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의 CCRC 관련 정책에 관한 연구 - 생애활약마찌 구상을 중심으로 -

        서진형 한국부동산경영학회 2019 부동산경영 Vol.19 No.-

        최근 일본은 일본판 CCRC 구상으로 지칭되는「생애활약 마찌」구상을 통해 고비용 구조인 토쿄권 등 대도시의 고령인구를 지방으로 이주시켜 저비용 구조인 지방중소도시 의 기존 자원을 활용하는 등의 보다 적극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일본의 CCRC 정책의 구조 및 추진 방법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 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판 CCRC라 불리는「생애활약 마찌」구상은 토쿄를 시작으로 한 지역의 고 령자가 희망하는 지방이나 시가지로 이주하여, 지역주민, 다세대와의 적극적인 교류를 통 해 건강하고 활동적인 생애를 보내고, 필요한 의료·개보를 원활하게 받을 수 있는 지역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둘째, 「생애활약 마찌」구상은 이주 고령자가 건강한 단계에서 입주하여, 일방적으로 서비스를 받는 주체가 아닌 지역의 사회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주체적 존재로서 위 치를 부여하고, 고령자만 거주하지 않고 지역사회와 구성원의 자녀, 젊은층 등 다세대와 교류하는 오픈형 거주가 기본 모델이라는 점이 기존 고령자시설과의 차이점이 있다. 셋째, 이러한 새로운 고령자 거주대책의 기본 구조는 「입주자」, 「지역·거주환경」, 「서비스제공」, 「사업운영」의 4가지 요인을 중심으로 수행된다. 넷째, 이러한 정책적 성공을 위하여 국가, 지자체, 사업주체 등 사업추진 주체별로 각각 역할을 분담하여 수행하고 있다. Recently, Japan is now executing more aggressive policy measures such as utilizing the existing local small/medium urban resources based on low-cost structure through the 「Lifetime Activity Town」(often referred to Japanese-version CCRC plan), which promotes the migration of Metropolitan elderly people to rural places. This study has scrutinized the structure and process plans of such CCRC policy measures and the result is as following. First, 「Lifetime Activity Town」plan include the migration plan of elderly people to regional places in order to establish such place as the salubrious life environment by fostering the more active communication with local residents. Second, 「Lifetime Activity Town」plan is truly differentiated from the previous elderly facilities as following: those migrators are not the ones to be provided with the social service, but they are the ones to provide such social service and also take lead in the communication with the local young and old generations. Third,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residential policy measurers for elderly people are being activated on the basis of 4 kinds of factors, which are 「residents」, 「local residential environment」,「service provision」, and 「business operation」. Fourth, project stake holders, including the nation, local government, project subject, etc, are playing each own's roles to reach policy success.

      • KCI등재

        통영해역의 진주조개, Pinctada fucata에서 생산된 진주의 품질특성

        서진형,이상준,정우건,조상만 한국패류학회 2012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28 No.3

        fucata) 를 1년간 양성한 시료에서 원주를 2005년 11월에 구입하여 전문가의 육안에 의해 품질․등급별로 White 컬러,Natural blue 컬러, Yellow gold 컬러로 구별하였다. 원주의 일반성분 특성은 저급의 원주일수록 Protein 함량이 높았다. 중금속의 경우, 모든 시료에서 Cr, Cu, Fe, K,Mn, Pb, Zn 등이 검출되었다. White계 원주에서 Cr, Mg,Zn, Mn 등이 낮은 등급에서 높았고, K, Fe 등은 높은 등급원주에서 높은 경향을 확인 할 수 있었다. Zn의 경우Natural blue와 Yellow gold 컬러에서는 높은 등급에서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원주의 진주층 결정의 길이는 컬러에 상관없이 3-4 μm였고, 두께 범위는 0.28-0.34 μm이었다. This project analyzes distinct qualities of pearl cultured in Tongyeong by physical, chemical and optical test. The result is to provide scientific data for the value of pearl from Korean seawater. It divides one year pearl, which is used as a sample in the project, into white, natural blue and yellow gold colors, and then it has been divided into A, B and C based on the quality of the last results. A chemical experiment demonstrates that the higher quality has lower protein content of less than 10%. In another test called heavy metal content test, there is no big difference among classes. In the characterization of spectroscopy, it shows 280 nm peak indicated the conchiolin. It is clear that 407 nm, 430 nm and 460 nm peak are White group that are not in processed condition.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효율적인 홈트레이닝을 위한 스마트 매트 디자인 방향성 연구

        서진형,김은영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2

        Recently, home fitness has emerged as a trend as external activities have been restricted due to the suspension and restriction of sports facilities due to COVID-19. However, this can cause the risk of injury due to incorrect exercise, therefore improvement for efficient exercise is needed during home fitness. Consequently,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products through case analysis of smart mats that emerged based on the recent influence of COVID-19 and related industrial growth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forecast the design direction of smart mats to support efficient exercise during home fitness in the Post-COVID-19 era. First of all,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current status of COVID-19, home fitness market prospects, and yoga mats were identified, and case analysis of smart mats was conducted using analysis criteria derived based on basic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functions of yoga mats, and functions and technologies of smart mats. Through this, the current status of smart mats was understood, classified into physical structure and functional aspects, and subdivided to propose design directions. The design direction of the smart mat proposed in this study is ‘use anti-slip, strengthen retention, antibacterial treatment, non-toxic, and eco-friendly materials’, ‘applied standard yoga mat and lightweight material’, ‘removable structure and accessory design’, ‘wireless, rechargeable battery structure and foldable structure design’, ‘support AI algorithms and collaborative filtering technologies’, ‘enhancing connectivity with wearable devices and leveraging accumulated data’, ‘enable virtual reality and real-time interactive community service’, ‘provide real-time coaching and monitoring services, and direct communication support system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ought and proposed the design direction of smart mats to support efficient exercise during home fitness in the Post-COVID-19 era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the research results on the design direction of smart mats derived through thi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and the development of the smart mat is expected to continue.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체육시설의 운영 중단 및 제한 조치의 영향으로 외부 활동이 제한됨에 따라 홈트레이닝이 트렌드로 급부상하였지만 이는 잘못된 운동으로 인한 부상 위험 등을 야기할 수 있어 홈트레이닝 시 효율적인 운동을 위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코로나19의 영향과 관련 산업 성장 및 기술 발전을 토대로 등장한 스마트 매트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해 제품의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홈트레이닝 시 효율적인 운동을 지원하기 위한 스마트 매트의 디자인 방향에 대해 전망하고자 하였다. 우선 이론적 고찰을 통해 코로나19와 홈트레이닝 시장 전망, 요가 매트의 현황에 대해 파악하였고 요가 매트의 기본 특징 및 물리적 기능과 스마트 매트의 기능 및 기술을 토대로 도출한 분석 기준을 활용하여 스마트 매트에 대한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통해 스마트 매트의 현황에 대해 이해하고 물리적 구조 측면과 기능적 측면으로 구분 및 세분화하여디자인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스마트 매트의 디자인 방향은 ‘미끄럼 방지 및고정력 강화 표면과 항균 처리 및 무독성, 친환경 소재 사용’, ‘일반 요가 매트 표준 규격 적용 및 경량화 소재 사용’, ‘탈부착형 구조 및 액세서리 디자인’, ‘무선 및 충전식 배터리 구조와 접이식 구조 디자인’, ‘AI 알고리즘 및 협업 필터링 기술 지원’,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계성 강화 및 축적 데이터 활용’, ‘가상 현실 및 실시간 양방향 커뮤니티 서비스 활성화’, ‘실시간 코칭 및 모니터링 서비스와 직접 소통지원 시스템 제공’이다. 본 연구는 향후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홈트레이닝 시 효율적인 운동을 지원하기 위해 스마트 매트의 디자인 방향을 모색하고 제안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도출된 스마트 매트의 디자인 방향에 대한 연구 성과가 향후 후속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라며스마트 매트 관련 개발 및 발전이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 유통업체의 ESG와 지역상생전략에 관한 연구 - 유통산업을 중심으로

        서진형,김현아,조춘한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22 한국마케팅관리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04

        전 세계적으로 ESG가 정부, 기업 등에서 핵심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기업에서는 ESG 경영 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ESG는 Environment(환경), Social(사회), Governance(지배구조)의 약자 로 기본 개념은 기업 경영에서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을 달성하기 위한 비재무적 요소를 의미 한다. 또한, 중·장기적 기업 가치에 직·간접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환경, 사회, 지배구조 측면에 서의 비재무적 성과에 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ESG와 유사한 개념의 경영 용어인 기존 CSR 개념의 경우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이하 CSR)으로 CSR의 대 상 요소는 조직 지배구조, 인권, 노동 관행, 환경, 공정운영 관행, 소비자 이슈, 지역사회 참여와 발전 등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들 요소는 ESG의 환경, 사회, 지배구조에 대응되는 측면이 있다. 위와 같이 ESG는 기존의 수직적 관계에서의 환경, 사회, 지배구조를 통한 비재무적 요소를 평 가해서 투자에 적용하는 것으로 국내 유통업체가 하고 있는 지역 상생을 통한 중·소경쟁자를 위 한 지원과는 상호 상충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상충되는 부분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유통업체의 개 별 점포에서 시행하고 있는 지역 사회 활동과 더불어 지역 상생을 기업의 ESG 가치와 연결시키 는 것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국내 유통업체에 대한 투자는 국내 뿐 아니라 해외 투자를 지속적으 로 받기 때문이다. 현재까지의 국내 유통업체는 4차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혁신 기술을 적용하면서 유통 산업의 밸류체인, 및 큐레이션, 배송, 쇼핑 등 다양한 측면에서 소비자의 편의성 확보에 주력하였 다. 또한, 국내외 업체들이 ESG 활동의 일환으로 친환경 제품 사용, 제품 생산 시 친환경적 요소 반영을 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유통업체가 신규 점포를 출점하면서 고객의 경험과 가치 극대화, 지역 밀착형 사회 공헌, 지역 내 공동체 강화(소비 이탈 방지)는 물론 주변 전통시장 및 골목상권 에 대한 공헌 활동을 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평가는 단순히 신규 점포 출점을 위한 한 가지 수단 으로 변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유통업체의 신규 점포 출점 시 노력은 영국의 BID에서 지역을 선도하는 기업들이 하는 활동과 동일한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국내의 골목상권과 전통시장 활 성화를 위한 활동이 정부 지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지속성, 전문성, 경쟁우위 측면에서 모 두 부족한 실정이다. 작년에 통과된 지역상생법은 영국의 BID를 벤치마킹 했다고 볼 수 있으나, 영국 BID 성공의 핵심은 선도기업인 직영점의 출점을 어렵게 하는 내용이 포함됨에 따라 정부 지 원의 문제점인 지속성, 전문성, 경쟁우위 측면을 모두 상실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정부에서는 도시재생 사업을 통해 주거만족을 높이기 위한 환경개선 및 정부, 지자체, 그 리고 주민참여로 커뮤니티 형성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도시재생 사업 기간 동안에는 높은 참여율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지만 사업이 끝나고 나면 모두 유명무실해지고 환경개선 외에 상권 활성화에는 뚜렷한 기여를 못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 주도형 골목상권 및 전통시장 살리기, 도시재생 사업 등에는 한계가 있으며, 이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예산도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의 생활패턴(소득이 있는 곳에서 거주하기 보다는 소비가 편리한 곳에서 거주)을 반영 한 유통업체 점포 중심을 통한 골목상권 및 전통시장 살리기,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필 요하다고 할 수 있다. 더구나 유통업체의 개별 점포가 추진할 수 있는 일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정부, 지자체, 그리고 주민 뿐 아니라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도 함께 참여하는 커뮤니티를 구성을 통해 지역 주민의 편의성이 확산되어 삶의 질이 높아진다면, 상권이 활성화 될 뿐 아니라 ‘살기 좋은 우리 동네’ 가 될 것이다. 따라서 유통업체의 신규 점포 출점 뿐 아니라 기존 점포의 역할에 대한 재평가를 하는 것이 필 요하며, 외국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지역 상인과의 상생활동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 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평가하기 위해서 중·소도시 및 신도시에 출점하는 복합쇼핑 몰과 아울렛 출점이 삶의 만족 개선 즉, 주거 선택 및 만족도, 가족 내 갈등 및 만족과 지역 커뮤 니티 측면을 보고자한다. 또한 국내에만 있는 수평적 관계에서의 지역 상생이 기존의 지역협력 및 상생과 같이 일시적 지원 또는 단순지원에 대한 효과 검증이 아닌, 앵커 점포로써 고객의 유 입 및 이탈 방지를 매출액과 이용고객 특징을 통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활동이 유통 업체 점포의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개별 점포 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결과를 바탕으로 개별 점포의 지역상생 활동의 전개방향 뿐 아니라, 우리나라 도시재생과 신도시 정책의 추진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국내 유통업체들이 노력하고 있는 고객만족과 더불어 지역 사회 관계에 대한 ESG를 활동을 정의하고 활동을 평가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 이다. 또한 정부 규제에 의한 지역과의 상생이 아닌 유통업체의 새로운 평가를 위해 자발적 활동 을 유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축소판 인 경기도 8개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카드데이터를 활용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 수도권 고속도로 휴게소의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서진형,권순희 한국부동산경영학회 2013 부동산경영 Vol.7 No.-

        Thus, this study is intended to identify the purpose of using expressway and rest area, perception of previous rest area, and recommendations for development of future rest area, and to suggest improvements for future rest facilities that can satisfy the users in an effort to show the necessity for the development of the expressway rest area used by the residents to commute in the metropolitan district including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where there is suburbanization and post industrializ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a majority of the respondents were using the expressway rest area for the purpose of using toilet, resting, and dining, whereas the high number of the users of the handy rest area in the seoul ring expressway during their commute preferred using the facilities inside the rest area rather than physiological phenomena such as using toilet. This showed that the rest area can solve a wide range of user demands leading

      • KCI등재

        RAW 264.7 세포에서 조팝나무 에탄올 분획물의 항염 활성

        서진형,이한솔,김수환,이성진,배은영,이선영 한국영양학회 2022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5 No.1

        Purpose: Natural medicinal plant extracts have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as health beneficial foods and potential therapeutic agents for prevention of various disease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measure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ethanol-water fraction obtained from the above-ground portion of 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 a wild-growing plant in Korea. The final fraction used in this study was the H2O-EtOH (40:60) fraction (SP60), which ha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as determined in previous studies. Methods: The amounts of nitric oxide (NO), tumor necrosis factor (TNF)-α, interleukin (IL)-6 and IL-1β production were measured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exposed to SP60. Western blot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expressions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 (COX)-2, and the activation of nuclear factor (NF)-κB. Results: SP60 exerted no cytotoxicity up to concentrations of 125 μg/mL. The levels of 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NO, TNF-α, IL-6, and IL-1β,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exposed to SP60. In addition, the expression levels of iNOS, COX-2, and phosphorylated p65 showed a concentration-dependent decrease subsequent to SP60 treat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P60 inhibits the LPS-induced produc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iNOS, and COX-2, by inhibiting the activation of NF-κB,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Conclusion: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H2O-EtOH (40:60) fraction (SP60) extracted from the above-ground portion of 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 has the potential to be developed as a medicine or healthcare food and functional material possessing anti-inflammatory effects. However, it is necessary to first confirm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P60 in in vivo mod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