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방과후 돌봄 체제 비교 - 출발배경, 운영형태, 참여규모에서 -

        서혜전 ( Suh Hyejeo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8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방과후 돌봄 체제를 출발 배경, 운영 형태, 참여 규모면에서 미국의 방과후 돌봄 체제와 비교하고 한국의 방과후 돌봄 체제 운영 방향에의 함의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양국의 방과후 돌봄 관련 선행 연구와 정책 자료를 토대로 비교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비교분석은 베레데이(G. Bereday)의 방법론에 따라 한국과 미국의 방과후 돌봄 체제에 대해 국가별로 기술과 해석을 한 후, 주제영역에 따라 비교연구 차원에서 상호 병치하여 비교하는 2단계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한국과 미국의 방과후 돌봄 체제가 시작된 시점은 차이가 있으나 도시 방과후 저소득층 자녀와 거리 배회 아동의 보호 차원에서 시작되었다는 점,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대와 빈곤에 대한 국가적 대처라는 비슷한 시대적 상황이 방과후 돌봄의 제도화와 확대에 영향을 주었다는 점, 방과후 돌봄이 학교 밖 장소에서 지역사회 기반 민간 주도로 시작되었다가 학교 내 공간을 활용한 방과후 학교로 확대된 것은 유사하다. 그러나,각 국의 사회적 상황 등의 변화에 따라 방과후 돌봄 체제의 목표와 운영 방향등이 달라졌다. 또한 두 나라 모두 학교기반의 방과후 돌봄 체제가 활성화되어 있으나 그 운영에 있어 미국은 학교기반 방과후 돌봄이 학교라는 장소에서 이루어지기는 하나 지역사회 단체가 방과후 프로그램 운영을 주도하고 맡고 있는 형태가 많으며, 한국은 대부분의 학교에서 학교 자체적으로 방과후 돌봄을 운영하고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그리고 양국의 방과후 돌봄 체제의 참여 규모는 차이가 있으나 두나라 모두 공적 방과후 돌봄 체제가 마련되어 있음에도 여전히 방과후 방치되는 아동이 많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국의 방과후 돌봄 체제 운영 방향에 대한 함의점을 제시하였고, 지역사회 주도의 학교내 방과후 학교를 운영하고 있는 미국의 경우 안전 관리, 역할 분담, 예산 관리 등에서 학교와 지역사회 단체간에 어떻게 협업하고 있는지 등을 조사한 연구가 추후 진행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resent situation of afterschool care system between Korea and United States in terms of starting background, operation type, participation size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Korea’s afterschool care policy. This study was compar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policy data of afterschool care system of both countries.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is study is based on G. Bereday’s methodology. After Korea’s and USA’s afterschool care systems were analyzed by country, they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in terms of subject areas. As a result of this study, although the starting time of the after-school care system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as differ, it started from the dimension of protection of low-income children and street children. A similar situation in which women’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and national response to poverty affected the institutionalization and expansion of afterschool care system of two countries. Also it was similar in both countries that afterschool care system started out as a community - based private initiative outside the school and then expanded into afterschool care using the space within the school. However, changes in the social situation of each country have changed the goals and direction of the afterschool care system. And in the United States, school-based afterschool care is conducted at school, but there are many forms in which community organizations lead and manage afterschool programs. On the other hand, most schools in Korea have their own afterschool care.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ize of participation of after-school care system in both countries, but although both countries have a public after-school care system, there were still many children left after schoo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suggested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afterschool care of village community type in Korea and suggessted further study.

      • KCI등재

        현실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이미애 ( Lee Miae ),서혜전 ( Suh Hyejeo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7 열린부모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현실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D지역에 소재한 저소득층 아동 36명을 대상으로 이희은(2012)이 사용한 자기결정성 척도를 사용하여 현실치료를 실시하기 전과 종료 후로 나누어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SPSS WIN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사전·사후 검증을 위해 비모수적 통계인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고, Wilcoxon Signed Ranks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현실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결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이 모두 증가하였다. 또한 현실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결정성에 대한 회기별 변화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저소득층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한 현실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결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을 효과성 및 교육현장에서의 적용가능성을 입증하였으며, 나아가 일반아동으로의 발전가능성을 시사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 대한 제한점은 연구대상자의 인원을 늘려 세분화하여 연구할 필요성이 있으며, 질적·양적 변화에 대한 연구물의 증가로 보다 다양한 연구를 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the reality therapy on the Self-Determinination of low-income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re consisted of 36 children tending to participate in the reality therapy for low-income children in D rigion. The test tool was based to use the scale produced by Lee Hee-Eun(2012) in a way of measuring the conviction on self-determinination was used also the experiment group was implemented with the pre and post. The research result was analyzed by using SPSS WIN 18.0, and in order to make pre and post verification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the non-parametric statistics of the Mann-Whitney U Test was implemented and it was analyzed with the Wilcoxon Signed Ranks Test.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it was shown to have the influence of the reality the therapy on the self-Determinination of the low-income children, and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ionship increased. Also,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ality therapy of low-income children positively affected the self-determination of low-income children. Therefore, this program proved its applicability in the field of effectiveness and education, and it is meaningful that it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as a general chil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there is a need to study and increase the number of the subjects and further research on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hanges will be needed.

      • KCI등재

        현실요법 집단미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내·외부통제성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이미애 ( Lee Miae ),서혜전 ( Suh Hyejeo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7 열린부모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현실요법 집단미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내·외부통제성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 대상은 D지역에 소재한 지역아동센터 아동 40명이었으며, 20명은 실험집단, 20명은 통제집단으로 구성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 2가지 척도가 사용되었다. 내·외부 통제성은 박재황, 김순업(2004)가 제작한 척도가 행복감은 이정화(2005)가 개발한 척도가 사용되었으며, 현실요법 집단미술치료 실시 전과 후로 나누어 검사를 실시하였다. KHTP 그림 검사는 실험집단에만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SPSS/win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사전·사후 검증을 하기 위해 비모수적 통계인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고, Wilcoxon Signed Ranks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요법 집단 미술치료는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내·외부 통제성 및 행복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는 내·외부통제성 및 행복감이 KHTP 그림 변화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실요법 집단미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내·외부 통제성 및 행복감에 대한 프로그램 단계별 변화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내부통제성 향상과 외부통제성의 감소 및 행복감 향상을 위한 현실요법 집단미술 치료의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이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the reality therapeutic group art therapy on internal-external control, and happiness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ren center.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as 40 children in community children centers -20 children in experiment group and 20 children in contro group-. The 2 test tools were used in this study. They was the scale produced by Park Jae-Hwang and Kim Soon-Up(2004) for measuring internal-external control of children and the scale developed by Lee Jung-Hwa(2005) in order to measure the happiness sense. Also the experiment group was implemented with the pre-post KHTP picture test. The research result was analyzed by using SPSS/win 18.0. Also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pre-post in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the non-parametric statistics of the Mann-Whitney U Test was implemented and it was analyzed with the Wilcoxon Signed Ranks Test.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o have the influence of the reality therapeutic group art therapy on the internal-external control and on happiness of the children in the community children center. Second, there were KHTP picture changes related to internal-external control and happiness sense between pre-post, also there were changes related to internal-external control and happiness sense of experiment group children in each term of reality therapeutic group art therapy.

      •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과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정명희(Myunghee Jeong),서혜전(HyeJeon Suh) 한국아동중심실천학회 2023 아동중심실천연구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과의 관계에서 교사 개인 심리적 변인인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지역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50명이었으며, 본 조사에 앞서 설문지의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관련 전문가 2인의 검토, 보육교사 15명을 대상으로 문장의 이해도 및 적절성에 대한 예비조사를 거쳐 최종적인 설문지가 완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긍정심리자본,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 간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은 직무스트레스와는 부적 관계를, 긍정심리자본과는 정적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과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의 증진을 도모하는 프로그램을 비롯한 다양한 보육교사 심리 지원체계가 마련되어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이는 보육교사들이 직무스트레스를 갖고 있다 하더라도 긍정심리자본의 매개역할로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을 더 잘 실행하도록 돕기 때문이다. 이처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과의 관계에 있어 개인변인인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 teacher's psychological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childcare practices that respect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50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Daegu City and Gyeongsangbuk-do. Prior to the main survey, the questionnaire was reviewed by two relevant experts to evaluate its appropriateness, and the final questionnaire was completed after a preliminary survey of 15 child care teachers on the understandability and appropriateness of the phr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n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hildcare practices respecting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it was found that childcare practices that respect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job stress an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condl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found to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childcare practices that respect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a variety of psychological support systems for child care teachers, including programs that promote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child care teachers, need to be established and provided. This is because even if childcare teachers have job stress, the mediating rol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elps them to better implement childcare that respects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