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골결손을 동반한 하지 장관골 불유합의 치료

        선두훈 ( Doohoon Sun ),박병섭 ( Byeong-seop Park ),전태현 ( Taehyeon Jeon ),이승구 ( Seung-koo Rhee ) 대한골절학회 2017 대한골절학회지 Vol.30 No.1

        목적: 1980년 5월 이래 골결손을 동반한 하지 장관골의 불유합 62예를 치험하고 골유합의 방법과 연령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남성이 51예, 평균 연령 38세였고, 7세 미만 소아가 6명이었다. 대퇴골 17예, 경골 37예 및 경비골 동시 손상이 8예였다. 골결손의 정도는 평균 7 cm (4-23 cm)였고, 7 cm 이내(24예)는 금속판 고정과 다양한 자가 골이식을, 7 cm 이상(38예)은 생비골 이식, 신연 골 형성술 등을, 소아에서 정상 비골의 경골화와 하지의 180도 회전 성형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판정은 불유합의 크기와 연령에 따른 치료 결과에 국한하였다. 결과: 골유합은 평균 27개월이 소요되었으며, 하지 부동 없이 치유된 11예를 제외한 51예에서 평균 2.8 cm의 하지 부동을 보였다. 7 cm 이내는 약간의 골절부 단축과 여러 골 이식술이, 7 cm 이상은 생비골 이식이, 신연 골 형성술 등이, 소아에서는 정상 비골의 경골화 및 하지 회전 성형술도 효과적이었다. 예후는 소아에서, 대퇴부가, 비골 골절이 없는 경골만의 골결손 예에서 좋았다. 결론: 치료 시 연령과 골결손의 정도에 따른 골유합 수술이 필요하였고 장기 치료에 따른 치유 후 장해 정도가 커서 골절 전문 정형외과 의사의 치료 및 환자의 정신적 안정이 요구된다. Purpose: To analyze the end results of th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wide gap non-unions of the long bones in the lower extremitie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62 cases of wide gap unions, with a mean age of 38 years, were included for analysis. Study cohort included six children under the age of seven years. The average size of established bone defect was 7 cm (4-23 cm). Bone defects under 7 cm were treated with plating and various bone grafts, and those over 7 cm were managed with vascularized fibular graft (VFG), distraction-osteogenesis, tibial strut, plating and etc. Two boys with a defect of the whole tibia but with an intact fibula were treated with tibialization of intact fibula and with rotation-plasty of the leg. Their end results were evaluated by the time of bony union in accordance with the treatment of defect size of the long bone as well as their age. Results: Bony unions were obtained for an average period of at least 27 months. Fifty-one cases showed an average leg-length discrepancy of 2.8 cm, and 11 cases showed no leg-length discrepancy. The VFG, distraction-osteogenesis, and tibial cortical-strut graft and plating were the most effective methods for non-unions of wide, long bone defections (>7 cm). The prognosis was more favorable in children, muscular femur, and in cases with tibial defect but intact fi bula. Conclusion: Various bone union techniques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considering the ages of patients and the size of bone defects. Due to severe physical and mental disabilities of patients during the long-treatment period, specialized orthopedic doctors for trauma and mental care were necessary.

      • KCI등재

        상지 골절에서 생분해성 마그네슘 합금 나사못 및 K-강선을 이용한 치료 결과

        이철형(Chul-Hyung Lee),선두훈(Doohoon Sun),권준한(Junhan Kw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2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7 No.2

        목적: 골절 치료는 금속성 내고정물과 고정 기술의 발달로 견고한 고정과 조기 운동 치료를 가능하게 해 뛰어난 안전성을 보여왔다. 하지만 임플란트 제거를 위한 이차적 수술, 내고정된 금속물로 인한 불편감등의 단점은 여전히 남아있다. 최근 비교적 강도가 높고 분해율이 낮으며 체내 구성물질만을 이용하여 제작한 마그네슘 합금이 나사못 및 K-강선 형태로 개발되어 정형외과 수술에 사용될 수 있게 되었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생분해성 마그네슘 합금 나사못과 K-강선을 상지 골절 수술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2019년 5월부터 2019년 9월까지 본원 정형외과에서 상지 골절로 나사못 및 K-강선을 이용한 내고정이 필요한 환자 중 생분해성 마그네슘 합금 재료의 사용에 동의한 44명, 46예(쇄골 11, 상완골 4, 주구 2, 요골두 4, 갈고리 돌기 3, 요골 4, 척골 1, 지골 8, 중수골 8, 유구골 1)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U&I Corporation에 의뢰를 받아 전향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수술 후 골유합과 The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score, 수소 가스 발생, 합병증 발생을 평가하였다. 분쇄 골절에서 기존의 금속판과 나사못으로 고정 후 작은 골편에 추가적인 고정을 위해 사용한 경우가 22예였다. 단독으로 골절 고정을 위해 사용 된 경우는 24예였다. 수술 방법은 생분해성 마그네슘 K-강선을 골수강 내 고정한 경우가 10예로 가장 많았다. 결과: 전 예에서 술 후 평균 16주(4–28)에 골유합을 얻었으며, 마지막 추시에 시행한 DASH score는 평균 45.0 (30–116)이었다. 수술 후 수소 가스 처음 발견 시점은 평균 2주 6일 이었으며 평균 12주에 최대를 보였다. 약물과의 이상 상호작용, 수소 가스에 의한 종창 및 통증, 감염, 골용해, 건 파열 등은 전 예에서 관찰되지 않았으며 정복 소실이 2예, 임플란트 파단 1예, 두드러기가 2예에서 발견되었다. 결론: 상지 골절에서 생분해성 마그네슘 나사못 및 K-강선을 적용할 수 있으나 사용에 주의를 요한다. Purpose: The treatment of fractures has shown excellent safety enabling solid fixation and early exercise treatment with the development of internal metal fixtures and fixation techniques. On the other hand, complications remain, such as secondary surgery for implant removal and, discomfort caused by internally fixed metal materials. Recently, a bioabsorbable magnesium implant with relatively high strength and low decomposition, manufactured using only body components, was developed in the form of screws and K-wire for use in orthopedic surgery. This study aimed to apply bioabsorbable magnesium screws and K-wires to upper extremity fracture surgery and investigate the results.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y 2019 to September 2019, 46 cases (clavicle 11, humerus 4, olecranon 2, radial head 4, coronoid process 3, radius 4, ulna 1, phalanx 8, metacarpals 8, and hamate 1) in 44 patients who agreed to use a bioabsorbable magnesium implant among patients requiring internal fixation using screws and K-wires for upper extremity fractures at the author’s orthopedic surgery department were enrolled. The U&I Corporation commissioned this study, and a p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The radiological findings and The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score, hydrogen gas generation, and complications were evaluated. In comminuted fractures, the magnesium screws and K-wires were used for additional interfragmentary fixation with a conventional metal plate and screws in 22 cases. There were 24 cases of exclusive usage. The most common surgical method was intramedullary fixation of bioabsorbable magnesium K-wires in 10 cases. Results: In all cases, bone union was achieved on average 16 weeks (4–28 weeks) after surgery, and the mean DASH score at the last follow-up was 45.0 (30–116). A hydrogen gas cavity produced around the absorbable magnesium implant was observed at an average of two weeks and six days, and the largest was noted at an average of 12 weeks. There were no interactive reactions with drugs, infection, osteolysis, tendon rupture and swelling with hydrogen gas. There were two cases of the loss of reduction, one case of implant breakage, two cases of urticaria. Conclusion: Bioabsorbable magnesium screws and K-wires can be applied for upper extremity fractures, but caution is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