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간경변증 환자에서 식도정맥류의 예측인자

        서희선,이혜리,심재용 대한가정의학회 2002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3 No.10

        Prediction of Esophageal Varices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Hee Sun Suh, M.D., Jae Yong Sim, M.D. and Hye Ree Lee, M.D. 연구배경: 간경변증 환자는 진단 시 정맥류의 존재 여부를 알기 위해 상부위장관 내시경을 반드시 시행하고 정기적인 내시경 검사를 받는다. 본 연구는 간경변증 환자에게 식도 정맥류와 여러 임상 소견과의 비교관찰을 통해서 비내시경적인 요소가 식도 정맥류와, 출혈의 위험이 큰 고도 식도 정맥류의 예측 인자로 신뢰할 만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방법: 1998년9월부터 2000년 1월까지 영동 및 신촌 세브란스 병원에서 간경변증으로 진단 받은 환자들 중에 상부위장관 출혈이 없었으며 악성질환이 없는 환자 257명을 대상으로 상부위장관 내시경을 시행하여 식도정맥류 유무에 따라 식도 정맥류군, 비식도 정맥류군, 고도 식도 정맥류 유무에 따라 고도 식도 정맥류군, 비고도 식도 정맥류군으로 나누어 의무기록을 통하여 각각의 임상소견을 비교분석 했으며, 고도 식도 정맥류 예측인자를 통계분석을 통해 추정하였다.결과: 1) 식도 정맥류의 예측인자는 복수가 있는 경우(P=0.0208), 혈소판 수치가 낮은 경우(P=0.0001)였고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독립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2) 고도 식도 정맥류와는 낮은 혈소판 수치만이 유의한 독립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07). 3) ROC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에서, 고도 식도 정맥류 예측을 위한 혈수판 수치의 cut-off value는 73,766/μl이었고, 고도 식도 정맥류 예측모델의 민감도는 75%, 특이도는 65.7%, 음성예측도는 96.2%, 양성예측도는 18.6%였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Association of Arterial Stiffness and Osteoporosis in Healthy Men Undergoing Screening Medical Examination

        서희선,김남이,장하민,김슬기,고기동,황인철 대한골대사학회 2014 대한골대사학회지 Vol.21 No.2

        Background: Association of arterial stiffness and osteoporosis has been previously re-ported in women. However, this association is still controversial for men. Therefore, weinvestigated correlation of arterial stiffness and osteoporosis by measuring brachial-an-kle (ba) pulse wave velocity (PWV)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Methods: We re-viewed medical charts of 239 people (women: 128, men: 111) who visited the HealthPromotion Center, retrospectively. ba-PWV was measured by automatic wave analyzer. Lumbar spine (L1-L4) BMD and femur BMD were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Metabolic syndrome was based on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Program (NCEP)-Adult Treatment Panel (ATPIII) definition. Body mass index (BMI)>25kg/m2 was used instead of waist circumference. Results: I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PWV and femur BMD (Neck, total) had a significant inverse relationship in men (r=-0.254, P=0.007; r=-0.202, P=0.034). In women, PWV and the L-spine, femur (Neck, to-tal) had a significant inverse relationship. (r=-0.321, P<0.001; r=-0.189, P=0.032; r=-0.177, P=0.046) Age and PWV showed the greatest association in both men and wom-en (r=0.46 P<0.001; r=0.525, P<0.001)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L-spine BMDand PWV had an independent relationship in women after adjusting for age, metabolicsyndrome, BMI, smoking, drinking and exercise. (r=-0.229, P=0.015). No independent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PWV and BMD in men. Conclusions: The association be-tween arterial stiffness and BMD was confirmed in women. However, this association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men.

      • KCI등재후보

        장애이해 교육과 통합교육 경험이 초등학교 학생의 장애인식 및 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서희선,권현수 국립특수교육원 2009 특수교육연구 Vol.16 No.1

        장애이해 교육과 통합교육 경험이 초등학생의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과 수용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력과 장기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경기도 지역의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0주간의 장애이해 교육을 실시한 학급과 특별한 지원 없이 통합 환경에서 장애아동과 수업 받는 학급으로 나누어 비장애아동의 인식과 수용태도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은 장애이해 교육과 통합교육 경험에 의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나 장애아동에 대한 수용태도는 통합교육 경험 후 부정적으로 바뀌는 모습을 발견하였다. 장기적 효과 측면에서는 장애이해 교육과 통합교육 경험 모두 그 효과가 지속되지 못하였고 특히 통합교육을 경험한 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수용태도는 오히려 시간이 지날수록 부정적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장애이해 교육과 통합교육 경험의 효과 비교를 통해 장애이해 교육이 인식과 수용태도 변화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과 수용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실천하기위해서는 단기간의 교육이나 일방적인 통합 학급에의 장애아동 배치보다는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장애이해 교육 제공 등 지원 대책을 마련해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 the effects of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and inclusion on children's attitude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that purpos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one general education classroom took an awareness education program for 10 weeks and the other general education classroom students were educated with a student with mental retardation in inclusive environment.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was more effective than the inclusion experience. The students who took the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an the inclusion experience and the differences continued after 6 months later. Based on theses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ed some ideas about how to improve students' attitude toward disabilities and develop the better inclusive environment.

      • KCI등재

        폐경후 및 폐경 주변기 여성에서 골밀도와 호모시스테인간의 연관성

        서희선 ( Heuy Sun Suh ),양근석 ( Kyn Suk Yang ),김경곤 ( Kyung Kun Kim ),이규래 ( Gyu Rae Lee ) 대한폐경학회 2009 대한폐경학회지 Vol.15 No.2

        연구목적: 최근 골대사와 혈청 호모시스테인 농도와의 관계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나, 골밀도 (BMD)와 혈청 호모시스테인 농도간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경후 및 폐경 주변기 여성을 대상으로 골밀도와 혈청 호모시스테인 농도간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2006년 8월부터 2007년 1월까지 가천의과학대학교 길병원 가정의학과 외래 방문한 폐경후 및 폐경 주변기 여성 10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은 혈액검사, 요추 및 대퇴경부의 골밀도, 흡연, 음주, 카페인, 우유섭취를 조사하였다. 대상자들은 골밀도에 따라 세 군 (골다공증, 골감소증, 정상)으로 나누어 분산분석이나 Fisher`s exact test를 통하여 세 군 간에 차이를 분석하였다. 혈청 호모시스테인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다중회귀분석결과 호모시스테인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보정하였을 때 골밀도와 혈청 호모시스테인 농도의 연관성은 상관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골밀도에서 세 군 (골다공증, 골감소증, 정상)간에 연령, 우유섭취 측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P<0.05), 혈청 호모시스테인은 세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혈청 호모시스테인은 혈당, 혈청 크레아틴,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대퇴경부 골밀도와 각각 독립적으로 유의한 연관성 (P<0.05)을 보였다. 혈당, 혈청 크레아틴,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을 보정한 후 대퇴경부 골밀도와 혈청 호모시스테인 사이에 상관관계가 성립하였으나 (β=-0.25, P=0.01), 요추 골밀도와 혈청 호모시스테인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β=0.027, P=0.786). 결론: 폐경후 및 폐경 주변기 여성에서 혈청 호모시스테인의 증가는 대퇴경부 골밀도 감소와 상관관계를 보인다. 따라서 폐경후 및 폐경 주변기 여성에서 증가된 혈청 호모시스테인은 골다공증의 위험요소 중의 하나로 볼 수 있다. Objectives: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um homocysteine concentra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however, few such studies have been published. Henc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um homocysteine concentration and BMD in peri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One hundred nine peri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who attended th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t a university hospital between August 2006 and January 2007 were recruited. The blood was sampled, the lumbar and femur neck BMD were measured, smoking habits were established, and the alcohol, caffeine, and milk consumption of the participants were determined.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BMD (osteoporosis, osteopenia, and normal),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groups were analyzed with ANOVA or Fisher`s exact 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serum homocysteine.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um homocysteine concentration and BMD adjusted by factors affecting homocysteine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Results: With respect to BMD, the three groups exhibited some differences (P<0.05) in terms of age and milk consumption, but the serum homocysteine level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hree groups. The serum homocysteine level was individually associated (P<0.05) with serum glucose, serum creatinine, HDL-cholesterol, and femur neck BMD. Although a correlation was established (β=-0.25, P=0.01) between the femur neck BMD and homocysteine concentration when adjusted for serum glucose, serum creatinine, and HDL- cholesterol, there was no such relationship present (β=0.027, P=0.786) between the lumber BMD and the homocysteine concentration. Conclusion: An increased serum homocysteine concentration in peri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is associated with the reduction in the femur neck BMD. Hence, the increase in the serum homocysteine level can be considered to be one of the risk factors for osteoporosis.

      • 식단 중재를 포함한 다이어트 프로그램이 직장인의 체중조절에 미치는 효과연구

        서희선;박용순 한양대학교 2009 韓國 生活 科學 硏究 Vol.28 No.2

        Obesity is a growing problem in Korea, partly by unhealthy eating hab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od service operated in workplace on weight control. Fifty seven workers were participated in this 16 week diet program; one group received the food service at workplace (n=30) and the other were dinning out (n=27). There were significantly more male than female subjects in both group and their average age was 34.4±4.7 years old. They were provided nutrition education and body composition was measured regularly. Workers with food service at workplace lost significantly more body weight and fat, and BMI. Female subjects were more successful in weight control than males. Workers with food service at workplace consumed significantly less calorie and carbohydrates, but more dietary fib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activities and frequencies of meal and drinking. In conclusion, nutrient management, education, and consultation of food service at workplace was helpful for weight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