korean nationhood. We conclude that the dichotomy of inclusion and exclusion of these minorities in Korean society has transformed into a type of hierarchization. We employ the concept of hierarchical nationhood to describe the legal/policy and social dimensions of this hierarchization.

      • KCI등재

        일본의 국제결혼 중개업체 관리체계

        설동훈,임경택 지역사회학회 2006 지역사회학 Vol.8 No.1

        일본의 국제결혼중개업체의 활동 내역과 정부의 관리 체계를 고찰한다. 일본에서 국제결혼중 개업체는 자유업에 속하는데 .2006년 1 월 기준 약 3007H 업체가 운영 중에 있다. 일본의 국제결 혼중개업체는 보통 일곱 단계의 맞선과 결혼 및 입국 등의 수속을 밟는다. 국제결혼중개업체의 문제점으로는 계약 관계의 오류가 주로 지적되어 왔다. ‘해약이 쉽지 않다’ 는 점과 ‘계약서의 내용과 실제 수행내용 사이에 차이가 존재할 가능성이 크다’ 는 것이다. 일본 정부가 국제결혼중개업체를 단속하거나 관리하는 독자적 시스템이나 독립 법률은 없고, 관련된 몇 개의 법률이 존재한다. 일본정부는 ‘특정 상거래에 관한 법률’ 과 ‘소비자 계약법’ 을 통해 결혼중개업체를 규제하고 있다. 또한 ‘개인정보의 보호에 관한 법률’ 을 통해서 결혼중개업체가 신청자의 사생활정보를 유출할 가능성을 규제하고 있다. 한편 결혼중개업체들은 연맹 혹은 연합회를 통하여 업계의 정화를 위한 자구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 KCI등재

        Which Multiculturalism? Discourse of the Incorporation of Immigrants into Korean Society

        설동훈 한국학술연구원 2010 Korea Observer Vol.41 No.4

        Multiculturalism is one of the most popular academic topics in the Republic of Korea (henceforth “Korea”) today, as many journal articles bear the word in their titles. However, the existence of many different definitions and interpretations of “multiculturalism”is the cause of serious confusion. In this paper, I attempt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ethnic minorities in Korea, social incorporation policies of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different usages of “multiculturalism” by leading scholars of migration and “multicultural”studies. I also assess the relevance of this concept to contemporary Korean society and Korea’s immigration policies.

      • KCI등재

        RDD with Follow-Up Texting: A New Attempt to Build a Probability-Based Online Panel in South Korea

        설동훈,장덕현,Sarah Prusoff LoCascio 충남대학교 아시아여론연구소 2023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Vol.11 No.3

        Conducting face-to-face surveys is difficult and cost prohibitive, necessitating a new attempt to build a probability-based panel in South Korea. Since 99.9% of adult Koreans own a mobile phone, mobile phone numbers provide a viable sampling frame. Random digit dialing (RDD) surveys were conducted August-December 2021. Of the 288,056 valid phone numbers dialed, 13,655 respondents between the ages of 19 and 69 completed a phone survey. These respondents were later invited by text message to join a panel; 3,202 of these (23.4% or 1.2% based on the number initially contacted) joined the panel. When compared to official government statistics like resident registration data, the census, or the Social Survey, this new probability-based panel can be said to be representative of the Korean population on the basis of age, gender, location, marital status, and household size after weighting is applied. However, even after weighting, panel members are more educated than the general population, white-collar workers and self-employed people are overrepresented, and blue-collar workers are underrepresented. As of February 2023, this panel has grown to 10,471 participants with plans to continue to invite more panel members in the same way. Based on the comparisons in this paper, we can regard this panel as a cost-effective, probability-based panel that may be used for various kinds of public opinion research, by researchers both within and outside of Korea. As we continue to refine and grow this panel, we hope it will become more widely used by researchers as well as provide a model for those building similar panels in other countries.

      • KCI등재후보

        정보통신기술 변화에 따른 기업조직의 적응

        설동훈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3 정보화정책 Vol.10 No.4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가장 민첩하게 변모하고 있는 조직은 기업이다. 그런데 정보통신기술이 도입된다고 해서 모든 기업조직이 동일한 방향으로 변화하는 것은 아니다. 정보통신기술 변화에 기업조직이 적응하는 양상은 나라·업종·규모 등 기업특성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그렇지만 기업이 정보통신 기술을 도입하여 기대하는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기업조직이 일정한 방향으로 변화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므로 정보통신기술이 도입됨에 따라 기업조직이 적응하는 형태는 동일하지는 않을지라도 일정한 범위 내에서 수렴해 가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정보통신기술 도입에 따른 기업조직의 변화 양상을 몇 가지 주요 추세로 정리하는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주요 기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정보 통신기술 변화에 따른 기업조직의 적응 패턴을 파악하려 시도한다. 구체적으로, 가치사슬의 변화, 가상기업의 등장, 기업규모의 변화, 전지구적 포괄 범위를 가진 기업의 탄생, 기업내 조직구조의 변화 등을 살펴보고 있다. The present study tries to examine how corporate organizations, in the era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employ their adaptive mechanisms as a way to adjust to the impact of the “brand-new” digital network environments. Particularly, discussions are centered around five related areas of corporate firms: (1) changes of “value chains” (2) emergence of virtual corporations (3) differentiation of firm size (4) firm’s migration at the global level with respect to the investment, manpower and locality of factory, and (5) intra-organizational restructuring. Case studies such as Nike, Benetton, Compaq, Toyota, Cisco Systems, Wal-Mart etc. are cited in introducing each of these five areas in the corporate firms. It can be concluded that some commonalities are noticed although specific strategies of each firm for alteration are differed according to firm’s nationality, size or industrial sectors.

      • KCI등재

        일본의 외국인노동자 고용관리체계

        설동훈,임경택 지역사회학회 2004 지역사회학 Vol.5 No.2

        이 논문은 한국에서 새롭게 실시하게 된 외국인 고용허가제도가 지닌 미해결의 영역을 진단하고 예측하기 위해, 일본의 외국인노동자 고용관리체계, 외국인노동자에 대한 구체적인 노동관계법령의 적용 현황, 불법체류자 및 외국인노동자 불법고용사업주에 대한 단속제도를 살펴보고, 한국에 적용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찾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일본의 경우, ‘출입국관리 및 난민인정법’과 ‘외국인등록법’에 의거하여 외국인의 입국과 체류를 관리한다. 제2차 세계대전 후 정책적으로 외국인노동자를 수입하지도 않았고, 또 외국인노동자의 자연발생적 유입도 경험하지 않은 채 고도성장을 지속하였지만, 1980년대에 들어 외국인 노동자의 수가 늘어나고 그들의 취업분야가 다변화됨에 따라, 일본정부는 외국인노동자에 대한 정책적 전환을 시도하였다. 우선, 국제화 경향에 대응하기 위하여 외국인의 체류자격을 정비·확대하여 28종류로 분류하고 있다. 하지만, 일본사회 내에서 "어렵고, 위험하고 지저분한" 직종에 대한 일본인의 취업기피현상이 확산되다, ‘단순노동자 수입금지 원칙’을 유지하면서 외국인력을 도입할 수 있는 편법으로 ‘연수제도’를 활용하였다. 또한 이것이 노동력 착취의 한 방편으로 전락하였다는 비판이 일자, 일정기간의 연수 후에 노동자의 신분을 부여하는 ‘기능실습제도’를 채택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일본은 선진국 중에서 유일하게 외국인노동자 고용허가제도를 실시하지 않는 국가라 할 수 있다. 외국인력을 수입하되, 일단 연수생으로 받아들여 훈련시킨 다음, 노동자로서 기능실습을 시킨다는 틀을 여전히 고수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문제가 많은 제도가 유지될 수 있는 배경에는 인력충원과정에서 ‘송출비리’가 거의 발생하지 않고 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To diagnose and foreknow potential problems of the recently introduced the Employment Permit Program for foreigners in Korea, we examine the case of Japan as a reference. In particular, Japan’s management pattern of employing migrant workers, specific ways of applying labor laws, control of illegal sojourners, and supervision of illegal employment will be reviewed. By doing so, we try to find implications for policy makers in Korea. After the Second World War, the immigration policy of Japan was not in favor of importing foreign labor, and the domestic economy experienced a high rate of growth without the natural influx of foreign workers. However, since the 1980’s, the number of migrant workers increased sharply and their occupational sphere became more diversified. As a consequence, the government induced changes in its policy. First of all, to face the new tide of globalization, the government started to classify foreigners into 28 detailed subcategories in regard to their status of sojourn. At the same time, to tackle the general avoidance to difficult, dirty, and dangerous jobs, the government adopted the Technical Intern Training Program for foreigners, which grants work permits to foreign workers after a certain period of apprenticeship. Japan is the only developed country that does not impose the Work Permit Program for foreigners. It sill adheres to the principle of limiting and screening international labor migration. This seemingly problematic institution functions well enough. A possible explanation for this maintenance might be found in the fact that corruption seldom happens in the process of recruiting foreign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