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수(眉叟) 허목(許穆)의 「춘추설(春秋說)」 연구

        석승징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1 東洋學 Vol.- No.83

        This study is to find and organize the materials that Heo Mok referred to while writing 「Chunchuseol(春秋說, A Commentary o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and to examine what is ‘the Great righteousness of Chunchu(春秋大義)’ he says. Heo Mok wrote 「Gyeongseol(經說, A Commentary on the Scriptures of Confucianism)」 by abbreviating old writings he had read for more than 50 years. And he presented it to King Sukjong(肅宗). The meaning of his present of that book contained the expectation that the young king will emulate the teachings of the saints in the old writings and carry out great politics. In 「Chunchuseol」, one of the 「Gyeongseol」, his thoughts on Chunchu(春秋) are completely contained. First, he mentions the fact that Confucius conveys the teachings of the old saints to posterity through Chunchu . And, he explains Chunchu is a sacred discourse to cultivate the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and expose the principles of humanity. He is also says that in an era when the principles of royal politics(王道) disappears and ‘the poetry’ could not play a role, Chunchu can be played the role of the scriptures of Confucianism. Continually, he proposes ‘the Great righteousness of Chunchu’ in three categories: the consciousness of respect for the King(尊君意識), the value of the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仁義), and the idea of Great unification(大一統) reflecting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Joseon. Then, in accordance with the teachings of Chunchu , he argues that the people should cultivate the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formulate the principles of humanity, implement the principles of heaven and stabilize the principles of the earth. Through the process of finding the various old writings and checking the context that Heo Mok referred to while writing 「Chunchuseol」, I was able to find a glimpse of what kind of situational awareness he had and what kind of responses to the situation at that time he did. In particular, through the expressions that differ slightly from those of the old writings he referred, I was able to confirm that he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from the Chinese-centered Great unification ideas of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o the Great unification ideas of reflecting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Joseon. The challenge of Joseon in the 17th century was to overcome the impoverished people’s livelihood due to severe war, constant political turmoil, and frequent natural disasters. What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is the countermeasures of Heo Mok, a responsible intellectual of that period who has to overcome such temporal and spatial challenges. It was the effort to establish a stable political system based on the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through the strengthening of the royal authority and ultimately solve the chaotic times situation. 본 연구는 허목이 「춘추설」을 지으면서 참조한 자료들을 찾아서 정리하고, 그가 말하는 춘추대의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허목은 그 자신이 50년 이상 읽어 온 옛글들을 축약하여 「경설」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그 글을 숙종에게바친다. 여기에는 젊은 왕으로 하여금, 옛글에 들어있는 성인들의 가르침을 본받아 훌륭한 정치를 펼쳐 줄 것을 기대하는 마음이 담겨져 있다. 「경설」 중의 한 편인 「춘추설」에는 춘추 에 대한 그의 생각이 오롯이 담겨 있다. 먼저 그는 공자가 옛 성인들의 가르침을 춘추 를 통하여 후세에 전하고 있다는 사실을 언급한다. 그리고 춘추 는 인의를 닦고 인도를 밝히는 큰 도리라고 설명한다. 또, 왕도가 사라지고, ‘시’가 역할을 하지 못하는 시대에, 춘추 가 있음으로써 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어서, 춘추대의를 존군 의식, 인의의 가치관, 조선의 특수성을 반영한대일통 사상 등의 세 가지로 정리하여 제시한다. 그리고 춘추 의 가르침에 따라, 인의를 닦아 인도를 세우고, 천도를 이루며, 지도를 평안하게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허목이 「춘추설」을 지으면서 참조했던 다양한 옛글들을 찾아 그 맥락을 확인하는 과정을 통하여, 그가 어떤상황 인식을 가지고 시대적 상황에 대응했는지에 대한 일단을 찾을 수 있었다. 특히 참조했던 옛글과 미세하게 달라지는 표현들을 통하여, 그가 춘추시대의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대일통 사상으로부터 조선의 개별성을반영한 대일통 사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17세기 조선이 안고 있던 과제는, 혹심했던 전란, 끊임없이 이어지는 정치적 혼란 그리고 빈번한 자연재해등으로 인해 피폐해진 민생을 극복하는 일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한 것은, 이와 같은 시대적·공간적과제에 대한 당대의 책임 있는 지식인 허목의 대응이다. 그것은 왕권 강화를 통하여, 인과 의를 바탕으로 하는안정적인 정치체제를 확립하고, 궁극적으로 혼란한 시대상을 해결하려는 것이었다.

      • KCI등재

        미수(眉叟) 허목(許穆)의 존군(尊君) 의식 고찰

        석승징 한국철학사연구회 2022 한국 철학논집 Vol.- No.72

        Heo Mok(許穆) presents ‘the consciousness of respect for the Monarch(尊君意識)’ as one of ‘the Great righteousness of Chunchu(春秋大義)’. Since Dong Jungseo(董仲舒) in the Former Han dynasty interpreted 『Chunchu(春秋)』 and established the theory of imperial rule, ‘the Great righteousness of Chunchu(春秋大義)’ used to be interpreted differently each time by various scholars, including Ga Gyu(賈逵) in the Latter Han dynasty and Jeong I(程頤)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Heo Mok’s perception of ‘the Great righteousness of Chunchu’ has no differences. Heo Mok’s ‘the consciousness of respect for the Monarch’ aims to strengthen the state by enhancing the position power of monarch. He argues that the power of the monarch can be raised based on the rituals, the order set by heaven. The reason Heo Mok emphasized the order of heaven is to make a kind of checking on the monarch and to elicit the monarch’s subjective and ethical behavior. And, that power of the monarch must be exercised for the people. On the other hand, Heo Mok thought that the duty of respecting the monarch does not change even if times change and customs was changed, but the rituals of practicing duty can change. It is also true that Heo Mok’s ‘the consciousness of respect for the Monarch’ shows certain limitations on the premise of a discriminatory status order, but three insights can be obtained from his thinking of accepting changes and differences. These can be summarized as maintaining orders, accepting changes, acknowledging differences. 허목은 춘추대의의 하나로 군주를 높이고 신하를 낮춘다고 하는 ‘존군 의식’을 제시한다. 전한의 동중서가 『춘추』를 해석하여 제국의 지배 이론을 구축한 이래, 춘추대의는 시대를 달리하는 후한의 가규, 북송의 정이 등을 비롯한 여러 학자들에 의해서 조금씩 다른 형태로 해석되어왔다. 허목의 춘추대의에 대한 인식 역시 이와 다를 바 없다. 허목의 존군 의식은 군주의 권위를 높여서 국가를 강성하게 만들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그는 군주의 권위는, 하늘이 정해준 질서인 예를 바탕으로 높여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허목이 하늘의 질서를 강조한 이유는 군주권에 대한 일종의 견제이고, 군주의 주체적이고 윤리적인 행위를 이끌어 내기 위한 장치이다. 그리고 그 군주권은 백성을 위하여 행사되어야 한다. 한편 허목은, 군주를 높여야 한다고 하는 당위는 시대가 변하고 풍기가 달라도 변하지 않지만, 당위의 실천을 위한 예는 달라질 수 있다고 본다. 허목의 존군 의식이 차별적인 신분질서를 전제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정한 한계를 보이고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변화와 다름을 인정하는 그의 사고로부터 우리는 세 가지 정도의 통찰을 얻을 수 있다. 그것은 질서의 유지, 변화의 수용, 다름의 인정으로 정리할 수 있다.

      • KCI등재

        미수(眉叟) 허목(許穆)의 인의관(仁義觀)에 관한 고찰

        석승징 한국철학사연구회 2022 한국 철학논집 Vol.- No.74

        허목은 춘추대의의 하나로 인의를 귀하게 여기고 사력을 천하게 여긴다고 하는 ‘인의의 가치관’을 제시한다. 그렇지만 ‘인의’라고 하는 단어는 『춘추』 경문은 물론 『춘추좌씨전』과 『춘추공양전』에서도 보이지 않는다. 『춘추곡량전』에서 1회 보일 뿐이다. 이러한 사실은 ‘인의’라는 범주가 『춘추』 경문이 지어질 당시에는 관심의 대상이 아니었음을 말해준다. 공자 사상의 핵심인 ‘인’은 ‘사람다움’으로 정의할 수 있고, 맹자 사상의 핵심인 ‘의’는 ‘사람다움을 위한 도리’로 정의할 수 있다. 유교의 덕목을 ‘인의예지’로 표현하는 방식은 『맹자』에서 처음 보이는데, 맹자는 ‘인의예지’를 ‘인의’로 줄여서 표현하기도 하였다. 이때, ‘인의’는 ‘사람다움을 위하여 마땅히 행하여야 하는 도리’가 된다. 이후, 동중서에 의하여 ‘인의’는 『춘추』가 만든 법도로 받아들여졌으며, 주자학자들에 의해서 ‘인의의 가치관’은 춘추대의의 하나로 온전히 자리매김 되었다. 허목이 말하는 ‘인의’에는 이와 같은 다양한 논의가 모두 망라되어 있다. 그리고 그것은 사람다움을 평가하는 기준이 된다. 허목에게 있어서, 그 기준은 지역과 국가, 그리고 역사에 대한 평가에까지 확대되어 작용한다. 무엇보다 경세가로서의 정책 제시 과정에도 나타난다. 그것은 바로 ‘예’를 통한 인의의 실현이다. 사람다움은 지극히 현실적이며,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방식으로 다양하게 변주될 수 있다. 예컨대 공자가 그의 제자들과 나누었던 대화 속에서 제시된 사람다움의 모습은, 현재의 시점에서도 여전히 손색없는 덕목들이다. 허목이 경세가로서 또 사상가로서, ‘인의’를 주창할 수 있었던 것은, 이렇듯 시·공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변치 않는 사람다움의 덕목들을 이해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동시대의 사람들과 더불어 사는, 사람다운 삶을 꿈꾸었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Heo Mok(許穆) presents ‘the values by the Humanity and Righteousness’ as one of ‘the Moral principle of the Spring and Autumn Annals(春秋大義)’. But the term ‘the Humanity and Righteousness(仁義)’ does not exist i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春秋) . Of course, it does not exist in Zuo’s Commentary o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春秋左氏傳) and The Gongyang Commentary o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春秋公羊傳) , too. It appeared only once in The Guliang Commentary o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春秋穀梁傳) . This fact suggests that the category of ‘the Humanity and Righteousness’ did not receive attention whe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was being written. The core of Confucius’ ideology, ‘the Humanity(仁)’ can be defined as ‘the human virtues’, and the core of Mencius’ ideology, ‘the Righteousness(義)’ can be defined as ‘the obligation for human virtues’. The method of expressing Confucian virtues as ‘the Humanity,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仁義禮智)’ is first seen in Mencius , and Mencius abbreviated it again ‘the Humanity and Righteousness’. At that time, ‘the Humanity and Righteousness’ becomes ‘the obligation to practice for human virtue’. Later, by Dong Jungseo(董仲舒), ‘the Humanity and Righteousness’ was first accepted as a law enacted by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 And by Neo Confucian scholars, ‘the value criteria by the Humanity and Righteousness’ has been fully established as one of the Moral principle of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The value criteria by the Humanity and Righteousness by Heo Mok, covers all of these various discussions. It serves as a criteria for evaluating the human virtues. In Heo Mok’s ideology, it has been extended to regions, countries, history and functions as a criteria for value judgment. Above all, it is also acting on his administrative policy. It is the achievement of ‘the Humanity and Righteousness’ through practice of the ritual. The human virtues are extremely realistic and can be varied in various ways in concrete and practical ways. For example, the appearance of the Humanity presented in the conversation Confucius had with his disciples can still function at the present. Heo Mok as a statesman and a thinker, could advocate ‘the Humanity and Righteousness’, that because he understood that the human virtues do not change despite the changes in time and space. Above all, it is understood that he dreamed of living with the people of his time and living based on the human virtues.

      • KCI등재

        미수(眉叟) 허목(許穆)에 관한 도가(道家) 프레임 고찰

        석승징 범한철학회 2021 汎韓哲學 Vol.101 No.2

        미수(眉叟) 허목(許穆)은 탈주자학적 학풍을 보였던 인물로 인식되고 있다. 그에 더하여 ‘도가적 경향’을 가진 학자라고 평가되기도 한다. 그리고 그 인식은 어느덧 프레임이 되어 기능하고 있다. 본 논문은 허목의 학문적 성향에 대한, 이와 같은 기존의 평가가 정당한 것 이었는지를 확인함을 목적으로 한다. 한 사람의 학자가 가지고 있는 학문적 성향에 대한 판단은 철저하게 그의 학문적 사유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허목에 대하여 “도가적 경향을 가지고 있다.”라고 하는 지금까지 의 평가는 도가적 사유에 대한 충분한 고찰 없이, 신비한 분위기에 감싸여져 있거나, 은자적 처세를 취했던 사람들을 도가적인 인물로 혐의하고, 그러한 사람들이 가계에 있다는 사실과, 그러한 사람들과 교유했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한다. 그 바탕 위에 허목이 과거를 보지 않은 사실, 신비한 이야기나 인물을 다룬 글을 저술한 사실 등을 겹쳐놓고 바라보는가 하면, 허목 의 방대한 저술 속에서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채 필요한 부분만 발췌하여 해석한 결과이다. 허목은 『역(易)・『예(禮)』・『악(樂)』・『시(詩)』・『서(書)』・『춘추(春秋)』 등 유학의 여섯 경전 을 중요하게 여겼던 유학자이다. Misu Heo Mok is recognized as a person who showed an academic inclination a s a C onfucian b ut n ot N eo-Confucian. In a ddition, he i s considered to have Taoist tendencies. That recognition was already fixed as a frame and is functio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sure that these existing assessments of the academic inclination of Heo Mok are appropriate. An assessment of a scholar's academic inclination should be based on his academic thought. The contention so far that Heo Mok has Taoist tendencies is based on speculation that his family or people around him were Taoist figures. That speculation was made without considering whether or not they had Taoist thinking. But they were only enveloped in some mysterious atmosphere or led the life of a recluse. Also, the facts that Heo Mok did not take the examination to serve as a government official, and he wrote various writings on mysterious things or people were overlapped with that assessment. Furthermore, the result of extracting and interpreting only necessary parts without considering the context in Heo Mok's vast writings was added on that. But, Heo Mok was a Confucian s cholar who regarded the s ix Confucian Scriptures as important: The Book of Changes, The Book of Rites, The Book of Music, The Book of Poetry, The Book of Documents, and The Book of Spring and Autumn Ann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