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전방 경추 추간판 제거술 및 유합술후 경추부 연부조직 부종

        석경수(Kyung-Soo Suk),김기택(Ki-Tack Kim),이정희(Jung-Hee Lee),이상훈(Sang-Hoon Lee),김진수(Jin-Soo Kim),최일헌(Il-Hun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2

        목적: 경추부 전방 수술 후 연부조직 부종의 단기 자연 경과를 조사하여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기도 폐색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으며 특히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한 군과 케이지(Cage) 사용군을 비교하여 어떤 술식이 부종을 덜 일으키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방도달법으로 경추부 추간판 제거술 및 유합술을 시행할 환자 113명을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87명은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하였고 26명은 케이지를 사용하였다. 수술 전, 수술 직후, 수술 후 1일, 2일, 3일, 4일, 5일에 경추부 측면 단순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여 제2경추에서 제6경추까지 각각의 전방 연부조직의 전, 후 직경을 측정하였다. 결과: 경추부 전방 연부조직의 부종은 수술 후 발생하였으며 그 정도는 술 후 2일째 및 술 후 3일째에 가장 심하였다. 술 후 4일째부터 부종이 점차 감소하였다. 경추부 전방 연부조직의 부종은 제2, 3, 4경추의 전방에서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제5 경추 및 제6경추에서의 변화는 경미하였다. 제5경추 상방에서 수술을 시행한 경우가 하방에서 수술을 시행한 경우에 비하여 부종의 정도가 더 심하였다. 1분절에 수술을 시행한 군과 2분절에 수술을 시행한 군간에 경추부 전방 연부조직의 부종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금속판을 사용한 군에서 케이지를 사용한 군에 비하여 부종의 정도가 더 심하였다. 결론: 경추 추간판 제거 및 유합술 후 경추부 전방 연부조직의 부종은 술 후 2, 3일경에 가장 심하였으며,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에 비하여 케이지를 사용한 경우 부종의 정도가 경미하였다. Purpose: We wanted to identify the natural course of prevertebral soft tissue swelling after performing one-level or two-level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ACDF), and we compared the prevertebral soft tissue swelling between the plate and cage groups, and we wanted to help preventing potentially lethal airway complications after ACDF.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thirteen patients who underwent one-level or two-level ACDF with plate and screws or cages were studied. Eighty-seven patients underwent ACDF using plates and twenty-six underwent ACDF using cages. Cervical spine lateral radiography was taken preoperatively, on the immediate postoperative day and on the 1 st, 2nd, 3rd, 4th and 5th days after surgery. The prevertebral soft tissue was measured from C2 to C6 on the cervical spine lateral radiography. Results: Prevertebral soft tissue swelling occurred postoperatively and the peak level was found on the second and third days after surgery. The prevertebral soft tissue swelling was gradually decreased from the fourth day after surgery. Prominent swelling of the prevertebral soft tissue was found at the 2nd, 3rd and 4th cervical spin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prevertebral soft tissue swelling between the one-level and two-level ACDF groups. The cage insertion group showed less swelling than did the plate fixation group. Conclusion: The peak prevertebral soft tissue swelling was found on the second and third days after surgery. The cage insertion group showed less swelling than did the plate fixation group.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추궁판 절제술, 측괴 나사못 고정술 및 후방 유합술을 이용한 경추 척수증의 치료

        석경수(Kyung-Soo Suk),김기택(Ki-Tack Kim),이정희(Jung-Hee Lee),이상훈(Sang-Hun Lee),김진수(Jin-Soo Kim),어재형(Jae-Hyung Uh)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1

        목적: 경추 척수증의 추궁판 절제술 및 측괴 나사못 고정술을 이용한 후방 유합술의 치료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경추 척수증 환자로 추궁판 절제술 및 측괴 나사못 고정술을 이용한 후방 유합술이 계획되었던 2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측괴 나사못 고정술의 적응증, 술 전 MRI상 척수내 고신호 강도 병변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JOA 접수, 수지 굴신 검사, 수지 도피 징후, Hoffman 반사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술 전 T2 강조 시상면 MRI상 척수내 고신호 강도 유무, 술 전 후만변형 유무 및 분절간 불안정성 유무에 따른 임상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측괴 나사못 고정술의 적응증은 후만 변형, 분절간 불안정성, 또는 황색인대 골화증이었다. MRI상 척수내 고신호 강도 병변이 있는 경우는 17예였다. 술 후 및 2년 추시 시 JOA 점수, 수지 굴신 검사 및 수지 도피 정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Hoffman 반사는 술 전 17예에서 양성이였으며, 술 후 및 추시 시에도 변화가 없었다. MRI상 척수내 고신호 강도 병변이 있는 경우와 분절간 불안정성이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임상 결과가 유의하게 불량하였다. 결론: 후만 변형, 분절 불안정성 및 황색인대 골화증을 동반한 경추 척수증의 수술적 치료로서 측괴 나사못을 이용한 경추부 후방 감압술 및 유합술은 후방감압술 후 후만변형을 방지하고 척수를 감압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술식으로 생각되었다. Purpose: This prospective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outcomes of laminectomy and fusion with using lateral mass screw (LMS) fixation for the treatment of cervical myeolpathy. Materials and Methods: We studied a series of 26 consecutive patients with cervical myelopathy and who were planned to undergo laminectomy and fusion with using LMS fixation. MRI was done to investigate the high signal intensity lesion (HSIL) in the cord on the T2 weighted sagittal images. The JOA score, the grip and release test, the finger escape sign, and Hoffman's sign were checked. We analyzed the clinical outcomes depending on the high signal intensity lesion in the cord, the preoperative kyphosis, and the preoperative instability. Results: The indications for lateral mass screw fixation was kyphotic deformity, segmental instability or ossification of the ligament flavum (OLF). Patients with HSIL on the T2-weighted sagittal MRI was found in 17 patients. The JOA score, the grip and release test, and the finger escape sign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operation and at the 2 year follow up. The patients with HSIL on the T2-weighted sagittal MRI or segmental instability had a significantly lower preoperative JOA score and a poor postoperative recovery as assessed by the JOA score. Conclusion: Laminectomy and fusion using lateral mass screw fixation for the surgical treatment of cervical myelopathy, which is associated with kyphotic deformity, instability or OLF, is considered a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option to prevent postoperative kyphosis.

      • KCI등재

        화농성 추간판염으로 오인되었던 요추에 발생한 통풍성 척추관절병증

        석경수(Kyung-Soo Suk),김기택(Ki-Tack Kim),이정희(Jung-Hee Lee),이상훈(Sang-Hun Lee),박성우(Sung-Woo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4

        55세 남자환자로 고열을 동반한 극심한 요통 및 양측 하지 방사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화농성 추간판염이 의심되어 정맥 내 항생제 치료를 시행하였으나 고열 및 혈액 검사상 지속적인 감염의 소견 의심되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그러나 수술 소견상 추간판 조직이 감염된 추간판 조직과는 다른 물질로 구성되어 있어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한 결과 결정성 통풍으로 진단되었다. 고요산혈증 또는 통풍의 과거력이 있는 환자에서 급성 요통과 발열이 있는 경우 척추 감염의 감별 진단으로 통풍성 척추관절병증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A 55-year-old-male patient had acute lower back pain and radiculopathy with high spiking fever, which indicated pyogenic discitis. Intravenous antibiotics were administered but a high spiking fever and elevated laboratory findings indicated an infection. Therefore, surgery was performed. However, histological diagnosis revealed tophaceous gout. A diagnosis of spinal gout should be considered when there are clinical presentations of acute back pain and fever, especially in patients with acute back pain and a prior history of hyperuricemia or gout.

      • KCI등재

        경추부에 발생한 압박-신전 제4단계 손상은 이론적 손상의 단계인가?

        김진수(Jin-Soo Kim),석경수(Kyung-Soo Suk),김기택(Ki-Tack Kim),이정희(Jung-Hee Lee),이상훈(Sang-Hun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3

        압박-신전 제4단계 손상은 척추경, 후관절, 추궁판을 포함한 후궁의 양측성 골절로 인하여 추체가 전방으로 부분 전위되는 손상이다. 그러나 압박-신전 제4단계 손상은 이론적 손상의 단계로 알려져 있으며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저자 등은 2례의 압박-신전 제4단계 손상을 경험하였기에 방사선학적 소견 및 수술적 치료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A compressive-Extension Stage 4 (CES4) injury consists of a bilateral disruption of the articular pillars (pedicle, facet and/or lamina) with the partial forward subluxation of the fractured vertebra on the vertebra below. A CES 4 injury is considered to be the theoretical stage and has never been reported. The authors encountered two cases of a CES 4 injury and report the radiographic findings and surgical treatment of this injur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추체간 PEEK 케이지와 자가 장골 이식을 이용한 단분절 경추 전방 유합술의 결과

        이상훈(Sang-Hun Lee),석경수(Kyung-Soo Suk),김기택(Ki-Tack Kim),이정희(Jung-Hee Lee),서은민(Eun-Min Seo),임양선(Yang-Sun 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1

        목적: 경추 추간판 절제술 및 자가 삼면 피질골을 이용한 전방 유합술은 경추 퇴행성 추간판 질환에서 그 유용성이 입증된 수술방법이나 골이식 공여부의 이환이 임상결과를 좋지 않게 만드는 요인이었던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자가 장골에서 소량의 해면골만을 얻어 골유합을 이루는 추체간 케이지가 사용되어 왔으나 그 임상적 결과에 대한 보고는 드물다. 저자들은 polyetheretherketone (PEEK) 케이지를 사용한 단분절 경추 전방유합술의 방사선 및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PEEK재질인 Solis<SUP>®</SUP>케이지(Stryker spine, South Allendale, NJ, USA)와 자가장골에서 채취한 해면골을 이용한 전방 유합술을 시행 받은 환자 38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방사선학적으로 수술 분절의 추간판 간격의 변화, 케이지의 종판내 함몰(subsidence), 골유합의 여부, 경추부 시상정렬 변화를 측정하였고, 경부통, 상지 통증 및 골이식 공여부의 동통 및 Odom의 기준을 이용해 임상결과 및 합병증을 분석하였다. 결과: 추간판 간격은 평균 1.1 ㎜의 간격소실을 보였으며, 2 ㎜이상의 케이지 종판내 함몰은 17예(44.7%)에서 나타났고 이들의 평균 종판내 함몰은 3.09 ㎜였다. 술후 12주에 95%의 골유합율을 보였으며, 수술 전후로 경추부 시상정렬의 의미 있는 변화는 없었다. 경부통과 상지의 통증은 전 예에서 호전을 보였으며 골이식 공여부의 통증은 최종 추시 시 9예에서만 경미한 불편감을 호소하였다. 결론: 추체간 PEEK 케이지와 자가골 이식을 이용한 단분절 경추 전방 유합술은 골이식 공여부의 합병증을 최소화할 수 있었으며, 우수한 골유합 및 임상증상의 호전을 나타내었다. 단 수술 후 나타나는 케이지의 종판 내 함몰에 대하여는 관련 요인에 대한 분석을 통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Anterior cervical fusion with a tricortical iliac bone graft is a well established procedure for treating degenerative cervical spine disease. An interbody cage has been used to prevent donor site morbidity but there are few reports on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eight patients, who underwent single level ACDF with PEEK interbody Solis<SUP>®</SUP>cage (Stryker spine, South Allendale, NJ, USA),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is study evaluated Odom's criteria and visual analogue scale (VAS) for the neck, arm and donor site pain, and the radiological findings, including the disk height, cage subsidence, and sagittal alignment of cervical spine. Results: The mean disk height loss was 1.1 ㎜ during the follow up period. Case subsidence >2 ㎜ developed in 17 cases (44.7%). The mean subsidence of this group was 3.09 ㎜. The bone union rate was 95% at 12 week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sagittal alignment of the cervical spine. The VAS for neck, arm, and donor site pain improved all cases. Only 9 patients complained of mild discomfort at the donor site Conclusion: Single-level ACDF using PEEK interbody cage has a lack of donor site morbidity, excellent clinical outcomes and bone union. However, more study of the factors related to postoperative cage subsidence will b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