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선도⋅중국도교⋅한국도교’ 구분론: 한국선도 변형태로서의 중국도교 연구 방향 제안

        석상순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22 선도문화 Vol.33 No.-

        2000년대 초반 학계에 ‘한국선도’라는 새로운 학술 개념어와 학문분야가 등장하였 다. 본고는 한국선도를 중심으로 중국도교 및 한국도교와의 상호간 개념과 영역을 비교 한 연구이다. 그간 한국의 선도문화에 대한 인식은 유교문화 내지 서구인 시각으로 규정되어 저급한 샤머니즘[巫]으로 폄훼받기 일쑤였으나, 오늘날 고고학적 발굴 및 연구 성과는 선도문화가 샤머니즘이 아니라 고차원적인 세계관과 삶의 방식을 보여주는 신선문화⋅신선사상[仙]이라는 사실 및 동북아 신선문화의 시원과 전파의 주체가 한민 족에게 있음을 입증해주고 있다. 근대 이후 한국선도 연구는 두 경향이 있어 왔다. 하나는 신채호 이래 한국선도가 중국도교와는 차별화되는 한민족 고유의 사상이라는 주체적 입장에서의 연구이고, 다른 하나는 이능화 이래 한국선도를 한국도교의 범주 속에 포함시켜 연구하는 입장이었 다. 전자에 비해 후자가 양적으로는 학계의 주류를 형성하여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늘 전자의 학풍을 계승하고자 하는 선학들의 연구가 이어져 왔고 이에 힘입어 ‘한국선 도’ 분야가 등장하게 되었다. 한국선도는 기학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하는 수행 및 철학(사상), 역사 등을 포괄하는 한민족 고유의 사상 체계를 말한다. 반면에 중국도교는 신선장생사상을 기반으로 노장 사상 및 유교⋅불교와 여러 민간신앙의 요소들을 받아들여 형성된 종교이다. 전자는 삼원오행론 철학을 기반으로 성통⋅공완하여 홍익인간⋅재세이화한 연후에 조천한다 는 신선문화, 곧 ‘신선공완사상’을 갖고 있다. 후자는 음양오행론 및 불로장생하여 우화 등선하려는 ‘신선장생사상’을 갖고 있다. 한국선도는 선도철학의 정수를 담은 경전과 이를 바탕으로 하는 철저한 수행, 강인한 역사의식 등을 기반으로 선도사관이 형성되었 다. 반면에 중국도교는 도장이라는 방대한 경전을 갖고 있을 뿐 역사의식이 미비하고 사회적 실천의식도 없어서 도교사학이 형성되지 못하였다. 한국도교는 중국도교와 거 의 비슷하다. 2000년대 초 이래 ‘한국선도’ 학문분야가 신생하여 분립하고 있다. 한국도교는 한국 선도의 분립을 수용하지 않고 한국도교의 도장 편찬을 위해 한국선도의 경전 및 사서를 끌어안고 있다. 반면에 그간의 한국선도의 연구성과는 외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도 교는 한국선도 연구성과를 대범하게 인정하고 한국선도의 변형태로서의 중국도교 연구 를 제안한다. 이유는 동북아에서 시작되어 동아시아, 유라시아 전역으로 퍼져나간 선도 문화를 한국선도 및 한국도교 연구자들이 상호 조화롭게 연구하여 유라시아 전역 상고 문화사가 선도적 역사의식의 관점에서 서술되기를 기대하기 때문이다. 이 방법이 오랜 동안의 문화사대주의 특히 중화중심주의적 사고에서 벗어나서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을 찾는 길이 될 것이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new academic field of ‘Korean Sundo’ that emerged in the early 2000’s with a comparative study with the Chinese Taoism. The Korean Sundo culture was hitherto viewed as being similar to Shamanism especially seen through the western lens. However, archaeological discoveries and achievements since the 1980’s are revealing that the Korean Sundo is the ShinSun (神仙) Thought which embodies a highly cultivated ways of life and a world view distinct in its qualities to shamanism and it also explains the origins of the North-east Asia ShinSun (神仙) Culture. There have been two different tendencies in the research of the Korean Sundo since the modern era. One takes on the thoughts of Shin Chae-ho, that Korean Sundo is a thought system indigenous to Korea, distinguished from Chinese Taoism. The other follows on Lee Neung-hwa who understands Korean Sundo to be within the boundaries of Korean Taoism. The latter has been the mainstream point of view, at least in terms of the numbers of its researchers. However, the former school has continued to thrive, culminating in the emergence of the field of ‘Korean Sundo’. Korean Sundo is an indigenous Korean system of thought that embraces the balance of the mind and the body based on training by way of the philosophy of energy (氣) that further extends to an awareness of social values and its history. On the other hand, the Chinese Taoism is a religion formed of Shinsun Long-life thought, Laotzu, combination as a Confucianism, Buddhism and various folk religion. The former is a Shinsun culture with active sense of humanitarian cause with endeavor to establish Hongik Ingan (弘益人間 People devoted to the betterment of humanity)⋅Jae Ihwa (在世理化 Creating a peaceful world) by way of Seongtong (性通 Connecting with heaven)⋅Gongwan (功完 Serving to the society) on a basis of ‘the Theory of the five elements of three dimensions - Chun(天)⋅Ji(地)⋅ In(人,) doctrine. The latter, Chinese Taoism, on the other hand, has its base on Shinsun Long-life thought by the Theory of the five elements of Yin and Yang, to ascend to heaven as a Taoist immortal by way of staying young and living long. Korean Sundo has also formed its way of viewing the history with emphasis on the awareness of the social consciousness through meditational training accompanied by the scriptures that contain the essence of Sundo philosophy. Whereas Chinese Taoism has a massive scripture, called Dojang (道藏), it lack historical consciousness or awareness to serve the society, and therefore there isn’t a branch of study in history in Taoism. Similarly, the same applies to Korean Taoism. Since the early 2000’s, the academic field of ‘Korean Sundo’ emerged and is standing independently. In response to this, the Korean Taoism is embracing the scriptures and historical studies of Korean Sundo in order to publish their own scriptures. Meanwhile, they do not accredit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Korean Sundo. We propose that the Korean Taoists should acknowledge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Korean Sundo, and that they should also study into the Chinese Taoism as a modified form of the Korean Sundo. This will enable the two fields to research more harmoniously as the Korean Taoism adopts the historical viewpoint from Korean Sundo, whereby the ancient cultural history that spread throughout Eastern Asia and Eurasian continent has its central philosophical origins in Northeast Asia. Furthermore, this will enable the Korean philosophers to stand on their own feet at last free of the prolonged cultural toadyism, especially Sino-centrism.

      • KCI등재

        한국의 유적 및 지명을 통해 본 ‘마고’의 원형

        석상순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16 선도문화 Vol.20 No.-

        본고는 한국의 '마고' 관련 전승을 선도적 관점에서 살핀 것이다. 구비설화 속에 '마고할미'라는 존재가 등장하는데, 이 마고할미와 관련한 유적 및 지명도 전승되고 있다. 설화 속 마고할미는 '할머니창세신'의 모습으로 '성쌓기[築城]' 행위를 하는 점이 가장 큰 특징으로 나타나고, 유적 및 지명에서도 마고할미를 모신 제천단·사당이나 마고할미가 쌓았다는 산성·바위·바위산들이 나타나고 있다. 선도사서『부도지』에는 '마고성'에서 살았다는 '마고' 이야기가 신화 형태로 등장하는데, '마고'가 태초의 우주만물 및 人祖(인류)를 창조한 창조신이며, '마고성'은 지고지순한 천인(신인)들이 조화로운 삶을 사는 천인합일(신인합일)의 이상향으로 제시되어 있다. 마고설화와 마고신화의 연관성은 한국선도의 관점에서 삼신하느님(하느님, , 一, 三)으로서의 '마고'가 창세의 파편적인 흔적을 지닌 '마고할미' 곧 '할머니창세신'으로 변이된 것이며, 천인합일의 이상향인 '마고성'은 마고할미의 '성쌓기' 행위로 변이 전승되어 온 것으로 이해된다. 마고와 관련하여 곳곳에 유적 및 지명이 남아 있는데, 유적의 경우 '제천단·사당' 형태는 할머니창세신인 마고(마고할미)를 모시는 곳이고, '산성·바위·바위산' 형태는 마고할미의 행위인 '성쌓기'와 연관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따라서 마고설화를 비롯하여 마고 관련 유적 및 지명 속의 '마고'의 원형은 『부도지』속의 '마고신화'라고 보았다. 곧 마고가 창조한 천인(신인)들이 이상적인 삶을 살았던 천인합일의 공간이 '마고성'인데, 오미의 화를 계기로 마고성을 출성한 이후 사람들은 늘 이상향인 마고성으로 돌아가고자[復本] 수행하였다. 이 복본 행위의 하나로 마고할미가 마고성을 상징하는 '성쌓기' 행위를 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복본의 진정한 의미는 인류가 잃어버린 천성(신성, 본성)을 회복하여 천인합일의 경지에 이르는 것으로 한국선도 수행은 복본을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한·중 마고 전승 비교 연구

        석상순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19 유라시아문화 Vol.1 No.-

        본고는 한국선도의 ‘마고’ 전승과 원형을 살펴보고, 한국선도 마고관의 중국적 변형에 대해 살핀 것이다. 한국선도의 기본 원리는 삼원조화사상이며 수행의 목적은 천인합일(신인합일)을 이루는데 있다. 우주의 근원적인 생명에너지를 움직여 사람과 만물을 창조한 하느님(삼신하느님)이란 존재가 바로 ‘마고’이며, 마고가 존재했던 마고성이 바로 천인합일(신인합일)의 공간이다. 이러한 마고의 가장 원형적인 모습은 선도사서 『부도지』에서 찾을 수 있으며, 요서지역 상고문화의 핵심이 바로 선도 마고제천이었음을 고고학적 유물⋅유적을 통한 연구 결과가 보여주고 있다. 한⋅중 마고 전승의 구체적인 모습을 비교해 보면, 한국의 마고는 우주를 창조한 근원적인 생명에너지로 모든 현상을 있게 한 창조주 하느님(삼신하느님)이었는데, 후대로 전승되면서‘할머니창세신’의 모습으로 변이되었고, 창세 행위의 일종인 ‘성쌓기[축성]’하는 모습으로 많이 남아 있다. 그럼에도 삼신하느님으로서의 위상이 전승되어져 오늘날 제천단⋅사당의 신격으로 모셔져 사람들에게 제천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반해 중국의 마고선녀는 아름다운 외모에 신통한 도술력을 지녔고, 불로장생하는 여자 신선의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으며, 창조신 이미지나 성쌓기하는 모습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필자는 이를 한국선도의 마고가 중원지역에서는 중국도교의 영향으로 불로장생하는 아름다운 선녀 이미지로 변형되어 전승된 것으로 보았다. 한국에서도 마고선녀 전승이 나타나는데, 이는 중국도교의 한국 유입으로 인하여 한국에서도 도교풍의 마고선녀 전승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한국선도 ‘마고(마고할미)’를 중국도교 속 ‘마고선녀’와 동일선상에서 단순 대비 하기에는 무리가 있겠다. 하지만, 성별 미분화 상태의 중성적 이미지를 지닌 ‘마고 (마고할미)’ 전승이 아름다운 여성적 이미지를 지닌 ‘마고선녀’ 전승보다 더 원초적 古形을 유지하고 있어 시적으로 앞선다고 보았다. 한국의 선도가 중원 지역에서 중국도교 형성에 영향을 주었기에, 따라서 한국선도의 마고가 중원으로 흘러가서 중국도교의 영향으로 도교화되어 마고선녀로 전승된 것으로 보았다. 한국선도의 마고(마고할미)는 중국도교의 마고선녀와 전승되는 모습이 서로 다르기는 하나 그 근원적인 뿌리는 상통하고 있다고 바라보기에, 모든 ‘마고’ 관련 전승의 원형은 선도사서 『부도지』에 등장하는‘마고’이며, 근대 고고학의 성과가 이를 뒷받침해주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This study is to scrutinize the archetype and the transmission of 'Mago' in Korean Sundo, and to research on the chinese modification of Mago. The basic principle of Korean Sundo is "Three-Dimension Harmony Theory". The purpose of the training is to establish Heaven-Human-Combined-In-One (God-Human-Combined-In-One) state. The One who had created human and all other things by moving fundamental vitality of the Universe is Haneunim(Samsin Haneunim), in other words, 'Mago'. The Great City of Mago where Mago had existed was the space of Heaven-Human-Combined-In-One. We can find the most archetypal form of Mago in 『Budoji』. Mago of Korean Sundo had been transmitted by legendary story in which 'Mago Halmi' builds mountain fortress walls. Later on, she has been worshiped as a god in the altar of the sacrificial rituals for Heaven or in the shrines. Mago of China is described as a beautiful female immortal who has miraculous powers. Mago of Korea had been HaNeuNim(SamSin HaNeuNim) who created the Universe by the fundamental vitality which resulted all the phenomena. As time passed by, she has been changed as a 'Grandmother Creator', and remained as a figure who wanted to go back to the Great City of Mago by 'building mountain fortress walls'. In China, it is very different from Korea. Instead of a creator or building mountain fortress walls, she appears as a beautiful female immortal. It seems that Mago had flowed to the center of China and have been changed as an image of a young beautiful woman who never dies or even getting old. Strangely, Mago Fairy can be found in Korea, too. It is presumed that she has been reimported by way of Chinese Taoism. It would be immoderate if we simply compare 'Mago' of Korean Sundo with 'Mago Fairy' of Chinese Taoism on the same line. But Mago of 『Budoji』 who had have ambiguous distinction of sex have kept original form rather than Mago Fairy, it is regarded Mago was far older historically than Mago Fairy. As Korean Sundo had influenced at the time when Chinese Taoism was formed in the center of China, naturally Korean Mago transmission also flowed to the center of China and became Mago Fairy by the influence of Chinese Taoism. Although the present forms of Korean Mago(Mago Halmi) and Chinese Mago Fairy are different, the archetype of Mago transmission is Mago myth of 『BuDoJi』, therefore it is certain that the fundamental roots have something in common.

      • KCI등재

        한국의 유적 및 지명을 통해 본 마고의 원형

        석상순 ( Sang Soon Seok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6 선도문화 Vol.20 No.-

        본고는 한국의 ‘마고’ 관련 전승을 선도적 관점에서 살핀 것이다. 구비설화 속에 ‘마고할미’라는 존재가 등장하는데, 이 마고할미와 관련한 유적 및 지명도 전승되고 있다. 설화 속 마고할미는 ‘할머니창세신’의 모습으로 ‘성쌓기[築城]’ 행위를 하는 점이 가장 큰 특징으로 나타나고, 유적 및 지명에서도 마고할미를 모신 제천단ㆍ사당이나 마고할미가 쌓았다는 산성ㆍ바위ㆍ바위산들이 나타나고 있다. 선도사서 『부도지』에는 ‘마고성’에서 살았다는 ‘마고’ 이야기가 신화 형태로 등장하는데, ‘마고’가 태초의 우주만물 및 人祖(인류)를 조한 창조신이며, ‘마고성’은 지고지순한 천인(신인)들이 조화로운 삶을 사는 천인합일(신인합일)의 이상향으로 제시되어 있다. 마고설화와 마고신화의 연관성은 한국선도의 관점에서 삼신하느님(하느님,신 ,一신, 三신)으로서의 ‘마고’가 창세의 파편적인 흔적을 지닌 ‘마고할미’ 곧 ‘할머니창세신’으로 변이된 것이며, 천인합일의 이상향인 ‘마고성’은 마고할미의 ‘성쌓기’ 행위로 변이 전승되어 온 것으로 이해된다. 마고와 관련하여 곳곳에 유적 및 지명이 남아있는데, 유적의 경우 ‘제천단.사당’ 형태는 할머니창세신인 마고(마고할미)를 모시는 곳이고, ‘산성ㆍ바위ㆍ바위산’ 형태는 마고할미의 행위인 ‘성쌓기’와 연관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따라서 마고설화를 비롯하여 마고 관련 유적 및 지명 속의 ‘마고’의 원형은 『부도지』속의 ‘마고신화’라고 보았다. 곧 마고가 창조한 천인(신인)들이 이상적인 삶을 살았던 천인합일의 공간이 ‘마고성’인데, 오미의 화를 계기로 마고성을 출성한 이후 사람들은 늘 이상향인 마고성으로 돌아가고자[復本] 수행하였다. 이복본 행위의 하나로 마고할미가 마고성을 상징하는 ‘성쌓기’ 행위를 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복본의 진정한 의미는 인류가 잃어버린 천성(신성, 본성)을 회복하여 천인합일의 경지에 이르는 것으로 한국선도 수행은 복본을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is about the researches done by the historical viewpoint of Korean Sundo(仙道史觀) on the ‘Mago’ related transmissions. The existence of ‘Mago Halmi’ appears in the oral legends, the related remains and places with ‘Mago Halmi’ have also transmitted. The principal characteristic of the ‘Mago Halmi’ in the legend is that she builds up mountain fortress walls as a ‘Grandmother Creator’. I could find the names of the remains and the places had been kept at the altar of ritual ceremonies to heaven and in ancestral shrines for Mago Halmi, and the fortresses.rocks.rocky mountains. In the historical book of Korean Sundo 『BuDoJi』, the story of ‘Mago’ who had lived in the Great City of Mago appears as a myth. She was presented as a Creator who had created all beings of the Universe including mankind. ‘The Great City of Mago’ was presented as an idealistic space where absolutely pure people had led harmonious lives as God-Human-Combined-in-On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Mago legend and Mago myth is that ‘Mago’ who is SamShin HaNeuNim(삼신 하느님) by the viewpoint of Korean Sundo had transformed to ‘Mago Halmi’, in other words, ‘Grandmother Creator’ who has kept the fragmental trace. And ‘The Great City of Mago’, an idealistic space of God-Human- Combined-in-One had transformed to ‘the act of building fortress walls’ by ‘Mago Halmi’ and had been transmitted. There are remains and places here and there whose names are related to Mago. It is understood that in case of the remains, the type of ‘alter-shrine’ is a place where people worship Mago(Mago Halmi), ‘Grandma Creator’, the type of ‘fortress.rocks.rocky mountains’ is related to the act of building fortress walls. Therefore the archetype of Mago in the Mago legend and other related remains and places is the ‘Mago Myth’ in 『BuDoJi』 That is to say, an idealistic space of God-Human-Combined-in-One where CheonIns(天人) who had been created by Mago had led harmonious lives is ‘The Great City of Mago’, as they had left it because of the ‘Disaster of Five Tastes’, they had always practiced in the hope to return(BokBon) to “The Great City of Mago’. I have understood that one of the acts of BokBon, is ‘building fortress walls of Mago Halmi’ which symbolizes the Great City of Mago. The true meaning of BokBon is to recover the lost True Self and to accomplish God-Human- Combined-In-One. In short, it can be said the the practice of Korean Sundo is for BokBon.

      • KCI등재

        근대 이후 한국선도 전통의 회복 과정과 ‘선교’ 등장

        석상순 ( Seok,Sang So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21 선도문화 Vol.31 No.-

        본고는 근대 이후 한국선도 전통의 회복 과정과 ‘선교’ 등장의 의미에 관해 살펴본 글이다. 배달국·단군조선 시대의 선도제천문화(선도수행문화)가 단군조선 폐관 이후 유·불·도 삼교의 유입으로 인해 점차 중심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약 2천여 년 간에 걸쳐 저락되어 민속·무속 신앙으로 변질되어 왔다. 민속·무속 형태로 변질된 선도는 19세기말·20세기초에 민족종교의 방식으로 재등장하였는데, 그 중 대종교가 선도의 원형성에 가장 접근하였다. 그러나 곧이은 경술국치로 인한 국망의 시기, 광복 후의 혼란과 남북 전쟁, 이후 지나친 서구화 및 자문화에 대한 폄하적 인식 등으로 인해 상고시대의 선도제천문화의 원형성을 온전하게 회복하지 못한 측면을 보였다. 1980년대에 이르자 지나친 서구화에 대한 반성 및 고유문화에 대한 재인식의 사회적 흐름이 나타났다. 이에 여러 선도수련단체들이 등장하여 기(氣)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선도수련법을 보급하였다. 이들에 의해 한국선도의 수행문화가 되살아나기 시작하였고, 특히 단학은 전통적인 수련법을 현대화하여 대중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타고 1990년대에 민족종교 방식으로 선도수행을 중심으로 하는 ‘선교’가 등장하였다. 선교는 한국선도의 선맥을 이어받아 창교하였고, 선도경전 및 선도사서를 그대로 채택하였으며, 선도성인이자 사제왕으로서 수행의 스승 역할을 하는 단군(삼성)을 모시고 천제를 올리며, 선도수행의 기본 방법인 지감ㆍ조식ㆍ금촉의 삼수행법으로 성통(개인적 깨달음)하여 본성광명ㆍ신인합일(천인합일)을 목적으로 하는 수행문화의 모범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성통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더 나아가 다양한 공완(깨달음의 대사회적 실천) 활동을 통하여 홍익인간ㆍ이화세계를 현실세계에서 구현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선교는 수행과 실천을 중시하는 한국선도의 본령에 접근하여 상고시대 선도문화의 원형성 회복 및 민족종교가 나아갈 새로운 종교문화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앞으로의 한국 민족종교는 내세구원이나 기복 등의 신앙 방식보다는 수행과 실천 중심의 수행문화로 나아가, 상고시기 이래 연면히 이어온 한민족의 고유한 선도수행문화의 원형성을 회복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bout the modern process of the recovery of the Korean Sundo tradition and the Meaning of the Appearance of the ‘Sun-gyo’ religion at the end of 19th century. The Sundo Heavenly Ritual Culture has lost its central role in Korean society because of the influx of the three Sinitic religion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fter the ending of the Dan-gun Joseon Kingdom. From that time on, it declined and degenerated into mere folklore and shamanic worship, for about 2000 years. This remaining belief-and-practice system re-entered Korean society as a type of ethnic religion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Among them, my research has led me to conclude that the Daejong-gyo religion has most-closely approached the archetype of the ancient Sundo. But due to the national humiliation of colonialization in 1910-45 and the chaos after the recovery of national sovereignty from Japan in 1945, and additionally the exceeding westernization and derogation of our own culture, the true ancient style of Korean Sundo Heavenly Ritual Culture could not be fully recovered. By the 1980s, there appeared social currents of introspection about our excessive westernization, and also new understandings of our own culture. Coming up to these raised expectations, many practicing organizations emerged and began to spread Sundo practice-methods based on the concept of ki (energy). By the efforts of these people, an authentic practicing culture has begun to revive. Especially, the Danhak organization obtained good responses by endeavoring towards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practice-methods. Going along with the current trends, the Sun-gyo organization entered the scene which used Sundo practices as a pathway of ethnic religion in the 1990s. Sun-gyo was founded, a religious organization carrying on the legacy of Korean Sundo, and they have adopted sacred texts of Sundo as they had been in former times. Like in the Dan-gun Joseon era, they held religious services to connect with Heaven, presided over by the king who himself was a Sundo saint, at the same time played the role of a practicing teacher (Dan-gun). They have presented an example of practice-culture which aims to awaken one’s True Nature and let them ultimately attain a Divine-Human Unity through the Sam-suhaeng (three practices) methods which includes Jigam (training the mind to calm thoughts and emotions), Josik (training the breath to regulate energy through breathing), and Geumchok (entering a deep spiritual world beyond the five senses). Furthermore, their system does not stop at the stage of awakening one’s True Nature, but they wanted to incarnate the principles Hongik Ingan (People devoted to the betterment of humanity) and Ehwa Segye (Creating a peaceful world) in the real world through various activities of Gong-wan (Actualization one’s vision in the society by sharing the principles and practices of Sundo). Therefore, Sun-gyo approaches the proper functions of Korean Sundo which emphasizes practices and actualization so that they can recover the original type of Sundo culture of Korea’s ancient era. In addition, it presents a new direction that an ethnic and at the same time a universal religion should pursue. The Korean ethnic religion should take a way of practicing and actualization in the society rather than rescue of afterlife or praying for blessings. I think this is the right time to revive the archetype of Korean’s unique practice-culture that has been handed down since ancient times (around BCE 4000).

      • KCI등재

        구비설화를 통해 본 “마고”의 원형

        석상순 ( Sang Soon Seok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3 선도문화 Vol.14 No.-

        본고는 ‘마고’ 관련 전승을 선도적 관점에서 살핀 것이다. 구비설화 속에 ‘마고할미’라는 존재가 등장하는데, 전국 전승 현황을 살펴보면 마고할미가 ‘할머니창세신’이라는 점, 그리고 마고할미가 ‘성쌓기 [築城]’ 행위를 하는 점이 가장 큰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다. 선도사서 『부도지』에는 ‘마고성’에서 살았다는 ‘마고’이야기가 신화의 형태로 등장하는데, ‘마고’가 태초의 우주만물 및 人祖(인류)를 창조한 창조신이며, ‘마고성’은 지고지순한 天人(?人)들이 조화로운 삶을 사는 신인합일의 이상향으로 제시되어 있다. 마고설화와 마고신화의 연관성은 한국선도의 관점에서 삼신하느님(?, 一?, 三?, 하느님)으로서의 ‘마고’가 창세의 파편적 흔적을 지닌 ‘마고할미’ 곧 ‘할머니창세신’으로 변이된 것이며, 신인합일의 이상향인 ‘마고성’은 마고할미의 ‘성쌓기’ 행위로 변이 전승되어 온 것으로 이해하였다. 따라서 마고설화의 원형은『부도지』 속의 ‘마고신화’라고 보았다. 곧 마고가 창조한 天人( 人)들이 이상적인 삶을 살았던 신인합일의 공간이 바로 ‘마고성’인데, 五味의 禍로 마고성을 출성한 이후 사람들은 늘 이상향인 마고성으로 돌아가고자[復本] 수행하였다. 이 복본 행위의 하나로 마고할미가 마고성을 상징하는 ‘성쌓기’ 행위를 하는 것으로 보았다. 복본의 진정한 의미는 잃어버린 천성(신성, 본성)을 회복하여 신인합일에 이르는 것으로 한국선도 수행은 복본을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thesis is written about legendary stories related to ``Mago`` by the viewpoint of Korean Sundo. Among oral legends, ``Mago Halmi`` appears, as I have studied on the Korean national transmission situation, Mago Halmi is a ``Grandmother Creator`` and the actions of her ‘building mountain fortress walls’ is the principal characteristics. In a historical book of Korean Sundo 『BuDoJi』, the story of ‘Mago’ who has lived in ‘the Great City of Mago’ appears by way of a myth. It is presented that ‘Mago’ is the Creator of all being of the Universe including mankind, and ``the Great City of Mago`` is presented as an idealistic space where absolutely pure people(CheonIn) had led harmonious lives as God-Human- Combined-In-One. The connection between Mago legend and Mago myth, by the viewpoint of Korean Sundo, I have understood that ``Mago`` had been changed into ``Mago Halmi(Grandma)``, in other words, ``Grandmother Creator`` who has fragmentary traces of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And the idealistic space of God-Human-Combined-In-One, ‘the Great City of Mago’ has changed into actions of ‘Building mountain fortress walls’, so has been transmitted. Therefore the archetype of Mago legend is the ‘Mago myth’ of 『BuDoJi』. That is to say, the space of God-Human-Combined-In-One where CheonIns(ShinIns) who were created by Mago had led idealistic lives was ``the Great City of Mago``, but after they had left the Great City of Mago as a result of the ``Disaster of Five Tastes``, because they always wanted to return(BokBon) to their ideal land, they have trained. One of the actions of BokBon, I have seen Mago Halmi has ``built mountain fortress walls`` which symbolized the Great City of Mago. The true meaning of BokBon is recovering the True Nature they have lost and arrive at the state of God-Human-Combined-In-One. Thus the training of Korean Sundo can be regarded as for accomplishing BokBon.

      • 북한산의 여산신 연구

        석상순(Seok, Sang Soon)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21 유라시아문화 Vol.4 No.-

        본고는 한국 제천산의 여산신 전통을 바탕으로, 북한산과 관련된 여산신 사례를 통해 북한산의 여산신이 상고시기 마고삼신을 원류로 하고 있음을 밝힌 연구이다. 한국인들에게는 산악숭배사상 및 산신신앙 전통이 있는데, 이는 배달국ㆍ단군조선 시기 이래 행해온 ‘제천’을 그 원류로 한다. 한국선도의 제천의례는 존재의 본질이자 우주의 생명에너지인 ‘일기ㆍ삼기’ 및 이를 인격화한 ‘마고삼신’을 신격으로 하였다. 후대로 내려올수록 선도가 약화되면서 점차 민속화ㆍ무속화하여 천신신앙ㆍ산신신앙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흔적을 한국의 대표적 제천산인 백두산, 마니산, 태백산에서 찾아볼 수 있다. 제천의 신격인 마고삼신은 이른바 성모나 할미, 천녀ㆍ선녀 등의 ‘여산신’으로 좌정하여 천제나 산신제의 신격으로 사람들에게 숭배를 받고 있다. 제천산의 여산신 전통은 북한산ㆍ백악산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조선 초기, 백악산은 ‘진국백(鎭國伯)’으로 봉작되었고, 진국백을 모신 백악사 제천은 국가제례인 중사(中祀)로 중시되었다. 그렇지만 곧 유교례가 정비되면서 선도제천은 유교식 지제로 바뀌어 갔고 백악사 중사도 기우제를 지내는 장소로 바뀌어져 갔다. 국가나 왕실의 억압을 받게 된 선도 제천은 결국 민간으로 흘러들어 민속화·무속화되어 갔다. 북한산의 경우, 백악사의 백악 신위인 진국백 대신 지금은 백악산 ‘정녀부인’이라는 여산신 신격으로 남아 있다. 경기도 고양 및 서울 은평구 불광동에는 북한산 노적봉에 얽힌 ‘밥할머니 설화’에서, ‘밝할머니’가 ‘밥할머니’라는 이름의 여산신 형태로 전승되고 있다. 이외에도 북한산 보현봉의 보현산신각에 있었다는 여산신, 북한산 형제봉 아래 심곡암 관음굴산신각에 좌정하고 있는 여산신, 구복암 성모전에 좌정하고 있는 여산신 등 북한산 곳곳에는 여산신 전승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모습들은 선도제천의 신격인 마고삼신이 민속화ㆍ무속화된 형태로 보이므로 북한산 여산신들은 마고삼신을 원류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한국 제천산의 여산신이 마고삼신을 원류로 하고 있듯이, 마찬가지로 북한산의 여산신도 상고시기 이래 제천 신격인 ‘마고삼신’을 원류로 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