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캐나다의 국제개발 협력: 페미니스트 국제원조정책과 개발 효과성을 중심으로

        설규상 한국보훈학회 2022 한국보훈논총 Vol.21 No.1

        This study reviews the content and direction of the Feminist International Assistance Policy of Canada’s Trudeau government and evaluates its effectiveness thru quantitative analysis. The Feminist International Assistance Policy is a unique approach in that it deals with international development issues by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thru the equity lens, with focusing on gender equality and women's empowerment which is a part of the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feminist assistance policy, this study hence analyzed the degree of changes the aid, which had been provided to major recipients by Canada, had made in the field of gender equality and women's empowerment which the policy had set up as a goal.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out some effectiveness of the Feminist International Assistance Policy. And, based on this, the study suggests some considerations for establishing a more stable and efficient policy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 study presents implication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Canadian case in relation to the direction of Korea's development assistance policy. 이 연구는 캐나다 트뤼도 정부의 페미니스트 국제원조정책의 내용과 방향을 검토하고 양적 분석을 통해 그 효과성을 평가하고 있다. 페미니스트 국제원조정책은 남성과 여성 간의 관계를 형평성 렌즈를 통해 보면서 유엔 지속 가능 개발목표의 하나인 성 평등과 여성의 권익 신장에 초점을 맞춰 국제개발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독특성을 가지고 있는 접근법이다. 이에 이 연구는 페미니스트 원조정책의 효과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주요 수원국들을 대상으로 제공해 온 원조가 이 정책이 표방하고 있는 성 평등과 여성의 권익 신장 부문에 미친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 연구는 페미니스트 원조정책의 부분적인 효과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이 정책이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정책으로 자리 잡을 수 있기 위한 고려사항들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이 연구는 캐나다의 사례로부터 개발원조정책 방향과 관련하여 한국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중국의 태평양도서국 정책: 타이완의 국제적 고립화 전략을 중심으로

        설규상,유호근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공공정책연구소 2019 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 Vol.5 No.2

        The Pacific Islands have emerged as a new area of ​​interest in recent years in terms of power relations. Hence, this paper analyzes how the dynamics between China and Taiwan, which are referred to as Cross-Strait relations, are working in this region. In conflict with the Taiwanese government's position on national identity and the Chinese government's policy principles, China is using diplomatic means as a way to pressure Taiwan. In this process, the rivalry between the two sides, which had been in a diplomatic truce for some time, is being reproduced around the Pacific Islands. Therefore, this study takes focus on China's Pacific Island policy in terms of the pursuit of Taiwan’s international isolation and draws its implications. In conclusion, the authors argue that the future direction of China’s policy in the region is likely to depend on Taiwanese political choice, since its Taiwanese isolation policy there is driven by Taiwanese factors rather than Chinese internal factors.

      • KCI등재

        Korea’s Foreign Aid and Policy Conformity of Recipient States: Revolving around Voting Patterns in the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설규상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9 평화학연구 Vol.20 No.2

        This study aimes to identify the effect of Korea’s aid policy on the decision-making of its recipients in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and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rom it by analyzing the degree of concurring votes between Korea and its recipients. It focuses on the resolutions at the UN General Assembly. The hypothesis is that ‘aid induces conformity of the recipients to decision-making of the donors on international issues’, and examines it by quantitative analysis. The result rejects the hypothesis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curring votes between Korea’s priority partner countries and other comparison countries. The study suggests the need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redefine future aid strategy in a way that can meet both national interests and principles of international aid regimes at the same time, and that realigns political and economic resources to enhance its diplomatic effectiveness.

      • KCI등재

        인도, 차이나, 인도차이나 : 아시아 양대 신흥 대국의 대인도차이나 전략과 경쟁

        설규상(Seol, Gyoosang) 한국정치정보학회 2015 정치정보연구 Vol.18 No.2

        인도차이나 지역은 지난 10여 년 동안의 역동적인 성장세에 힘입어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고 있는 가운데 중국과 인도에게도 점차 주요 관심 영역으로 부상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과 인도가 점차 자국의 전략 목표 추구 과정에서 이곳에서 보다 강도 높은 상호작용을 해 나갈 것으로 보고, 이 지역을 둘러싼 전략과 경쟁관계를 분석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특히 에너지, 시장 및 세력투사 등 양국이 중대이익으로 인식하고 있는 분야를 중심으로 전개해 온 상호작용의 특성을 검토하고, 이로부터 그것이 제시하는 정치경제적 함의를 도출하고 있다. 분석 결과, 본 연구는 인도차이나 지역의 새로워지고 있는 위상을 반영하여 중국과 인도가 자국의 성장정책 추진을 위한 전략적 배후로서 이 지역을 보다 중시하기 시작하였고, 따라서 이곳에서 이익 경쟁이 점증하여 왔지만, 그러한 경쟁은 전면적이고 총체적이라기보다는 선별적이고 부분적이며, 대칭적이고 체계적이라기보다는 비대칭적이고 비체계적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양국간 상반되는 이익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이익의 상당 부분이 배타적이거나 양립불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이 지역에서 경쟁이 가속화되더라도 그것이 지역 불확실성을 유발하는 심각한 충돌 국면으로 비화되지는 않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With attraction of international attention by a decade-long dynamic growth, the Indochinese countries have gradually emerged as major subject of attention to China and India, too. This research examines strategies and competitions in the Indochinese region between China and India under the consideration that the two countries will make more intensive interactions in the process of pursuing their strategic objectives henceforth.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investigates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s which have been evolved around the fields such as energy, market, and power projection that the two countries has recognized as the sphere of critical interests, and then draws some political and economic implications that those characteristics suggest. As a result of analysis,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the competitions between China and India are rather selective and partial than full-scaled and overall, and rather asymmetric and unsystematic than symmetric and systematic, even though it’s true that those for interests there have been gradually increased as the two countries began to put more emphasis on the region as the strategic hinterland for pushing their growth policies ahead by reflecting the renewed status of that region. In addition, the writer predicts that the acceleration of competitions would not create any severe crashes that cause regional uncertainty in spite of the existence of contrary interests since considerable portion of such interests is not fully exclusive or incompatible.

      • KCI등재

        아시아에서의 좋은 민주주의 동아시아 복지레짐 동아시아 신흥산업국들을 중심으로 본 발전주의 복지국가론의 유효성과 지속성 분석

        설규상 ( Gyoo Sang Seol ) 인제대학교 민주주의와자치연구소 2014 비교민주주의연구 Vol.10 No.1

        Researchers on East Asian welfare states has so far emphasized that the philosophy and patterns of welfare in East Asian region had different characteristic from those in industrialized Western countries. The welfare developmentalism which is one among several models to explain East Asian welfare regimes, has concluded that the welfare level of the countries within the region was weak because they put their policy priorities on economic development and thus formed social policies in the manner to support the growth. However, recently there have been some assessments among researchers that noticeable changes such as expansion of social policies and reinforcement of welfare benefits have occurred in some countries. And they thought the factors which caused such changes were things such as democratization, globalization and region-wide economic crisis which countries had experienced in the past one or two decades. Thus, this research is aims to find out empirically whether the welfare developmenalism is valid as ever in the face of challenging factors or the changes are heralding transition into a more general welfare regime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explanatory variables above mentioned and welfare-related government expenditures by countries.

      • KCI등재후보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새로운 지역성장 동력으로서 전망과 한계

        설규상 ( Gyoosang Seol ) 비교민주주의연구센터(비교민주주의학회) 2016 비교민주주의연구 Vol.12 No.1

        지난 10여 년 동안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등 인도차이나 최빈개도국(LDCs)들이 높은 경제성장을 시현해 오면서 사계에서 이들 경제의 미래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주요 국제경제 관련 기구들은 이들이 현재와 같은 성장 속도를 유지할 경우 머잖은 장래에 중위권소득국가로 진입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들을 제시해왔다. 그리고 이들 3국이 근래 수년 간 보여온 정치, 경제적 변화와 개혁 의지는 그러한 전망의 개연성을 높이고 있다. 이들 국가는 오늘날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에 자국 경제를 통합시키려는 보다 적극적인 시도와 함께 비교우위 부문들을 중심으로 개발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환경과 조건을 조성하는 방향으로 정책의 역점을 두고 있다. 이에 이 글은 이들 3국 경제가 성장을 위해 노력해 온 과정에서 채택해 온 개발전략의 특성과 성과를 고찰하고, 이로부터 성장 전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있다. 여기서 필자는 이들 경제가 향후 지속가능한 성장궤도로 진입할 수 있을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있어 지역경제통합, 소지역 협력계획, 대미관계 개선 등을 기회요인으로, 인프라와 인적자원 부족, 투자유인 미흡 등을 도전요인으로 지적하고 있다. As Cambodia, Laos, Myanmar, the Least Developed Countries (LDCs) in Indochina, have showed high economic performances during last decade, attentions have increased about the future of their economies. Hereupon, several international economic organizations have suggested prospects that they would enter the status of middle-income economies in the near future in case they keep up current growth speed. Actually their political and economic changes and active will for reform shown during last several years raise the probability of such prospects. These countries, with extensive attempts to integrate their economics into global production networks, nowadays set up their strategic priorities for development on the sectors of comparative advantages and place the foci of policies on the direction of creating favorable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for facilitate the growth. This paper henc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development strategies they have adopted during their efforts for growth, and analyzes the factors which will have effects on them with reference to growth prospects. Here the writer points out things like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subregional cooperation initiatives, and improving relations with U.S. as opportunity factors, and ones like lack of infra-structure and human resources, and insufficient incentives for investments as challenge factors in deciding whether they can forward ente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trajectories.

      • KCI등재

        동아시아 지역경제통합과 한계: 중,일의 지역주의 접근과 리더십 역량을 중심으로

        설규상 ( Gyoo Sang Seol ) 한국세계지역학회 2006 世界地域硏究論叢 Vol.24 No.3

        현재 동아시아 지역에서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새로운 거래와 교환관계의 틀짜기는 동아시아 지역주의의 향방과 관련하여 역내외에서 적잖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특히, 아세안과 한·중·일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동아시아 지역협력의 모습은 향후 이 지역이 보다 제도화된 협력구도로 발전되어 나갈 것이라는 기대와 희망을 갖게 하고 있다. 이를 반영하여 역내에서는 자유무역지대론으로부터 단일통화제도론, 그리고 동아시아 공동체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식의 통합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대에도 불구하고 동아시아 지역경제가 단시일 내에 하나의 제도로 통합되어 나갈 개연성은 적어 보인다. 왜냐하면 역내에서 새로운 형식의 협력 모멘텀이 조성되고 있기는 하나 그것을 범지역적 통합 과정으로 끌고 갈 수 있는 리더십 세력의 역할이 기대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비록 역내 교역·투자의 증가, 다양한 지역구상과 발의, 양자협력 네트워크의 확대와 같은 외시적 지표들이 새로운 동아시아 지역주의에 대한 전망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잠재적 리더십 세력들의 상대적 이익 개념과 이를 둘러싼 주도권 경쟁, 그리고 이들의 대내·외적 신뢰와 역량 문제 등은 지역 단위의 통합 잠재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도 동아시아 국가들이 과거와 달리 지역 차원의 협력을 확대·심화해 나갈 것은 분명하나 역내 지역주의가 범지역적 통합 수준으로 진전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current movement which is on the way to construct new structures on relations of transactions and exchanges within this region is arousing a big concern in connection with the direction of East Asian regionalism. The present states of East Asian regional cooperation which center around ASEAN+3 let ones to conceive expectations and hopes that this region would move on toward a more institutionalized way of cooperation. Reflecting such expectations, various types of arguments on integration such as a region-wide free trade area, introduction of single monetary system or establishment of the regional economic community are under way in this region. But, despite all these arguments, it is not likely that the East Asian regional economy will be integrated into a formal institution in the foreseeable future. The cautious view like this stems from the fact that the role of major powers which could take the lead for the integration process is not promising. On the contrary, the notion of relative gains and the struggles for initiatives surrounding those interests, the lack of confidence and capacity of latent readership powers, in particular, Japan and China, are working as main obstacles to weaken the potential of region-wide integration in East Asia. Judging from this respect, it is estimated that it will take a lot of time to reach the level of region-wide integration even though East Asian economies will make continuously their way to escalate and deepen the cooperation in regional scale.

      • KCI등재

        미국의 대미얀마 정책과 미얀마 경제의 향방

        설규상(Seol, Gyoosang)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8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9 No.2

        2016년 말 미국은 1990년대 이후로 군사정권의 반민주·반인도주의적 행태에 대한 조치로 미얀마에 가해 왔던 제재를 전격 해제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그동안 미국의 제재는 강압정권의 그릇된 행동을 교정 하는데 초점이 두어졌으나 결과적으로는 미얀마 국민경제에 타격을 줌으로써 국민들의 고통을 가중시켰다는 비판이 있어 왔다. 그런데 미국의 제재 해제로 미얀마는 그동안 자국 경제에 부정적으로 작용해 온 대외적 요인의 하나를 제거함으로써 새로운 성장 기회를 갖게 되었다. 이에 2016년 출범한 수치 정부는 제재 해제의 탄력을 살리는 방향으로 경제정책을 설정,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변화된 환경 과 정책적 의지를 반영하여 국제금융기구들은 앞으로 수년간 미얀마의 성장률이 역내 최고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하지만 미얀마 경제가 지속가능한 성장 궤도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종족 갈등, 종교 폭력, 군부의 정치적 영향력 등과 같은 해결해야 할 많은 정치·사회적 과제들을 안고 있다. 따라서 이 글은 미얀마 경제의 진로에는 긍정적 요소와 부정적 요소가 혼재하고 있는바, 그 향방은 현 정부가 동원할 수 있는 정치·경제적 역량을 얼마나 극대화하고 도전요인들을 어떻게 극복해 나갈 수 있는가에 의해 결정될 것으로 결론짓고 있다. At the end of 2016 the Unite States lifted the sanctions against Myanmar that had been in place since the 1990s in response to the anti-democratic and anti-humanitarian behavior of the military regime. In this regard, US sanctions had been criticized as having consequently aggravated the suffering of the people of Myanmar by hurting Myanmar’s national economy though such sanctions had been focused on correcting wrong behavior of oppressive regime. Therefore, with the lifting of US sanctions, Myanmar got to have a new growth opportunity by removing one of the external factors that have been negatively affecting its economy. The Suu Kyi’s government inaugurated in 2016 is thereupon setting up and pursuing economic policies toward taking advantage of the resilience of lifting sanctions. And, reflecting such a changed environment and policy will,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predict that the growth rate of Myanmar will remain at the highest level in the region for a while. Myanmar, however, has many political and social challenges to solve such as tribal conflicts, religious violence and political influence of the military in order its economy may be able to keep track of sustainable development. So,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direction of Myanmar’s economy will be determined by how much the current government can maximize its political and economic mobilization capacities and overcome the challenges because there are both positive and negative factors on its way.

      • 민주주의의 증진과 시민사회의 역할

        설규상(Gyoo-Sang Seol),유호근(Ho-Keun Yoo) 한양대학교 유럽-아프리카연구소 2022 글로벌 거버넌스와 문화 Vol.2 No.2

        민주주의는 오늘날 대다수의 국가들이 채택하고 있는 가장 일반적인 유형의 정치형태이다. 실제로 민주주의의 원칙과 절차를 따르지 않고 있는 국가들조차도 자신들의 체제가 민주적이라고 강변하는 경향이 있으며, 심지어 일부 국가들은 이 용어 자체를 국명의 일부로 쓰기도 한다. 이는 민주주의가 다른 어떤 형태의 체제보다 우월함을 함의한다. 그러나 여전히 현대 민주주의는 운영의 측면에서 성숙한 민주주의로 받아들이기에 쉽지 않은 측면들을 노정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지난 수년간의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의 경험은 민주주의의 본질과 실제에 대한 진지한 검토의 필요성을 자극해 왔다. 따라서 이 연구는 그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보다 나은 민주주의를 위한 방안을 모색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이를 위한 건설적 행위자의 하나로서 시민사회의 역할에 주목하고, 시민사회가 보다 나은 민주주의로 향하는 여정에서 안내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아이디어들을 제시하고 있다. Democracy is today the most general type of politics that a multitude of countries adopts. Actually even countries that do not respect the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democracy tend to argue strongly that their regimes are democratic. Moreover some countries even incorporate the term ‘democratic’ into part of their country name. This implies that democracy is superior to any other forms of political system. However, contemporary democracies still reveal aspects that are not easy to accept as mature ones in terms of their operation. Meanwhile, the experience at the hassle of the COVID-19 pandemic over the last several years has aroused the need for an serious review about the nature and reality of democracy. This study thus aims to seek a way for better democracy henceforth. Hereupon, paying attention to the role of civil society as one of the constructive actors for better democracy, this study presents ideas for civil society to serve as a guide on its journey toward such democr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