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생애사적 학습에 대한 탐구 : 그들은 어떻게 성장하는가

        석영미,이병준 한국성인계속교육학회 2023 성인계속교육연구 Vol.14 No.4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who are other in Korean society as actors and subjects of learning, not passive objects, by linguizing them through life history research methods. The life proces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was sampled and analyzed simultaneously by migration period, that is, the cases of marriage migrant women of settlement period of 15 years or more, mid-term marriage migrant women of 10 years or less, and early marriage migrant women of 5 years or le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omen in the early stages of marriage migration under 5 years are still confused in the culture that they feel is quite different from their home country and are considered absurd. However, at some point, they find themselves becoming accustomed to the culture. And they were not passive others, but independent actors, and were already nomadic subjects. Efforts from the beginning become a 'constitution adapted to Korea' that is more familiar to Korea than their home country after 10 years or more. Women in the late marriage migration, 20 years ahead, are now reaching an ontological realization that is important to what kind of person they are not from. The life event of migration was itself the process of becoming a human through cultural learning beyond simply crossing borders or language learning through marriage.

      • KCI등재

        한국 가족의 식사의례에서의 일상학습 탐구

        석영미,이병준 한국문화교육학회 2014 문화예술교육연구 Vol.9 No.2

        가족은 공유된 문화와 정서를 경험하는 사회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라 할 수 있다. 인간의 인지와 학습이 사회문화적인 맥락에서 이루진다고 본다면 가족 내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을 살펴보는 것은 그 사회의 문화가 개인에게 체화되는 방식을 가늠 할 수 있는 방법이 된다. 특히 가족의 식사는 같은 공간에서 함께 먹는 행위를 통하여 가족공동체의 결속을 강화하고 그들만의 가치들을 공유하는 장으로 가족의 상호작용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가족의례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다섯 가족의 식사의례를 통하여 그 속에서 일어나는 일상적 학습과 문화인지 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한국 가족의 식탁의례는 각 가족의 사회환경 군에 따라 독특한 스타일의 차이를 보였고 또한 공통적으로 Van Gennep 의 통과의례 3단계에 따라 분석 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분리단계에서는 가장 (家長) 위주의 전통적 가치와 자녀 중심의 현대적 가치가 공존하였고 전이단계에서는 이러한 전통적 가치가 아버지로부터 서서히 변화하는 모습과 이를 자녀들이 학습하는 과정을 볼 수 있었다. 마지막 통합단계에서는 유교적 전통인 상물림 관습이 수저물림으로 변형되어 전수되고 있었으며 같은 그릇을 공유하고 매운맛을 즐기는 맛과 문화의 전수 건강과 미에 대한 가치의 공유 등 가족이 진정한 식구 (食口)로 거듭나는 과정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가족의 식탁은 함께 먹고 함께 대화하는 일상의 연행을 통해 자연스러운 무형식 학습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며, 나아가 한국적인 가치와 규칙들이 문화적으로 학습되는 장임을 다시 한 번 확인 할 수 있었다. Family can be the most fundamental unit of society that people experience shared culture and emotion. If considering humane perception and learning are fulfilled in social and cultural context, examination of interaction conducted in family is the method to guess a way that the culture of society is embodied to each person. Particularly, meals of family can be a representative rite of family, strengthening the unity of family community through the behavior eating together in same space and showing interaction of family well as a space that they share their own valu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daily learning and cultural recognition process through the dining ritual of five families. As the result, dining ritual of Korean families showed unique differences of style by social environment group of each family and they can be commonly analyzed by 3 stages of van Gennep's passage rites. Concretely, breadwinner (家長) oriented traditional value and children oriented modern value were coexisted at separation stage. And, the traditional value was slowly changed from fathers and it was learned by their children at transition stage. Finally, at combination stage, dinning order from seniors to juniors, a confucian tradition, was changed and transferred to spoons/chopsticks order from seniors to juniors. And, there were transfer of taste enjoying hot taste and culture sharing same dishes, sharing of values on health and beauty, etc, so family became true Sikgu(食口 -eating foods with their mouth). Thisresearch confirmed that natural and informal learning is conducted through the daily performance of eating and communicating together in dining table of Korean families and furthermore, it is the place that they learn Korean values and norms culturally.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 원어민 강사의 생애사 연구

        석영미,이병준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6 다문화교육연구 Vol.9 No.2

        In changing multi-cultural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marriage migrant women's occupation and workplace more in detail for their successful adaptation to the society and individual growth. Thus, the research method of biography for three experienced instructors was implement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life of homeland, life after migration and growth and change by learning until becoming native-speaker instructors could be understood through the life of native-speaker instructors of marriage migrant women. For them, working and learning are life itself and foundation of life, and workplace was the place of communicating with the world. Second, it was possible to analyze the lives of these women to the process of separation, transition, and combination grounded in life process structure of Schutze and passage rites of van Gennep. They carried out an analysis of their life subjectively for 'progress curve', the surrounding situation exerting control to life. The process of life went through the stage of separation from homeland and the stage of transition which is unstable blank state after migration and approached the stage of combination establishing identity of native-speaking instructors. Experiences and learning of passage ritual stages let marriage migrant women be native-speaking instructors with the following new identity: capable and good person, confident and patient person, and guiding person. 변화하는 다문화 환경 속에서 결혼이주여성들의 성공적인 사회적응과 주체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그들의 직업과 일터에 관한 보다 세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 에 본 연구는 원어민 강사로 활동하고 있는 경력강사 3명을 대상으로 생애사 연구방법을 통해 그들의 삶과 일, 학습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한 연구의 결과 첫째, 결혼이주여성 원어민 강사의 생애를 통해 모국에서의 삶과 이주 후의 삶, 그리고 원어민 강사가 되기까지의 학습을 통한 성장과 변화를 이해 할 수 있었다. 첫째, 결혼이주여성 원어민 강사들에게 일과 학습은 구분되는 개념이 아니라 생활 그 자체이며 삶의 기반이 되며 일터는 세상과 소통하는 만남의 장이었다. 둘째, 결혼이주여성 원어민 강사의 생애는 슛제의 인생진행의 과정 구조와 반 게넵의 통과의례의 따른 분리, 전이, 통합의 과정으로 분석이 가능하였다. 이들은 삶에 통제력을 행사하는 주위의 상황인 ‘진행 곡선’에 맞서 주체적으로 자신의 삶을 추진해 나가는 형태를 보였다. 이러한 인생과정은 모국으로 부터의 분리단계, 이주 후의 불안정한 백지상태인 전이 단계를 거쳐 원어민 강사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통합의 단계에 이르렀다. 통과의례 제 단계들에서의 경험과 학습들은 결혼이주여성들을 역량 있고 좋은 사람, 자신감 있고 참을성 있는 사람, 길을 가르쳐 주는 사람이라는 새로운 정체성을 가진 원어민 강사로 성장하게 했다.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원어민 강사되기 : 일터에서의 의례적 학습과정을 중심으로

        석영미,이병준 한국문화교육학회 2016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1 No.2

        변화하는 다문화 환경 속에서 결혼이주여성들의 성공적인 사회적응과 주체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그들의 직업과 일터에 관한 보다 세밀한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일터에서 일어나는 형식, 무형식 학습의 실체와 매커니즘을 파악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 에 본 연구는 문화적 맥락에서의 학습과정을 보여주는 의례적 학습에 주목하고 원어민 강사로 활동하고 있는 경력, 신입강사 20여명을 대상으로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통해 일터에서의 의례적 학습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결혼이주여성 원어민 강사의 의례적 학습은 일터인 T사업단의 공간을 중심으로 하여 다양한 의례들을 거치며 이루어지고 있었다. 먼저 면접을 통해 상호작용이 시작되며 신입강사 양성교육은 강사로서의 새로운 몸틀을 만드는 출발점이 되었다. 또한 모의수업을 통해 자신만의 방식으로 체화된 지식들을 재현하였다. 수료식을 함께하며 의례적 정서를 공유하고 첫 수업은 이들에게 본격적인 원어민 강사로서의 첫발을 내딛는 의례가 된다. 둘째, 결혼이주여성 원어민 강사의 일터에서의 의례적 학습은 T사업단이라는 리미널리티 공간 속에서의 미메시스와 신체성, 연행성, 이미지 등의 상호메카니즘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 본 결혼이주여성의 일터에서의 의례적 학습은 모국 또는 이전의 위치와 공간에서 분리되어 원어민 강사의 정체성으로 통합되어가는 과정의 전이단계에서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In changing multi-cultural environment, it's necessary to understand marriage migrant women's occupation and workplace more minutely for their successful adaptation to the society and subjective growth. So, this researcher focused ritual learning which shows learning process in cultural context and examined their life, learning and ritual learning process in workplace through the research methods of life history and ethnography for about 20 experienced and unexperienced instructors who are native-speaking instructors. First, ritual learning of native-speaking instructor of marriage migrant women was conducted by various rites in T business foundation, their workplace. First of all, interaction started by interview and new instructor training education became a starting point which makes new frame of instructor. Also, they reappeared knowledges trained by their own method through the mock class. They shared ritual emotion in completion ceremony. The first class is the rite taking the first step of native-speaking instructor in earnest. Second, ritual learning of native-speaking instructor of marriage migrant women in workplace was conducted in mimesis of liminality space, T business foundation, and mutual mechanism such as corporality, performance theory, image, etc. The above ritual learning of marriage migrant women in workplace is in the stage of transition during the process separated from homeland or previous position and space and combined to the identity of native-speaking instructor. It was also understood as a part of the whole life process of marriage migrant woman and was the process of growth and change, finding new self-identity.

      • KCI등재후보

        결혼이주여성의 삶과 학습에 관한 연구 : 일터와 커뮤니티에서의 문화적 학습을 중심으로

        석영미 한국체육무용과학회 2023 Journal of Sport and Dance Science Vol.3 No.2

        이 연구는 A다문화가족센터라는 일터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무형식 학습에 주목하여 일상의 의례적 상호작용과 그 속에서 미메시스적으로 체화되는 학습과정을 살펴보고자 했다. 한국 정주민과 결혼이주여성 실무자가 함께 어우러져 다 양한 사업을 펼치는 A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단순히 다문화가족과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지원사업이 이루어지는 곳을 넘 어 의례적 학습이 이루어지는 사회적 공간이었다. 한국이라는 낯선 사회에 처음 발을 디디며 언어와 문화에 힘들어 했 던 결혼이주여성이 다문화센터에서의 한국어 교육과 같은 처지의 사람들, 지지하는 실무자들을 만나면서 점차 한국사회 에 적응할 수 있는 힘을 얻어갔다. 그 여성은 다시 전문성을 갖춘 센터의 실무자가 되어 자신의 적응 노하우를 전수해 주며 또 다른 ‘친정’의 역할을 하는 환류의 장소가 되고 있었다. 또한 A센터는 매일의 출근과 주간회의 티타임, 각 종 정기, 비정기 행사를 ‘함께’ 하며 알게 모르게 닮아가는 서로의 미메시스 대상이 되어 갔다. 같은 공간에 같이 모 여 같은 테이블에 모여 마주보며 일한다는 것 자체로 이들은 출신국의 차이를 느끼지 못하는 ‘같은 나라 사람’이 되 어가고 있었다. Objectives This study focused on informal learning in the workplace space called Multicultural Family Center A. I tried to examine the ritual interactions of daily life here and the learning process embodied in mimesis. Methods This study used cultural technology to reveal the cultural learning process of marriage migrant women in the workplace and community. Data collection methods are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Results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A combines Korean residents and working-level marriage migrant women to carry out various projects. It was a social space where ritual learning took place beyond simple support projects f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marriage migrant women. Marriage migrant women, who struggled with language and culture when they first stepped into the unfamiliar society of Korea, gradually gained the power to adapt to Korean society by teaching Korean at a multicultural center and meeting people in the same situation and supporting working-level officials. Conclusions They again become working-level officials at the center with expertise. They passed on their adaptation know-how. Therefore, Center A was becoming a place of feedback that served as another 'friendship'. In addition, Center A became the target of each other's mimes, 'together' with daily work, weekly meeting tea time, various regular and irregular events. While working together in the same space, gathering at the same table, facing each other, they were becoming 'people from the same country' who could not feel the difference in their country of origin.

      • KCI등재

        이주민 활동가들의 학습생애사 연구

        석영미,이병준 한국문화교육학회 2017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2 No.6

        Immigrants of Korean society are living with their own roles and identities. Unlike the early stage when most of them entered as industrial research students, current immigrants are following various occupations of all social strata and cultivating their capabilities. Especially, from an angle of immigrant worker or marriage migrant woman who is supported and gets benefits, it’s necessary to focus on their activities they recognize their lives subjectively and become activists. Therefore,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is 2 immigrant activists who have lived in Korea for more than 10years and are supporting other immigrants in NGO and this research found reasons for their successful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and becoming of activists. The method of this research is a study on life history by narrative interview.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re were different detailed goals of immigrant activists, such as marriage, work, etc, but they enter cultural situation which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ir life in homeland through the big common experience, ‘migration’. In the early stage, they experienced conflicts and confusion in unfamiliar situation, but their identity is gradually recovered by workplace learning, community learning. During the process, they caused changes of self-identity from ‘passive others’ to ‘active subjects’. Through their biographical learning, multi-cultural education by informal learning is more important than multi-cultural education of formal level and educational practice based on learner’s forming possibility and activity should be a task of new multi-cultural society. 한국사회 이주민들은 이제 나름의 역할과 정체성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으며 초기와는 달리 현재의 이주민들은 사회 각 층에서 다양한 직업에 종사하며 역량을 키우고 있다. 특히 이주민 노동자 또는 결혼이주여성이라는 지원과 수혜를 받는 입장에서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인식하고 당사자 활동가로서 변모하게 된 이들의 활동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주민으로서 동료 이주민을 지원하는 이주민 활동가 두 사례의 생애를 통해 활동가가 되기까지의 삶의 맥락과 학습과정을 생애사를 통해 드러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이들 이주민 당사자 활동가들은 결혼 또는 노동 등 계기는 달랐지만‘이주’라는 커다란 공통 경험 통해 모국에서의 삶과는 전혀 다른 문화적 상황에 유입되게 된다. 이들은 이러한 낯선 상황 속에서 초기에는 갈등과 혼란을 겪었으나 점차 일터 학습, 공동체 학습 등을 통해 나름의 주체성을 회복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이들은 ‘소극적 타자’에서 ‘능동적 주체자’로서의 자기정체성의 변화를 일으키게 되었다. 이들의 학습생애사를 통해 우리는 형식적 차원의 다문화교육보다 무형식 학습에 의한 다문화교육의 중요성과 또한 학습자 스스로의 형성가능성과 활동성을 바탕으로 하는 교육학적 실천이 새로운 다문화 사회의 과제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전문대학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등록 유인가, 자기효능감, 목표지향성 및 학업성패 귀인성향의 관계

        석영미,나승일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0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nd enrollment valence, self-efficacy, goal orientation, and attribution for academic success and failure of learners in bachelor's degree course at junior colleges.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7,058 learners of bachelor's degree course at junior colleges. The sampling was performed by department, considering ratio of major field of study.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measure variables of this study. It was consisted of learning motivation scale, enrollment valence scale, self-efficacy scale, goal orientation scale, attribution for academic success and failure scale, and demographic items. The scales were selected from exiting scale by the researcher. Through pilot test and final surve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se scales were examined.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were the average. Learners were not motivated in the proportion of ten to two. And statistical differences in gender, age, group of major, and perceived level to adapt to the college were identified. Second, their characteristics on enrollment valence, self-efficacy, goal orientation, and attribution for academic success and failure were positive in aspect of learning motivation. Third, enrollment valence, self-efficacy, mastery go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are major variables which have effect on learning motivation. Forth, if learner perceives more enrollment valence on bachelor's degree course at junior colleges, and one's ability and focus learning itself, level of learning motivation will be high. The other hand, Learning motivation will be low if learner has tendency to avoid poor performance than others.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전문대학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이하 전공심화과정)에 등록한 학습자들의 학습동기와 등록 유인가, 자기효능감, 목표지향성 및 학업성패 귀인성향의 관계를 구명하는 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2010년 3월 현재 전공심화과정에 등록한 모든 학습자 7,058명이며, 자료 수집을 위한 조사도구로는 질문지가 사용되었다. 자료 수집은 4월 25일부터 5월 30일까지 우편 및 방문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총 631부의 질문지가 배포되었고 이 중 385부가 회수되었으며, 최종적으로 총 370부가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등의 기술통계와 t검정, F검정, 단순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 연구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심화과정 학습자는 보통 수준의 학습동기를 가지고 있으며, 10명 중 2명은 비교적 낮은 학습동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별, 연령, 계열,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인식 정도에 따라 학습동기 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전공심화과정 학습자의 등록 유인가, 자기효능감, 목표지향성, 학업성패 귀인성향 특성은 학습동기 향상 및 제고의 측면에서 비교적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심화과정 학습자의 학습동기는 자기 스스로의 능력을 높게 인식할수록, 전공심화과정에 대한 등록 유인가를 높게 인식할 수 있도록, 수행보다는 학습자체에 초점을 둘수록 높아지는 반면, 타인과 자신의 학습 성과나 수행 비교를 통해 뒤떨어지는 것을 모면하려는 성향이 강할수록 학습동기가 낮아진다.

      • KCI등재

        전문대학 교수의 조직변화 수용성과 개인 및 조직 변인의 위계적 관계

        석영미,나승일 한국직업교육학회 2017 職業 敎育 硏究 Vol.3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hierarchical linear relationship among receptivity to organizational change, individual variables of professors and organizational variables in junior colleges. 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was 12,920 professors in 139 junior colleges. Using random sampling method considering subject, 800 professors in 40 colleges were sampled for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6 to June 13. A total of 445 out of 800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of which 441 of 40 junior colleges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data cleaning. These data were analyzed by bo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One-way ANOVA with Random Effects, Ranmdom-Coefficients Regression Model, and Intercepts-and Slopes-as-Outcomes Model of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All data analysis was accomplished using the SPSS 20.0 for windows program and the HLM 6.0 for windows program. An alpha level of 0.05 was established priori for determining the significa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receptivity to organizational change of professions in junior college was 3.94. Second, 56.5% of total variance in receptivity to organizational change was individual level variance. 43.5% of total variance in receptivity to organizational change was organizational level variance. Third, personal valence about organizational change, psychological ownership, experience of assignment, years of service and job security had positive effects on receptivity to organizational change while years of service had negative effects on receptivity to organizational change. The effect of personal valence about organizational change was highest, and the effect of job security was lowest. Fourth, degree of organizational change, participative decision-making, group culture and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related to organizational change had positive effects on receptivity to organizational change. The effect of degree of organizational change was highest, and the effect of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related to organizational change was lowest.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 교수의 조직변화 수용성과 개인 및 조직 변인의 위계적 관계를 구명하는 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2015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 전문대학에 재직하고 있는 전임교수 12,920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을 위한 조사 도구로는 질문지가 사용되었다. 질문지는 2015년 5월 26일부터 6월 13일까지 총 800부가 배포되었고, 이 중 445부가 회수되었다. 이 중 최종적으로 총 441부가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HLM 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 교수의 조직변화 수용성 수준은 평균 3.94로 대다수의 교수들이 조직변화를 수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변화 수용성의 변량은 56.5%가 개인 차이, 43.5%가 조직 차이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 변인 중에는 교수의 변화에 대한 기대, 주인의식, 보직경험, 근속년수, 직무안정성의 순으로 조직변화 수용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근속년수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 변인 중에는 조직변화수준, 참여적 의사결정, 관계지향문화, 변화관련정보 접근성의 순으로 조직변화 수용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