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일제하 김해지역의 고적보존회 실태와 연구

        선우성혜 ( Sunwoo Sung Hye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3 항도부산 Vol.29 No.-

        김해지역은 옛날 가락국의 중심지이자 일본인들에게는 소위 ``임나 일본부``의 중심지로 고대 일본과의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인식된 곳이었다. 때문에 총독부박물관과 일제 관변학자들의 주도로 일찍부터 고대 한일관계를 고증하기 위한 고적조사사업이 이루어졌다. 이들의 고적조사는 현지에서 그것을 보조할 수 있는 고적보존회의 설립을 유도하였다. 김해에서도 고적조사사업의 영향으로 1917년 고적보존회가 설립되었다. 이후 1930년대 전후 보존회는 지역 내 수로왕 관련 유적을 중심으로 이른바 ``향토 문화``를 정비?유지하여 지역 개발의 일환으로 이용하고자 하였다. 한편 김해지역은 전통을 지켜 나가고자 하는 의지가 어느 지역보다 강하게 남아있는 곳이었다. 특히 수로왕 관련 유적은 오랜 시간 후손들에 의해 꾸준하게 관리가 되고 있던 터였다. 후손들은 식민지 통치 아래에서 고적보존회와는 별도로 다양한 형태로 김수로왕 유적을 관리하고 현창하는 사업에 적극 나섰다. 때문에 김해지역에서 고적보존회의 활동은 일정하게 제약을 받았는데, 설립 초기 수로왕 유적 중심의 활동이 문중과의 갈등으로 중지된 것이었다. 그러다 1920년대 후반 지역개발차원에서 김해에 산재한 고적을 중심으로 현대식 대공원을 설치하고자 하였다. 때문에 보존회는 일본에서 설계자를 초빙하여 구체적인 계획안까지 수립했다. 1930년대로 들어오면서 일정부분 후손들도 보존회의 활동에 동참하였다. 그러나 문중과의 이해관계 상충, 김해지역의 경제여건 악화, 사업 시행 예산 부족 등의 이유로 계획은 실현되지 못했다. 다만 수로왕 후손들에 의해 수로왕릉 및 관련 유적이 소소하게 정비될 뿐이었다. 이러한 보존회의 활동을 이끌어 가던 인물은 군수였으며, 주요 회원으로는 식민지 행정의 경험이 있는 조선인?일본인 관리 및 김해 각지의 면장들이었다. 그리고 지역 내 사회, 경제, 기업경영 등 각 방면에서 활발히 활동을 하던 민간 유지들이 참여하였는데, 그 중 수로왕 관련 유지에 힘을 쏟던 후손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군수와 면장을 중심으로 구성된 행정조직이 주도하여 설립된 김해고적 보존회는 처음부터 지역 고적의 보존과 시조의 현양이라는 문중의 목적을 합치시키지 못했다. 요컨대, 1930년대 전후 지방 사회의 퇴락과 경제의 파탄으로 지역사회가 동요하자, 김해군은 이러한 지역사회의 불만을 해소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보존``이라는 명분으로 조선의 성소를 대중의 위락시설로 전환하여 그 불만을 희석하는 수단으로 삼고자 했다. 당시 지역의 민간 유지들은 자신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보존회의 활동에 참여했고, 수로왕 후손들도 지역 행정과의 절충점을 모색하고자 동참했다. 그러나 김해군의 불순한 의도는 결국 30년대 조선의 전통문화에 대한 광범한 폄하와 위상 격하를 촉발하여 민족문화의 보존과 수호에 오히려 독이 되었다. 당시 전통문화의 대중화 논리는 진실로 조선인 대중을 위한 것이 아니라 식민 통치 강화를 위한 또 다른 수단이었다. Gimhae Region is recognized for a main center for old Garkguk and the place which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Japanese people with ancient Japan as the center of the so-called ``Imnailbonbu``. Because of this, a historic site investigation was led by Government-General Museum and Japanese scholars to ascertain ancient Korea-Japan relations. Their investigation induced an establishment of the historic site preservation society to assist the investigation in local. In Gimhae, with the impact of investigation projects, the preservation society was founded in 1917. Since the 1930s after World War, the society aimed to utilize the spot around the historical remains related to King Sooro within the region as a regional development by maintaining and sustaining the so-called ``local culture``. Meanwhile, Gimhae region had a strong willingness to keep its tradition more than any other region. Especially, remains related to King Suro were managed constantly by the descendants. The descendants actively went on business of managing portholes of King of Kim Sooro remains in various ways, separate from the preservation society under the colonial rule. Because of this the preservation society`s activities were restricted regularly, and it was burst out as a cessation of activities around King Sooro`s remains in its earlier days of establishment from conflicts between clans. Then, in late 1920s, they tried to found a modern grand park with scattered historic sites in Gimhae region in terms of regional development. Thus, the preservation society has established a specific proposal by inviting a designer from Japan. Entering 1930s, descendants, to some extent, also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of the preservation society. However, the plan was not realized due to conflicts of interest statement, deterioration of economic conditions in Gimhae region, budget shortfall in implementing projects, etc. Only the king of Sooro and related remains were maintained in graceful manner. This activity of the preservation society was led by a governor, and major members were regional chiefs of each subregion named Myeon in Gimhae region, who had an experience of colony administration and managing people from Chosun and Japan. And private community leaders who were active in each aspect of egional society, economy, and corporation business also participated, and from those were descendants who have put their effort to maintain King Sooro-related remains. However, the Gimhae preservation society which was established by administrative organization mainly by governors and leaders, did not meet the purpose of clans, which were the preservation of regional historical sites and letting the founder to gain the fame from the first time. In a nutshell, when the regional community agitated in 1930s with the collapse of the rural community and economy, Gimhae-gun needed to resolve the distress from the community. Therefore, as a means for diluting the dissatisfaction, it changed the Chosun dynasty`s holy place into the public`s recreational facility in the name of ``preservation``. At that time, community leaders participated in preservation meeting based on their experience, and King Sooro`s descendants of King Sooro also tried to seek a trade-off with the local government. Nevertheless, in the 1930s, Gimhae-gun`s impure intention finally led the extensive underestimation and downgrading of Chosun`s traditional culture, which rather became a poison for preserving and protecting national culture. At that time the theory of popularization of traditional culture was truly not for the mass people of Chosun, but another means to strengthen the colonial rule.

      • KCI등재

        일제강점기 부산부 편입지역의 공업 동향과 입지

        선우성혜 ( Sunwoo Sung-hye )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3 항도부산 Vol.45 No.-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부산의 공업 동향을 ‘부산부 편입지역’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는 먼저 일제강점기 부산의 공간적 범위를 고려한 것이다. 일제강점기 부산은 전통적인 동래부에서 출발하여 부산부와 동래군으로 분리되었다. 그 후 부산부는 동래군의 영역을 편입하여 확대되는 과정을 거쳤다. 또 공간적 범위와 함께 일제강점기 부산의 경제에서 주류는 부산부였던 점도 고려한 것이다. 일제강점기 부산부가 편입을 통해 영역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각종 인프라 시설이 구축되거나 확대·정비 되었다. 부산부는 「부산시가지계획」을 통해 편입지역에 거주공간을 비롯하여 공업지역을 확대하고 도로 확장, 도로망·가로망도 정비하였다. 매축을 통해 각종 부지와 항만·부두 시설을 확대·정비하였다. 부산부의 원도심과 편입지역 간 연결성과 자원 이동의 편리성이 높아졌다. ‘해양-조선 내륙’을 잇는 관문 역할과 기능도 확대되었다. 일제 말기 부산부는 남항, 북항, 적기만을 비롯하여 현재 수영만 일대까지 아우르게 되었다. 일제강점기 부산의 공업에 대한 이해는 이와 같은 입장이 고려되었다. 일제강점기 부산부의 공간변화는 거주지 환경의 개선과 산업지대의 형성을 이유로 이루어졌다가 부산항의 경제적·군사적 역할이 강조되면서 「대동아국토계획」의 견지를 반영하는 방향으로 나아간 것으로 보인다. 또 편입지역에는 상업 시설과 함께 화학, 금속기계기구, 방직, 연료, 요업 등 공업지대가 형성되었다. 특히 전시기에 존립하던 업체들은 전시경제에 편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경부선-동해남부선이 이어지는 결절지역에는 각종 군수업체 또는 군수지원가능 업체들이 설립되었다. 부산은 일찍부터 교통이 편리하고 원료수급에 유리한 결절지로서의 인식되었고 이는 부산부가 확장되면서 강화되었다. 전시경제 하 도태되는 업체들도 많았지만, 일부 업체들은 직간접적으로 전시경제에 편승하여 사업체를 운영하고 있었다. 한편 조선 전통수공업의 근대화 노력과 좌절의 모습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industrial trends of Busan, Japanese colonial era, focusing on the 'Busanbu incorporation area'. This first takes into account the spatial scope of Bus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usan started from the traditional Dongnae-bu and was divided into Busan-bu and Dongnae-gun. Since then, the Busan-bu has gone through the process of incorporating and expanding the territory of Dongnae-gun. In addition to the spatial scope, the mainstream of Busan's econom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Busan-bu. Various infrastructure facilities were built, expanded, and maintained in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area through the incorporation of the Busan-bu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Busan-bu expanded industrial areas such as residential spaces, road expansion, road networks, and road networks in the incorporated area through Busan urban planning. Various sites, ports, and dock facilities were expanded and maintained through the landfill. The connection between the original downtown of Busan and the incorporated area and the convenience of resource movement have increased.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gateway connecting the 'Ocean-Chosun inland' have also been expanded.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usan-bu covered all areas of Suyeong Bay, including Namhang, Bukhang, and Jeokgi Bay. It was a position considered to understand Busan's indust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spatial change of Bus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made by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forming an industrial area, but it seems to emphasize the economic and military role of Busan Port by reflecting the perspective of Daedong land plan. In addition, industrial areas such as chemicals, metal machinery, textiles, fuels, and ceramics were formed along with commercial facilities. In particular, companies existing in wartime tended to use the wartime economy, and various military companies and military support companies were established in the nodular area connecting the Gyeongbu Line and the Donghae Nambu Line. Busan has long been recognized as a nodule with convenient transportation and favorable supply and demand of raw materials, but its position has been strengthened as the Busan department has expanded. There were many companies that lagged behind the wartime economy, but some companies directly or indirectly jumped on the wartime economy and operated their businesses. Meanwhile, efforts and frustration with the modernization of the traditional Joseon handicraft industry were also confi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