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년여성과 남성의 내ㆍ외 통제성 비교연구

        서혜경(Hye Kyung Suh) 한국노년학회 1990 한국노년학 Vol.10 No.1

        The research is a comparativ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ected personal demographic variables and locus of control among male and female older adults. We are more aware of the demographic and the aging process than we have been in any other period in history. In considering the expansion of elderly populations and the average duration of life, the older generation is increasingly confronted with a variety of threats to their mental, social, emotional, and spiritual well-being. The above threats would seem to lead to a potential loss of perceived control which, in turn, would be related to mental health. In the study, 152 male elderly and 145 female elderly residing in Seoul, Korea was compared on the 3 dimensions of locus of control and assigned personal variabl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1)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on the independent variables ; (2)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each dimension of locus of control ; (3) to determine the proportion of variance in the respective of locus of control which is accounted for by the respective independent variables ; (4) to examine whether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spective independent variables and locus of control has ; (5) to determine the combination of variables which is the most successful in explaining the variance in the locus of control. Findings from this study support the following conclusions : 1. There wer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each dimension of locus of control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2. The male subjects showed a low scores of personal control. It means male older adults expressed internally control their lives comparing to female older adults in the perspective of personal control. 3. The female elderly exhibited a higher level of system control than the male elderly. 4. In the level of control ideology, female subject exhibited a higher scores than male subjects. It suggested that female were less aware of choics and less wiling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ir decisions. Most female subjects thought that they couldn't control most people in society posses. 5. For the male subjects, the three dimensions, 'system control', 'personal control', and 'control ideology' were best predicted by 'marriage life', 'Personal control' an 'control ideology' for the famel subjects were best predicted by 'marriage life', while 'system control' was best predicetd by 'self-assessed health'. The Korean male subjects felt more in control of their lives than did the female Korean subjects. Most female elderly in Korea derived their identity form men. Likewise, for the female Korean elderly, past negative reinforcement experiences tend to result in a consistent belief system that leads to an external locus of control. In trying to gain an undertanding of psychological impact of adjustment to aging people, especially, for female older adults, it may be very important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ocus of control and the psychosocial variables. As Porter(1978)found, married men were more internally controlled than married wome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cus of control and attitudes toward the women's liberation movements.Applying this results to the future research, more detailed examination need in order to investigate how much marriage-related variables influence, either positively or negatively, not only societal functioning but also the level of locus of control an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either single women and single men : or between single women and married men.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ill-being in later life, especially, for the female older adults, those results should be the focus of concerns for the political decision makers, the familities, social care givers and professional facilities attempting to meet the needs of older adults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SCOPUSSCIEKCI등재
      • KCI등재

        노인들의 컴퓨터에 대한 태도 및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혜경(Hye-Kyung Suh),김은주(Eun-Ju Kim) 한국노년학회 2004 한국노년학 Vol.24 No.2

        현재 한국사회의 노인세대들은 빠르게 돌아가고 있는 사회변화에서 한 걸음 물러나 있는 실정이다. 핵가족화로의 변화가 가속화되면서 가족과 별거해서 지내는 노인의 비율도 높아지고 있다. 또 사회로부터 분리되어 있어 그렇지 않아도 정보에 어두운 노인들에게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정보화사회의 등장에 따른 정보화 격차는 훨씬 더 빠른 속도로 벌어지고 있다. 사회구성원들 사이의 정보화격차를 해소하고 새로운 사회변화에 노인층이 보다 잘 적응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그 어느 때 보다도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정보화교육의 중요성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목적의식 아래 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의 컴퓨터태도 차이를 분석하고, 컴퓨터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조화된 질문지에 기초한 설문조사가 2003년 10월 한 달 동안 서울시내 10곳의 노인종합복지관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수거된 590개의 설문지 중 엄격한 검토를 거쳐 539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응답자들의 컴퓨터태도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4점 척도, 평균 2.8). 하위항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컴퓨터유용성에서 가장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고, 자신감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덜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컴퓨터교육을 받고 있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내었으며, 남녀 성별차이에 따른 태도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컴퓨터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사회경제적 변인으로서는 연령과 미혼자녀와의 동거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컴퓨터환경변인으로는 컴퓨터 소유여부보다는 컴퓨터 이용여부가 컴퓨터태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컴퓨터관련정보에의 노출 정도 또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컴퓨터 교육변인으로는 현재 수강하고 있는 컴퓨터교육수준보다는 이전 컴퓨터 교육 수강 경험이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인들의 고립을 예방하고, 노인세대간 또는 다른 세대들과의 연결망을 유지하기 위한 정보화격차 해소, 노인컴퓨터 교육의 대중화 및 컴퓨터 교육의 질적인 향상, 정보화사회에서의 친(親)노인적 환경구축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ttitudes of the elderly toward computer and to find out the influencing factors that affect the attitude of the elderly toward computer. In order to do this, the survey based on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October, 2003. 59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539 out of them has been used for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attitude toward computer among the respondents is positive(Mean=2.8 out of 4.0). Among sub categories of Computer Attitude Scale, particularly usefulness is the most positive attitude(3.0 out of 4.0), the least one is confidence(2.7 out of 4.0). 2)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of elderly, one group with computer education and the other group with no computer education. The attitude of the group with computer education is more positive than that of the other group. There is no gender difference. 3)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attitudes toward computer are age, living with unmarried adult children among socioeconomic variances, use of computer and exposure to computer related information out of computer environmental variances, and the previous experiences of having computer training out of computer educational variances. These variables are statistically meaningful.

      • KCI등재

        기업 사회공헌에 대한 노인의 인식과 욕구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여진(Yo Jin Kim),서혜경(Hye Kyung Suh),이보람(Bo Ram Lee) 한국노인복지학회 2011 노인복지연구 Vol.0 No.52

        본 연구는 기업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노인의 인식 및 기업 사회공헌에 대한 욕구에 관한 연구로 춘천시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2백67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인지도는 높았고, 사회공헌활동을 하는 기업에 대한 이미지나 신뢰도, 이들 기업 상품의 구매 의향 등에서는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관심이 많을수록 사회공헌활동 참여 기업에 대한 신뢰도가 높고, 기업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린 결과가 있었다. 그러나 정작 사회공헌활동 관련 경험이 있는 응답자의 이들 기업에 대한 신뢰도는 더 낮았다. 분석 결과의 대한 함의는, 한국사회에서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노인집단은 중요한 이해관계자이므로 기업은 저들에게 사회공헌활동을 적극적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지만, 다른 한 편으로 저들이 이미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을 비교적 정확하게 알고 있고 그에 대한 긍정적 생각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적절한 접근을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노인 대상의 공헌활동도 확충하되, 노인이라는 집단차원의 욕구보다는 구성원들 각자의 개별적 욕구에 대한 충분한 조사를 바탕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궁극적으로 하나의 공동체로서 기업과 노인의 상호작용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조사연구를 더 적극적으로 수행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the older adults on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nd their social welfare needs. Responses from 267 adults 65 and older residing in Chuncheon city are gathered. Results indicated that respondents are well aware of the CSR with positive view on corporate carrying out social responsibility by having positive image, high level of trust, and intention to buy their products. However, those who are actually involved in CSR activities showed less trust. The older adults expressed various needs depending on their socio-economic backgrounds. It is recommended that the corporate should actively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of their activities to the older adults who are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it this ageing society, but with caution and appropriately. And the corporat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needs of the older adults focusing on their various and specific needs. As a member of a community with whom closely interacting, it is important for the corporate to recognize the important role the older adults play in this community and for the researcher to conduct more research studies on this issues of CSR and the older adults.

      • KCI등재

        정상 노화와 치아소실 유무에 따른 삼킴문제 및 삶의 질

        박제준(Park, Je Jun),서혜경(Suh, Hye Kyung),윤지혜(Yoon, Ji Hye) 한국노년학회 2014 한국노년학 Vol.34 No.3

        삼킴은 인간의 생명유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뿐만 아니라 기본적 욕구 중 하나인 식욕을 해결하므로 개인의 삶의 질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인간은 나이가 듦에 따라 신체적 감퇴를 보일 수 있고, 이러한 신체적 변화들은 삼킴 관련 기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02명의 정상 성인 및 노인(65세 미만의 성인 40명, 65세 이상의 노인 6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정상 노화과정에서 관찰되는 삼킴기능의 변화와 삼킴 관련 삶의 질(SWAL-QOL) 및 건강 관련 삶의 질(SF-36)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치아소실 여부가 삼킴문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및 측정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삼킴장애 위험군으로 분류되는 인원은 65세 이상에서 더 많았다. 둘째, 65세 미만 집단과 비교하여 65세 이상 집단은 삼킴 관련 삶의 질과 전반 건강 관련 삶의 질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65세 이상 집단에서는 치아소실이 있는 대상자가 치아소실이 없는 대상자에서보다 삼킴문제가 더 빈번하고 삶의 질은 낮았다. 본 연구 결과는 노화의 영향으로 인한 노년층의 삼킴능력 감퇴와 삶의 질의 저하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Deterioration of swallowing ability caused by aging process may negatively affect the quality of lif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of experience of swallowing problems and the relationship among swallowing problems, quality of life, and other related factors in normal elderly.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02 normal adults,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separate age categories (40 persons aged 64 and younger and 62 persons aged 65 and old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older group experienced more swallowing problems than the younger group. 2) the older group showed lower quality of life. 3) the participants with missing teeth showed higher dysphagia risk and lower quality of life compared to the participants with retained teeth. These results provide the information for the decline of swallowing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caused by normal aging.

      • KCI등재

        요양보호사의 성희롱피해경험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박경란(Park Koung Ran),서혜경(Suh Hye Kyung),고윤순(Koh Yun Soon) 韓國老年學會 2015 한국노년학 Vol.35 No.1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성희롱피해실태를 알아보고 성희롱피해경험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였다. 연구는 2013년 10월-11월 동안 강원도 Y군내 노인장기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2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회수된 240부 설문지 중 부실응답 8부를 제외하고 232부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 중 38.0%가 근무 중 성희롱을 경험했고, 피해 횟수는 1회~2회가 54.8%로 가장 높았고, 9회 이상도 13.1%로 나타났다. 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성희롱피해가 56.1%로 재가시설의 24.4%보다 2배 이상 높았다. 둘째, 성희롱가해자는 남성이 91%, 기혼, 치매환자, 3등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희롱 피해경험의 문항평균(5점만점)은, 신체적성희롱 2.18, 언어적성희롱 2.05, 시각적성희롱이 1.93으로 신체적성희롱 점수가 가장 높았다. 넷째, 직무스트레스의 문항평균(5점만점)은 개인역할 일상업무가 2.62, 동료관계가 2.36, 시설 및 상사관계가 2.05, 클라이언트관계가 2.69로 클라이언트관계가 가장 높았다. 다섯째, 인구사회학적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시각적성희롱(β=.446), 신체적성희롱 (β=.399), 언어적성희롱(β=.373)과 성희롱전체는 (β=.473) 모두 직무스트레스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희롱예방과 대처를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xual harassment(SH) on job stress among care-givers for the elderly in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The subjects were 240 care-givers from Y county, Gangwon-do and the 232 responses from the survey conducted during October-November in 2013 were used for data analyse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by the use of SPSS win 18.0 version.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38.0% care-givers experienced sexual harassment, 54.8% with 1-2 times, but 13.1% with more than 5 times. 56.1% of care-givers from nursing care facilities experienced SH which was more than two times than 24.4% from visiting care facilities. Second, for perpetrators, 91.1% were men and groups with the highest frequency were the married, the elderly over 80 years old, with dementia, 3rd degree under dis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for long-term care. Third, mean scores in the SH sub-scales were 2.18 for physical SH, 2.05 for verbal SH, and 1.93 for visual SH. Fourth, mean scores in the Job Stress sub-scales were 2.62 for personal duty, 2.36 for peer relations, 2.05 for supervisor relations, and 2.69 for relations with client. Fifth, physical SH(β=.399), verbal SH(β=.373), and visual SH(β=.446)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for job stress in regression models, controlling socio-demographic variables. Total SH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 for job stress, controlling control variables. Visual SH was the most powerful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 for job stress than physical SH and verbal SH when put together into the regression model. Based upon the study results, the several practice and policy recommendations for prevention of and intervention for sexual harassment among care-givers were suggested.

      • KCI등재

        대도시 노인의 사회적 지지 선호도에 관한 한일비교연구

        권현주(Hyun Ju Kweon),서혜경(Hye Kyung Suh),Shinichi Okada(岡田進一),Masakazu Shirasawa(白澤政和) 한국노년학회 2002 한국노년학 Vol.22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대도시 노인의 사회적지지에 대한 선호도 선호도의 구조, 선호도와 사회인구학적요인과의 관련을 비교ㆍ고찰하였다. 한일 양국의 대도시 노인을 대상으로 그들의 학력차 등을 고려하여, 한국에서는 방문면접조사를, 일본에서는 우편조사를 실시하였다. 유효회수율은 한국이 94.4%(472명), 일본이 57.6%(1,129명)였다. 인자분석, t-test 및 one-way ANOVA를 실시한 결과, 한국노인은 일본노인에 비해 전반적으로 가족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한편, 한국노인은 가족에 대해 수단적지지를 요청하고자 하는 선호도가 높은 반면, 일본노인은 정서적지지에 대한 선호도가 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한국노인은 정서적지지에 있어서는 이웃, 친구를 중요한 지지원으로서 인식하고 있으나, 일본노인은 이웃, 친구에 대한 선호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자분석 결과, 사회자원론에서 비공식적인 지지원으로 분류되는 자원봉사자가 공식적인 지지원과 동일한 인자에 소속되어 주목되었다. 사회인구학적 요인과의 관련을 보면, 양국 모두 가족에 대한 선호도가 강한 노인은 자녀와 동거하고 있는 노인, 비교적 생활정도가 양호한 노인인 데 반해, 독거노인은 공식적 지지원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한편, 한국의 경우 60대 초기노인은 모든 지지원에 대해 높은 선호도를 보여 주목되었다. 한일 양국은 노인복지제도 및 문화적 유사성이 큰 국가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 양국 노인들의 사회적지지에 대한 인식에는 유사성과 동시에 많은 상이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일본의 앞선 노인지원시스템을 참고할 필요는 있으나, 한국노인의 인식 및 선호에 기초한, 한국 실정에 맞는 노인지원시스템을 모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e of preferences of the older adults in urban area of Korea and Japan concerning social support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references and demographic factors. The research design was cross-sectional survey with face interview in Korea and mailed questionnaire in Japan. The response rate was approximately 94%(472) in Korea and 58%(1,129) in Japan. Factor analysis with Varimax rotation was performed in order to clarify the structure of preferences. In addition,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references a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Korean older adults have more preferences for their family than Japanese. In respect of instrumental support, Japanese older adult high preferences for support from their families as much as they had for formal support, in which they showed that they recognized the both as a supplementary source of their support. Another result by the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supports by volunteers were perceived as formal supports by the elderly. The result differs from the literature in a social work field. The other results showed that in the both countries, old individuals with no family living arrangement were more likely to prefer to formal supports and that those with family living arrangements or with higher income classes were mere likely to prefer to supports from their families. In Korea, the young-old individuals showed high degree of preferences for all sources of support. That was because, in case of those in their sixty, service has not been prepared in spite of weakening of the family function seems to have an effect on their cognition. In conclusion, Korea government should be find the clear policy directions for the support systems for the elderly with respect of the unique preferences patterns of the elderly concerning social suppo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