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미국헌법상 기본적 권리(fundamental rights)론의 전개와 평가

        석인선(Seok In Sun)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2007 世界憲法硏究 Vol.13 No.1

          The U.S. Supreme Court has held that certain liberties are so important as to be considered as fundamental rights and the government generally cannot interfere with such rights unless it passes strict scrutiny. The Court has required that governmental actions infringing on those rights should be necessary enough to serve a compelling purpose. The Court has pointed out that the rights not recognized as fundamental rights have no constitutional ground while those regarded as fundamental rights have some explicit or implicit constitutional basis. However, the concept of fundamental rights is so indefinite that there have been intense debates in the decisions acknowledging fundamental rights. This vagueness of fundamental rights results from the two factors: first, the findings of the legitimate constitutional ground are not easy because the rights have no basis on the Constitution; second, there is no standard of discerning the fundamental rights.<BR>  Most of these rights have been protected based upon the due process clause in the Fifth and Fourteenth Amendment as well as equal protection clause in the Fourteenth Amendment or either of the two. The main difference between the due process clause and equal protection clause as the ground of fundamental rights is how the discussions were consisted of. If a certain right is recognized as fundamental based on the due process clause, the constitutional issue is whether the governmental intervention is justified by the sufficient purpose. By contrast, if it is preserved by equal protection clause, the issue is whether the governmental discrimination in the subject of the right is justified by the proper purpose. Although the difference is generally in semantics and phrasing, it also can be real one. If a law denies a certain right to all the people, the due process clause will provide the best framework of the analysis. If some of the people can enjoy the right while others cannot, however, the classification could be appealed as suspect and the interference with the right would be judged based on the due process clause.<BR>  Ultimately, the subjective judgments of the Justices are inevitable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fundamental rights. The most important issue in every case is how the Court decides what right should be fundamental rights. This article attempts to inquire what right is "fundamental"; whether the recognition requires the constitutional ground or not; what standard is required in case of expanding the fundamental rights; how important the "basic necessities" such as poverty and food, clothing and housing are in the constitutional matters. For this study, I will review the developments of the U.S. Supreme Court"s decisions and assess the establishment of the fundamental rights.<BR>  For this purpose, in Part Ⅰ, I describe the background of the fundamental rights theories in the U.S. Constitution and then review the controversies over the concept of fundamental rights and introduce framework for analyzing in Part Ⅱ. Part Ⅲ includes the developments of fundamental rights theories based on due process clause through analyzing the Court"s holdings and then Part Ⅳ deals with the developments of the theories based on equal protection clause. In Part Ⅴ, I review the theories of fundamental rights without any explicit constitutional ground but based on the implicit rights. Finally, in Part Ⅵ, I will incorporate many kinds of arguments in the fundamental rights debates and attempt to evaluate the establishment of the fundamental right on the U.S. Constitution.

      • KCI등재

        미국 헌법상 정당보상의 판단기준

        석인선 ( In Sun Seok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法學論集 Vol.18 No.1

        The Fifth Amendment of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provides that private property may not be taken for a public use without payment of just compensation. It is very difficult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aking which causes the compensation and the regulation of the properties which does not accompany with the principle of just compensation. Most of the legal theories of taking have been embodied by the cases of the Federal Supreme Court, and those are often unclear and inconsistent. Courts and scholars have paid significantly less attention to questions about just compensation than the public use factors. It is significant to pay heed to the argument that inadequate compensation of property owners is greatly ton blame for unjust and inefficient takings. Reforming just compensation would have a more positive and balanced impact on property owners and the public than would restricting public use. It is more desirable to shift the focus of the takings debate not to the public use debate, but to just compensation. When the government takes property, how should just compensation be assessed? It is settled law that compensation for takings is measured by the fair market value of the property taken, but this standard includes a number of important decisions. These involve selecting whether to value the property by the owner`s loss or government` gain, allocating development risk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roperty owner. In the article, Part Ⅰ raises the need to preview the subject and Part Ⅱ deals with the difference debates between regulatory takings accompanying with just compensation and the regulation of the properties which does not accompany with the principle of just compensation, which are discussed in the Supreme Court Cases. In Part Ⅲ, I examine the standard of appreciating just compensation in the case of eminent domain and the standard date of assessing compensation expenditure. In Part Ⅳ, I parse and evaluate the standard of appreciating just compensation in the Supreme Court Cases and consider reforming debate. Finally, I emphasize that the standard for what constitutes and is include in just compensation has to be fairer and more efficient in Part Ⅴ.

      • KCI등재
      • KCI등재

        젠더구분에 근거한 차별의 합헌성심사 - 미연방대법원판례분석을 중심으로

        석인선(Seok In-Sun) 한국공법학회 2008 공법연구 Vol.36 No.4

        우리나라의 경우 각 분야에서 여성을 차별하는 법률이나 처분이 문제되어 성 평등 개념과 젠더구분에 근거한 차별을 둘러싼 논의가 법원을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왔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미국의 경우 1970년대 이래로 여성평등문제가 연방대법원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심리되었으며, 혼인 및 가족관계, 군복무, 경제관계, 사회보장관계, 형사관계, 교육분야 등에서의 성차별사건에서 대부분 여성을 차별하는 법률이나 처분에 대해 연방대법원은 위헌판결을 내렸다. 연방대법원에서 젠더구분에 근거한 차별문제를 심사함에 있어서 중요한 쟁점들이 제기되었다. 성 평등문제와 관련하여 중요한 쟁점은 첫째 여성차별문제에 관하여 법원이 어떠한 심사기준을 적용할 것인가, 둘째 무엇이 성적 차별인가, 셋째 여성에게 호의적인 젠더구분에 근거한 차별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 하는 것으로 이 중에서도 특히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의 합헌성이 문제가 된다.  오랜 성차별 역사를 가지고 있는 우리 사회는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를 수용하는 많은 법률들의 제정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여성의 지위나 역할에서 정형화가 잔존해 있으며 특히 젠더구분에 근거한 여성에서 우호적인 성차별문제 특히 적극적 평등실현조치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하는 문제 등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성평등 개념, 차별의 의미, 젠더구분에 근거한 차별, 여성에게 호의적인 차별, 역차별,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의 합헌성을 둘러싼 논의들이다. 본 연구는 진정한 성 평등이 우리 사회에 달성되기 위해서는 정의로운 성 평등 개념의 정립과 젠더구분에 근거한 차별의 의미정립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인식에 근거하여 그 전제 작업으로서, 이러한 문제들을 다양한 판례를 통해 분석하고 발전시켜 온 미국연방대법원의 법리논의를 집중 고찰한다. 특히 미국은 성 평등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을 사법부의 장에서 격렬하게 논의하였는바 미연방대법원 판례를 분석하는 작업은 우리 사회의 성 평등 개념과 법리 정립에 유용한 도움을 주리라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 사회의 성 평등 개념과 이에 관한 법이론을 정립할 것을 목표로 하여 본 연구범위를 그러한 목표를 위한 전제 연구단계로서 성 평등과 관련한 사건들이 축적되어 온 미국의 경우에 한정하여 미연방대법원 판례들을 중심으로 젠더구분에 근거한 차별, 차별의 양태, 젠더구분에 근거한 여성에게 호의적인 차별의 합헌성심사,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의 합헌성 심사와 사법적 심사기준에 관해 고찰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미국에서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인종구분과 젠더구분에 근거한 차별문제를 둘러싼 논의 중에서 인종과 구별되는 관점에서 특히 우리의 경우도 문제되고 있는, 성구분에 근거한 차별의 합헌성 심사와 사법심사기준논의를 미연방대법원판례분석을 통해 집중적으로 탐구한다. In Korea, the matter of gender equality and gender classification-based discrimination has not been systematically discussed by the judicial branch. On the contrary, U.S. Supreme Court has started to review the gender equality concerns since 1970, striking down a number of women-discriminative laws and acts in marriage and family, army, social welfare and educational field. When the Court review the gender-based classification, the main issues are as follows: First, what standard of review does the Court apply? Second, what is gender-based classification? Third, how does the Court deal with the affirmative actions favorable to women? These earnest efforts of the Court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dvancing gender equality in U.S..  Therefore,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the U.S. Supreme Court"s decisions about gender classification-based discrimination so that we obtain some implications for realizing gender equality in our country.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meaning of right gender equality and gender classification-based discrimination. For this purpose, I discuss the substantial concept of equality in Part II, and then mention the intermediate standard of review that U.S. Supreme Court has adopted in case of gender classification in Part III. In Part IV, I deal with the proving way of gender classification and the type of gender classification-based discrimination as the two important questions when reviewing the constitutionality of gender classification-based discrimination. Then, I examine the Court"s opinions about gender classification-based discrimination. To sum up, role stereotype-based gender classification favorable to women will not be permitted, whereas affirmative action to women in compensation for past discrimination will be generally permitted.  The U.S. Supreme Court"s decisions about gender classification will give us a lot of lessons as they are important measure for essential access to substantial equality. Especially the prevention of stereotyping and affirmative action theory will be useful to our nation"s judiciary for true gender equality.

      • KCI등재

        미국 연방헌법상 재산권 수용에 관한 연구

        석인선(Seok, In Sun) 한국토지공법학회 2008 土地公法硏究 Vol.42 No.-

        The Fifth Amendment to the U.S. Constitution provides that private property shall not be taken for public use, without just compensation. This clause places two limitations on the government when it takes private property. The government has to take private property only for public use and pay just compensation for the private owner. The Fifth Amendment allows private property to be taken by eminent domain only for public use. The U.S. Supreme Court cases survey informs us that the term ‘public use’ has been broadly interpreted by the Court. Takings scholarship has focused primarily on the liability question, that is, what government actions are counted as takings of private property. Until now, considerable uncertainties have prevailed regarding the appropriate criteria to distinguish between compensable and noncompensable impositions of property losses by the government. In solving this issue, it is a prior condition that it has to be considered what criteria might best serve to draw the taking-regulation distinction. This article examines the theories on taking of private property, especially focusing on types and conditions of taking in the U.S. Supreme Court cases. That's why most theories on the taking of private property have been embodied through interpretation of the cases by the U.S. Supreme Court, even though they seem to be often unclear and inconsistent. Chapter Ⅰ introduces the meaning of researching the legal issues in takings problem. Chapter Ⅱ brings in and explores key matters of the taking clause in the U.S. Constitution. Chapter Ⅲ examines an analysis of takings' essentials, such as eminent domain, the taking-regulation distinction, the variation in the U.S. Supreme Court's approaches about it and the evolution of the concept of what constitutes public use. Chapter Ⅳ generally deals with a comparative study about legal systems of taking in both Korea and the U.S. Finally we can find that there are many legal points which are similar to those of korean taking system and also that there are the peculiar legal points of U.S. taking system, mainly embodied by the U.S. Supreme Court cases.

      • KCI등재

        현대 재산권 수용법리의 전개

        석인선(Seok, In Sun) 한국토지공법학회 2009 土地公法硏究 Vol.43 No.3

        미국은 재산권에 있어서 고도로 개인주의적인 시장 위주의 재산관념을 가지고 있으며, 경제규제와 관련하여 중요한 헌법상의 규정 중 하나는 연방수정헌법 제5조이다. 연방수정헌법 제5조는 정당한 보상 없이 사유재산을 공적 사용을 위해 수용당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연방정부와 주정부는 공적 사용을 위해 개인의 사적 재산을 수용할 권한을 가진다. 수용조항이 있기 때문에 개인의 사적 재산에 대한 국가의 몰수나 제한에 대해 국민들에게 정당한 보상을 주는 것이 요구된다. 재산권보장의 범위와 정도에 관한 법리는 재산권에 대한 수용 등 국가에 의한 재산권의 침해의 종류와 요건 및 그에 대한 보상문제 등을 통해서 비로소 구체화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미국 헌법상 재산권 수용의 법리를 살펴보는 것은 미국에서의 재산권 보장의 법리와 실제를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미연방대법원은 연방수정헌법 제5조의 수용조항을 경제적 가치와 재산 대상에 있어서 가치 실현과 관련된 기대이익을 보호하는 것으로 해석하고 재산 보호의 목적을 규정한 것으로 보지 않는 경향이 있다. 미국 헌법상 재산권관련 헌법조항은 매우 간결하며, 헌법상 재산권 보장의 문제가 미연방대법원판례를 통한 재산권 수용의 법리로 다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미연방대법원판례분석을 중심으로 한 재산권 수용의 법리고찰은 미연방헌법상 재산권보장논의에서 핵심적 부분이 된다고 할 것이다. 본고는 수용조항과 관련된 미연방대법원의 주요판례분석을 통해 현대 재산권 수용법리의 전개 내용을 살펴보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연혁적으로 재산권 수용법리의 전개에서의 중심 내용을 개관하면서 현재 미국의 수용조항을 둘러싼 미연방대법원판례의 주요법리의 전개 과정의 핵심을 이해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미국에서 재산권 특히 토지소유권을 중심으로 한 사인의 경제적 권리가 수용조항과 관련하여 어떠한 헌법적 법리에 의해 보호되고 제한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연구주제에 대한 개관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는 제1장에 이어, 현대 재산권 수용법리의 전개를 분석 고찰하기 위해 제2장에서 미국에서의 수용조항의 연혁과 발전에 관해 개관한다. 제3장에서는 수용조항과 관련하여 보호되는 재산이 어떤 것인지를 미연방 대법원 판례들의 분석을 통해 정리하고자 한다. 제4장에서는 재산권 수용법리상 특히 문제 가 되는 규제들의 양태를 살펴보고 제5장에서는 경제적 규제를 통해 발생하는 재산권 수용과 관련한 예민한 현실적 문제들에 대해 현대 재산권 수용법리는 어떠한 전개과정을 가지고 어떠한 논의로 이루어져 왔는가를 수용조항과 관련한 미연방대법원의 주요판례들의 의미와 평가를 통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The United States has a highly individualistic market-based concept of property in the guarantee of property rights. One of the important provisions regarding economic regulations in the U.S. Constitution is the Fifth Amendment(hereinafter “Taking Clause”), which prescibes “Nor shall private property be taken for public use, without just compensation.” The federal and state governments have the power to take private properties for public use. Due to the Taking Clause, the government must provide private person just compensation for national appropriation or restriction of private properties. The jurisprudence over the scope of and extent to the property right's protection is embodied through the type, requirement and compensation of the property right's infringement by the government, such as a taking. Considering these matters, the study of the U.S taking jurisprudence is very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theories and practices of property right's guarantee in the U.S. The U.S. Supreme Court tends to interpret the Taking Clause as protecting the economic value and expectation of the property, not the purpose of property right's guarantee. In addition to the brief provisions about property rights in the U.S. Constitution, the guarantee of property rights is realized to the taking jurisprudence by the U.S. Supreme Court's decisions. Accordingly, the review of property right's taking jurisprudence focused on analyzing the Court's cases is an essential part of the discussions over the property right's guarantee in the U.S. Constitution. With previewing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aking jurisprudence, this article mainly deals with modern taking jurisprudence surrounding the Taking Clause in the U.S. Supreme Court. Through this study, I will explore how the private person's economic right, especially the right to landownership, is protected and limited by the Taking Clause. In this article, Part I raises the need to preview the subject and Part II deals with the history and development of the Taking Clause to analyze the modern property right's taking jurisprudence. In Part III, I examine which property is protected by the Taking Clause, through analyzing the Court's cases. After looking over the type of problematic regulations in the taking jurisprudence in Part IV, I consider how the modern taking jurisprudence responds to and develops discussions over the sensitive practical taking problems rising from economic regulations by means of evaluating the Court's main cases regarding the Taking Clause in Part V.

      • KCI등재

        경제개발을 위한 사인의 재산권수용의 합헌성 논의

        석인선(Seok, In-Sun) 한국토지공법학회 2012 土地公法硏究 Vol.58 No.-

        우리 헌법 제23조 제3항은 “공공필요에 의한 재산권의 수용ㆍ사용 또는 제한 및 그에 대한 보상은 법률로써 하되, 정당한 보상을 지급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함으로써 수용은 반드시 공공필요에 의하여야 한다는 원칙을 선언하고 있다. 공공필요의 개념과 관련하여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공용수용이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특정한 공익시설의 설치뿐만 아니라 공공성이 큰 사인의 시설을 설치하기 위하여도 허용될 수 있는지, 즉 사인을 위한 공용수용이 헌법상 공공필요에 합치하는가 하는 점이다. 2009년 9월 24일 헌법재판소는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제11조 제1항 등 위헌소원 사건에서 우리 헌법상 수용의 주체를 국가로 한정한 바 없으므로 민간기업도 수용의 주체가 될 수 있고, 산업입지의 공급을 통해 산업발전을 촉진하며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하기 때문에 민간기업에게 사업시행에 필요한 토지 수용이 허용된다고 선고하였다. 미국의 경우 연방수정헌법 제5조는 정당한 보상 없이 사유 재산을 공적 사용을 위해 수용당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연방정부와 주정부는 공적 사용을 위해 개인의 사적 재산권을 수용한 권한을 가진다. 20세기 중반이후부터 미국정부는 사회간접시설의 건설이 완성되고 공적 시설들이 더 이상 빈약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여전히 수용권을 발동하였고 이러한 현상은 오늘날까지 계속되고 있다.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수용을 공적 목적을 위해서 하는 것이 아니라 사인을 위해서 하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에는 오히려 개인들의 주택들이나 사업들이 정부에 의해서 수용되어서 해당토지의 보다 효율적인 이용을 추구할 목적으로 또 다른 사인에게 이전하는 것이 일상적인 현상이 되었다. 이러한 사인 수용의 증가추세와 이와 관련된 법적 문제는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고 미국 등 외국에서도 재산권과 관련하여 많은 헌법적 논쟁을 일으키고 있다. 특히 사인에 의한 수용에서 공공필요성이 약화될 때 따르는 위헌성에 대해 많은 논쟁이 있었던 미국의 경우 미연방대법원의 Kelo v. City of New London판결 이후 사인에 의한 수용에 대한 미연방정부, 주 정부들의 대응을 고찰하는 것은 재개발과 같은 사업을 위해 그러한 사업에 대기업을 참여시키면서 수용권을 부여하는 것이 자주 문제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이에 따르는 법적 문제들을 분석하고 해결하는 데 있어서 헌법적 시사점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본고의 제1장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연구주제에 대한 문제성을 제기하고 있다. 제2장에서는 미연방헌법상 공용수용 규정 내용과 그에 관한 판례들 속에서 그 규정이 의미하는 바가 어떻게 변화 전개되어 왔는지를 분석 고찰한다. 제3장에서는 경제개발을 위한 수용과 관련하여 핵심적인 미연방대법원 판례들과 주 대법원 판례들을 분석하고 그 논의를 비교 검토한다. 제4장에서는 경제개발과 관련하여 수용문제를 다룬 중요한 미연방대법원 판례인 Kelo v. City of New London판결 이후 사인의 수용에 대한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법적 대응을 살펴본다. 제5장에서는 제3장과 제4장에 걸쳐 살펴본 판례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사인에 의한 재산권 수용의 헌법상 허용 여부 문제에 대해 논의한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논의들을 바탕으로 경제개발을 위한 사인에 의한 수용과 관련하여 국민의 재산권 보장과 공용수용을 통한 공익 실현간의 형평성을 도모하는 것이 중요하고, 여러 가지 정책적 이유에서 사인의 수용권을 인정할 수밖에 없는 경우라도 남용되지 않도록 공법상제약요건을 부여하고 이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두어야 하며 필요최소한도의 범위 내에서 재산권 침해를 제한적으로만 허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을 제시한다. The Fifth Amendment to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hereinafter “Taking Clause”) prescribes “Nor shall private property be taken for pubic use, without just compensation”, meanwhile the Korean Constitution section 23(3) provides it. Both of the provisions have similar meanings in spite of trivial differences on the forms. Recently, the statutes which government delegates the eminent domain authority to private entities are increasing more and more, especially for economic development including urban redevelopment.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ruled private takings for individual complex project constitutional takings in 2007 Hunba 114 (2009). The question of whether the statute that provides delegation of the power of eminent domain to private entities is constitutional depends on whether the purpose of takings comes under ‘public use’ or not. Since the middle 20th century, the Supreme Court has ruled the concept of the public use with a broad sense. This article examines whether the use of eminent domain to transfer property from one private party to another for economic development can satisfy the public use requirement of eminent domain. In this article, Part Ⅰ raises the need to preview the subject and PartⅡ deals with the unfolded debates about meaning of the Taking Clause. In Part Ⅲ, I analyze and examine the cases of state Supreme Court and federal Supreme Court involved takings for economic development. Looking over the legal reactions in states and federal government after Kelo case in Part Ⅳ, I synthetically consider debates on whether private taking for economic development is constitutional in Part Ⅴ. Finally, I suggest that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afeguards are needed to protect property right from overreaching private takings and that it is necessary for us to give a full heed to American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eminent domain and to conduct in pursuit of balancing between protecting the property right and promoting the public interest.

      • KCI등재

        헌법상 프라이버시권리 논의의 현대적 전개

        석인선(Seok, In Sun) 미국헌법학회 2013 美國憲法硏究 Vol.24 No.1

        우리 헌법은 제17조에서 “모든 국민은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를 침해받지 아니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프라이버시와 관련한 헌법상 규정의 핵심적인 내용은 개인의 사생활이 공개당하거나 침해되어서는 안되며, 사생활을 특정한 방식으로 영위하지 않았다고 하여 불이익이 가해져서는 안된다는 의미로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헌법상 프라이버시권리를 헌법상 규정하고 있어서 헌법상 보호를 위한 근거규정의 문제는 일응 해결되었다고 할 수 있지만 프라이버시권리의 보장범위와 한계 등을 확정하기 위해서 프라이버시권리를 인정하게 된 연원을 살펴보는 것은 유의미한 일이라 생각되며 그러한 점에서 프라이버시권리에 대한 헌법상의 규정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일찍이 판례상 헌법상의 권리로 인정하고 법리를 전개해 온 미국의 경험을 살펴보는 것은 우리에 있어서 프라이버시권리의 적정한 보호와 보장을 위해 상당히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본래 프라이버시권리는 미국에서 발전된 것으로서 그 권리의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특히 미국에서 프라이버시권리가 어떻게 발전하여 왔는지를 이해하고 평가하는 작업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는 우리가 현재 개인의 사생활이 공개당하거나 침해되지 않고, 사생활을 특정한 방식으로 영위하지 않았다고 하여 불이익을 받지않는 내용의 권리의 보호근거로 프라이버시권리를 제시하는 경우 그에 대한 법리를 발전시키는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미국에서 프라이버시 개념의 발전과 프라이버시권리를 형성하고 승인해온 과정과 법리가 어떻게 전개되었는가를 고찰하고자 한다. 미연방헌법은 프라이버시권리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그러나 로크너시대 이후 연방대법원은 경제적 자유와 정부관여로부터 자유로운 권리의 통합을 배경으로 프라이버시권리를 인정해 왔으며 특히 Griswold v. Connecticut판결을 통해 프라이버시권리가 헌법상 승인되면서 권리의 헌법상의 근거와 내포에 대해 많은 논란과 발전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제2장에서는 프라이버시권리라는 새로운 권리에 대한 구상이 이루어진 과정과 그 형성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헌법상 승인에 이르기까지의 판례의 변화를 고찰하고자 한다. 제3장에서는 헌법상 프라이버시권리가 내포하고 있는 권리의 내용을 판례분석을 통해 정리하고, 특히 Griswold판결에서 중점적으로 논의된 프라이버시권리의 헌법상 근거에 관한 논의가 이후 판례들에서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분석하고 자 한다. 제4장에서는 헌법상 프라이버시 권리에 관한 법리전개에서 중요한 문제가 무엇이며 이러한 문제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미연방대법원 핀례를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이후 전개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미국헌법상 프라이버시권리의 현대적 전개논의의 핵심을 요약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통해 우리 헌법상 프라이버시권리에 대한 법리를 발전적으로 전개하기 위한 방향설정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Article 17 on the Korean Constitution prescribes that the privacy of all the people shall not be infringed. The core contents of the privacy right on the constitution are to be summarized that the individual privacy should not be publicized and infringed and the person should not be disadvantaged for the way of managing one’s private life. It does not need to prepare the constitutional basis for guaranteeing one’s privacy as we have already had article 17 on the constitution. Instead, we need to study the source of the privacy right for assuring its range and limits. For this reason, it is useful to review the American jurisprudence of privacy that has been approved to be constitutional right without a provision and developed through the court cases. To understand the privacy right originated in the U.S., we have to look at how the right has been developed in that country. This study has a substantial meaning in developing the legal principles of the privacy right in case of proposing it as a basis of banning publicization and intrusion of one’s privacy as well as unfavorable treatment for the specific lifestyle. The first chapter addresses how the concept of privacy and the jurisprudence of the right to privacy have been assured and developed. Although the U.S. Constitution has no provision regarding to privacy, the U.S. Supreme Court has acknowledged the privacy right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he economic freedom and the liberty from governmental intervention since the Lochner era. Privacy has approved to be constitutional right through Griswold v. Connecticut and then the debate over its basis and implications has continued. From that kind of view, this study examines the progress of conceiving and establishing a new right and the evolution of cases until getting constitutional approval in the next chapter. The third chapter provides the details of the constitutional right to privacy through analysing the court’s precedents and the debates over the constitutional basis of the privacy right, discussed and transitted since Griswold case. In chapter 4, this study reviews that what the important issue is in the legal principles of constitutional right to privacy and how it was deployed and should be developed in the future. In conclusion, this study offers a summary of the debates over the right to privacy in the U.S. Constitution and some recommendations for developing legal principles of the privacy rights in our Constitution.

      • KCI등재

        미국의 환경관련소송에 관한 연구 - 환경행정소송에서 미연방대법원의 원고적격법리의 전개를 중심으로

        석인선 ( In-sun Seok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論集 Vol.25 No.2

        원고적격의 문제는 소송당사자가 법원에 해당 소송의 본안에 대해 판단을 받을 수 있는 권한이 있는가의 여부에 관한 문제로서 소송을 심리하는 법원의 권한을 결정하는 모든 소송에서 전제가 되는 문제라고 할 것이다. 환경보호가 갖는 특성 때문에 환경소송을 제기하려고 하는 경우에 기존의 법이론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많은 장애가 존재하는데, 넘어야 할 가장 선제적인 문제 중 하나가 바로 원고적격 문제이다. 원고적격은 결국 환경소송을 제기하여 다툴 수 있는 사람의 범위를 정하는 것이므로 권리구제의 가능성이 확대되는 문제와 연결된다. 미국 헌법과 행정절차법의 관련규정이 명확하게 원고적격을 정의하지 않은 관계로 이 부분에 관한 논의는 매우 복잡하고 논쟁적이다. 판례법국가인 미국의 원고적격에 관한 논의는 우리 행정소송법에 그대로 수용할 수 없는 부분이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연방대법원이 판단한 환경소송상의 원고적격의 이론은 우리나라의 원고적격이론에 대해 하나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본고에서는 비교법적인 관점에서 미국환경소송상의 원고적격법리에 관한 최근의 동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미국연방헌법 제3조는 사법권을 행사하기 위한 헌법상의 요건으로서 사건 또는 분쟁(case or controversy)에 관해 규정하고 있다. 이 규정으로부터 미연방대법원은 사법권은 구체적 사건에 관한 분쟁에 한하여 인정되는 것으로 해석하고, 원고적격, 사건의 성숙성 등의 법리를 발전시켰다. 이와 같이 연방헌법상의 원고적격은 사건성과의 관계에서 문제되는 것으로서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자의 범위를 제약하는 소송기술상의 개념의 하나라고 하겠다. 원고적격의 문제는 당사자가 법원에 당해소송의 본안 또는 특정한 쟁점의 본안에 대해 판단을 받을 수 있는 권한이 있는가 여부에 관한 문제로서 소송을 심리하는 법원의 권한을 결정하는 모든 소송에서의 전제문제라고 할 수 있다. 환경문제에 관련된 법적 구제의 기회를 확대하는 문제는 곧 환경소송에 있어서 원고적격확대의 문제와 직결되는 것이기 때문에 환경소송에서 원고적격의 문제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연방행정절차법이 제정되기 이전까지는 실정법에 근거하지 않고 판례에 의해 원고적격에 관한 논의가 전개되었다. 그러다가 1946년 연방행정절차법이 제정된 이후부터는 행정절차법에 근거한 논의와 판례가 전개되어 원고적격에 관한 이론이 전개되었다. 이후 1960년까지는 연방법원에서 개정된 연방행정절차법 제10조 (a)항을 근거로 하여 원고적격에 관련한 판례가 전개되었고, 1970년에 들어서면서 다시 개정된 연방행정절차법 제702조 및 주행정절차법과 1963년의 대기정화법을 보다 포괄적인 내용으로 1970년 개정한 대기정화법(The Clean Air Amendment Act)을 위시하여 많은 개별법의 제정 또는 개정에 의해 원고적격에 관한 이론과 판례가 발전되었다. 원고적격의 법리가 전개된 역사적 과정은 처음에는, 행정청의 행위를 다투기 위한 소송도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권리침해를 기초로 해서 그러한 침해를 받은 사람만이 사법심사를 구할 수 있다는 입장을 취했다가, 이러한 입장을 해체하고 사실상 손해의 개념의 도입이 있었고, 이후 권력분립론을 통한 원고적격의 엄격화논의 등의 등장으로 요약될 수 있다. 원고적격의 자유화단계에서는 사실상의 손해와 보호이익영역이라는 현재의 원고적격의 판단기준이 정립되었다. 또한 원고적격의 엄격화 논의 속에서 원고적격의 판단기준을 정하고 인과관계와 구제가능성이라는 요건이 더해져 원고적격인정을 위한 요건을 정립하게 된 것이다. 역사적으로 볼 때 미국에서 원고적격은 사실상의 손해라는 요건의 도입을 통해 원고적격이 확대되었다가 이후 인과관계와 구제가능성의 요건이 도입 강화됨으로써 다시 협소화되는 과정이 있었다. 미연방대법원은 1970년대 이래로 많은 환경소송을 다루어왔으며 소송들 중의 많은 부분이 이러한 원고적격의 쟁점들을 다루었다. 1992년 Lujan v. Defenders of Wildlife 판결, 2000년 Friends of the Earth, Inc, v. Laidlaw Environmental Services판결, 2007년 Massachusetts v.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판결과 2009년 Summers v. Earth Island Institute판결 등 이 네 가지 판결은 해를 거듭하면서 원고적격법리에 가장 지대한 영향을 미쳐왔으며, 원고적격법리의 경계선의 극단들을 대변하고 있다. 1992년 Lujan v. Defenders of Wildlife판결과 2009년 Summers v. Earth Island Institute판결은 원고적격법리를 엄격화하는 것의 극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사건들에서 환경소송의 원고들의 원고적격을 부인하였고, 원고적격요건들을 더욱 엄격화하여 극도로 높인 판결들을 대표하고 있다. 반대로, 2000년 Friends of the Earth, Inc, v. Laidlaw Environmental Services판결, 2007년 Massachusetts v.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판결은 더욱 자유로운 분석을 하고 있으며, 관련 원고들의 원고적격을 인정하였다. Friends of the Earth, Inc, v. Laidlaw Environmental Services 판결과 같이 원고적격을 확장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원고적격을 용이하게 인정되게 되고 따라서 소송을 제기하는 원고로서도 원고적격 인정여부에 대해 예측이 보다 용이해지게 된다. 위의 대표적인 네 가지 판결들이 어떻게 원고적격법리를 형성해왔는지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또한 분석 결과 원고적격법리가 법원심사에서 항상 불안정하고 일치되지 않는 심사였음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기도 하다. 원고적격법리는 이처럼 원고적격법리의 외부한계선을 설정하고 있는 네 가지 판결들과 보조를 맞춰 가면서도 어떻게 전개될지 계속 주시해야 할 것이다. 미연방대법원은 환경행정소송과 시민소송을 통해 법원에 제기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제조건으로서의 원고적격법리를 확장하려고 노력해 온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전통적인 원고적격법리를 고수하려는 입장과의 갈등과 투쟁도 판결논리를 통해 잘 볼 수 있었다. 특히 환경관련소송에서 원고적격법리의 기술적 측면을 우리에게 도입하려고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기도 하지만 그런 방향 보다는 원고적격법리를 확대하려는 환경문제를 보는 그 근저의 논의를 인식하고, 우리 나름의 환경문제를 해결하려는 원고적격법리구축을 위한 방향을 설정하고, 그 논의의 기본적 중요성을 파악하는 것이 더욱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e issue of standing is a matter of whether or not the parties to the lawsuit have the authority to receive judgment on the subject matter of the lawsuit, which is a prerequisite in all cases that determine the authority of the court to hear the lawsuit. Article 3 of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provides for a case or controversy as a constitutional requirement to exercise jurisdiction. From this regulation, the Supreme Court of the United States interpreted jurisdiction as being recognized only in disputes related to specific cases, and created and developed legal principles such as standing and ripeness of the case. As described above, the standing under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is a problem in relation to case outcome and is one of the concepts of lawsuit technology that limits the scope of the person who can file a lawsuit. Since the problem of expanding the opportunity for legal relief related to environmental issues is directly related to the issue of expanding standing in environmental litigation, the issue of standing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in environmental litigation. Basically, in the case of Korea, the issue of acknowledging standing in administrative litigation is the legal nature of the environmental right under the Constitution, the practical guarantee of the right to request a trial under the constitution, the purpose or function of an administrative litigation, and especially an administrative litigation closely related to the court's investigation method. It can be said that it is a matter to be decided by comprehensively and systematically reviewing the lawsuit principles in the United States. Currently, Korean theories and precedents have a common tendency to expand and recognize standing, especially in environmental administrative litigation. Standing is, in the end, determining the scope of the person who can contest by filing an environmental lawsuit, which leads to the problem of expanding the possibility of remedy for rights. As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US Constitution and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do not clearly define standing, the discussion on this area is very complex and controversial. The discussion on standing in the United States, a case law state, cannot be accommodated in the Korean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recent trends in the law of standing in the US environmental litigation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In Chapter II, the significance and legal principles of standing in the United States are reviewed. In this chapter, I examine the contents of Article 3 of the Federal Constitution and Article 702 of the Federal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which are the basis for standing in the United States, and discussions in environmental litigation. Chapter Ⅲ examines and analyzes how the lawsuits eligible for plaintiffs have been developed in the case of environmental administrative litigation in the US Supreme Court. In Chapter IV,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application of the standing in the US federal court is conducted and the future trends are predicted. In conclusion, Chapter V summarizes the implications of the application of the standing rule in the US federal court and its development to Korea, and examines the direction of the standing issue in Korea's environmental administrative litig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