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2형 항 회전 근위 대퇴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한 대퇴골 전자간 골절 치료 시 나선 칼날의 활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김성태(Seong-Tae Kim),김범수(Bum-Soo Kim),신승엽(Seungyup Shin),박진규(Jinkyu Park),선형민(Hyung Min Sun) 대한정형외과학회 202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9 No.2

        목적: 항 회전 근위 대퇴 골수강내 금속정으로 치료한 전자간 골절 환자에 대하여 수술 후 나선 칼날의 활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7년 1월부터 2022년 1월까지 전자간 골절에 대하여 제2형 항 회전 근위 대퇴 골수강내 금속정으로 수술 받은 17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나선 칼날의 활강 정도를 측정하였다. 각 환자의 성별, 나이, 금속정의 경간각, 후내측 골편의 개수와 가로 길이, 정상 측 고관절 골다공증 정도, AO Foundation/Orthopaedic Trauma Association 분류법, 첨단 정점 거리, 나선 나사날의 대퇴 골두에서의 위치, 근위 골편이 원위 대퇴골의 골수강내 감입되도록 골절 정복이 되었는지 여부에 따른 활강 정도를 조사하여 나선 나사날 활강에 영향을 주는 인자가 무엇인지 통계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후내측 골편의 가로 길이, 골절의 정복상태가 수술 후 나선 칼날의 활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전자간 골절의 수술 후 나선 칼날의 과도한 활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근위 골편의 원위 골편의 골수강내 감입 상태로의 정복을 피하여야 하며 후내측 골편의 가로 길이가 큰 경우 골편을 고정하거나 재활 시에 체중 부하를 늦게 시키는 방법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telescoping of the spiral blade after surgery with the proximal femoral nail antirotation II (PFNA II) for intertrochanteric fracture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17 and January 2022, the degree of telescoping of the spiral blade was measured in 178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with PFNA II for intertrochanteric fractures. Several variables were investigated, including the patients sex, age, neck shaft angle of the nail, number and horizontal length of the posteromedial bone fragment, degree of osteoporosis in the normal hip, AO Foundation/Orthopaedic Trauma Association classification, tip apex distance, position of the spiral blade in the femoral head, and the reduction status of whether the proximal bone fragment had been adequately reduced into the intramedullary canal of the distal femur. These factor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o determine their impact on the telescoping of the spiral blade. Results: The transverse size of the bone fragment and the reduction state of the fractur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telescoping of the spiral blade after surgery. Conclusion: Inadequate reduction of the proximal bone fragment inside the distal intramedullary cavity must be avoided to prevent excessive telescoping of the spiral blade following intertrochanteric fracture surgery. In addition, in cases where the transverse size of the posteromedial bone fragment is substantial,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either fixing the posteromedial fragment or delaying weightbearing during rehabili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