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괴테의 『색채론』 관점에서 본 디지털 공간색채 연구

        선소현,김승인,Sun, So-Hyun,Kim, Seung-In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2 디지털융복합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괴테의 색채이론을 바탕으로 디지털 공간에서 감각적, 정서적, 경험적 색채를 공간색채로 정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념 및 분류 방법을 다음의 연구 방법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공간색채 개념을 정의하고, 공간색채 분류로 표면색채, 테두리색채, 물리 색채 3가지로 유형화하였다. 둘째, 디지털 공간의 특성과 색채 시스템을 고찰하였다. 셋째, 앞선 이론적 고찰을 통해 유형화된 공간색채와 디지털 공간의 특성 및 색채 감각유형을 바탕으로 디지털 공간색채 4가지를 테크노 색채, 센스 색채, 픽셀 색채, 블러 색채로 도출하고 유형화하여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괴테의 색채론이 현시대에 갖는 의미를 디지털 공간색채를 통해 체계화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Based on Goethe's color theory, this study presented concepts and classification methods through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for the purpose of defining sensory, emotional, and experiential colors as spatial colors in digital space. First, the concept of spatial color is defin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three (3) types of spatial color are classified as the surface, outline, and physical colors. Secondly, the study includes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space and color sensory type. Third, based on the identified color sensory type through the previous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four (4) categorized digital spatial color were derived and presented as techno Chromatic, S.E.N.S.E, pixel, and blur colors were determined and proposed. Based on such research cont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ystematized the meaning of Goethe's color theory in the present age through digital spatial col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