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원어민 한국어 교원 재교육 프로그램 설계 및 운영 사례 연구 - 투르크메니스탄 국립아자디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서진숙,김지형 한국문화융합학회 2024 문화와 융합 Vol.46 No.2

        This study evaluates the 'Korean Language Non-Native Teacher Re-Education Program' at Turkmenistan's National Azadi World Languages University, aimed at overcoming the educational challenges of non-na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boosting their teaching skills. methodology included preliminary surveys, needs assessment, curriculum development, participant selection, and effectiveness assessment. The focus was on enhancing teaching methodologies, Korean language theory, culture, and practical exercises. Participants reported high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s educational content and consulting.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strategic program design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non-na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suggesting significant benefits for their proficienc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재외동포, 이주 및 다문화 배경 구성원 대상 한국어 교육 정책에 대한 소고 -외교부, 법무부, 여성가족부의 한국어 교육 사업을 중심으로-

        서진숙,장미라,김지형,봉원덕 한민족문화학회 2022 한민족문화연구 Vol.8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policies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examining policies and major projects and considering problems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the Ministry of Justice,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which are the government departments that overse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for foreigners in Korea and abroad. With the examination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and project data of each ministry from the 2000’s to the first half of 2021,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major projects were described as four criteria: curriculum and textbook development, teacher training, education support and integration/liaison between curriculums. When the documents of the three ministrie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criteria, the documents in the curriculum and textbook development area were the most common as 73(47.1%), the area of education support was 40(25.8%), the area of teacher training was 37(23.9%) and the area of integration/liaison between curriculums was 5(3.2%). This showed that the three ministries focused most on the curriculum and textbook development area and the rest of the standards differed slightly by ministry. The result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work showed that all three ministries were conduc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business by targets. With the diversity of the purposes of learning Korean language and the complexity of beneficiarie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busines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limitations in business categorized by targets.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textbook, all three ministries were relatively well coordinated with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the primary concern department.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he Ministry of Justice focused on developing their own educational materials according to their departmenta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eacher training, the Korean language teacher certificate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was recognized. However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was promoting a system such as the Hangul school teacher certification system. And the Ministry of Justice was making efforts through multi-cultural society specialist program and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rough re-education of visiting Korean language teachers. To consolidate policies, it was still necessary to operate a higher level department dedicated to the reorganiza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It was also confirmed that it was necessary to accumulate information in big data on beneficiaries and non-beneficiari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이 연구는 국내외 외국인 대상의 한국어 교육 정책을 주관하고 있는 정부 부처인 외교부, 법무부, 여성가족부의 한국어 교육 정책과 주요 사업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고찰하여 각 부처의 한국어 교육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2000년대부터 2021년 상반기까지 각 부처의 한국어 교육 정책과 사업 자료를 확인하고 주요 사업의 변화와 특징을 교육과정과 교재 개발, 교원 양성, 교육 지원, 교육과정 간 통합/연계의 4가지 기준으로 기술하였다. 세 부처의 문서를 분석 기준에 따라 통합하여 분류하면, 교육과정과 교재 개발 영역의 문서는 총 73개(47.1%)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교육 지원 영역은 40개(25.8%), 교원 양성 영역은 37개(23.9%), 교육과정 간 통합/연계 영역은 5개(3.2%)로 나타나, 세 부처 모두 한국어 교육과정과 교재 개발 사업에 가장 많은 비중을 두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나머지 기준은 부처별로 약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세 부처별로 업무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세 부처 모두 대상별로 한국어 사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외국인의 한국어 학업 목적이 다양하고, 한국어 사업의 수혜 대상이 복잡해지고 있어 대상별 사업의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어 교재 개발에서 외교부, 법무부, 여성가족부는 주무부서인 국립국어원과의 협력이 비교적 잘 이루어지고 있으나 외교부와 법무부는 부처별로 특성에 맞게 자체 교육 자료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교원 양성 측면에서는 국립국어원이 주관하는 한국어교원 자격을 인정하고 있으나 외교부는 한글학교 교사 인증제와 같은 제도를 추진하고 있으며, 법무부는 다문화사회전문가, 여성가족부는 방문 한국어교원 재교육 등에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이러한 점 등을 고려할 때 대상별로 각기 이루어지는 한국어 교육 정책에 대한 정비와 한국어 교육 정책을 전담할 수 있는 상위 부서의 운영이 여전히 필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한국어 교육 수혜자 및 미수혜자 등에 대한 정보를 빅데이터로 축적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가족상담 전문가 교육에 대한 미국의 연구동향 분석: 프로그램 평가를 중심으로

        서진숙 한국상담학회 2010 상담학연구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ritically analyze the studies about marriage and family counseling/therapy training that have been published in the U. S. It was expected to find future directions of Korean family counseling education research by this study. This review was conducted with 35 empirical studies, which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five sections: needs assessment, program theory evaluation, process monitoring, impact assessment, and efficiency assessment. This study found that most of the family counseling training research were focused on needs assessment, process monitoring, and program theory evaluation. In terms of research method, qualitative methods and mixed methods have been actively utilized as well as quantitative methods. In Korea, it is rare to find a study regarding family counseling education. Since several graduate programs for family counseling have been established in Korea, it is imperative to do research for needs assessment and program theory evaluation of family counseling training programs. This will help to consolidate family counseling field in Korea.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가족상담 전문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연구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미국에서 출판된 연구논문들을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프로그램 평가적 접근이 적용되어 검색된 총 35편의 연구들이 5개의 하위 영역으로 분류되어 분석되었다. 5개의 하위 영역은 요구분석, 프로그램 이론 평가, 과정 평가, 효과성 평가, 효율성 평가 등이다. 미국의 경우 가족상담 전문가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요구분석, 프로그램 이론 평가, 그리고 과정 평가에 집중되어 있었다. 특히 최근에는 양적 연구방법 뿐 아니라 질적 연구방법 및 복합적 연구방법 등이 다양하게 적용되어 실행되고 있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가족상담 전문가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운영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프로그램 개발․평가의 초기 단계에서 행해지는 요구분석과 프로그램 이론 평가가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가족상담 분야가 독자적인 영역 구축을 하기 위한 발판이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교수의 수정적 피드백에 대한 학문 목적 학습자의 인식과 반응 - 한국어 발표를 중심으로 -

        서진숙,박혜경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硏究 Vol.- No.77

        This paper’s goal is to study students’ response to teachers’ feedback in undergraduate Korean presentation classes through surveys and interviews. Although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surveying how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perceive corrective feedback, aside from simple surveys, qualitative research regarding the way in which students are responding is lacking. In this study, first, the concept of corrective feedback in Korean education in previous studies was examined. Then based on the findings in these studies, appropriate corrective feedback in Korean presentation class was outlined. Following this, through surveys and interviews, opinion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were studied. The results showed that during presentation class in ‘Korean Speaking’ students expected explicit and immediate corrective feedback and it confirmed that students wanted overall error feedback. Also, students strongly agreed that their Korean speaking proficiency improved due to teachers' corrective feedback in Korean presentation class. Presentation attitude of corrective feedback showed that rather than overall feedback, selective correction was more important and overall corrective feedback regarding ‘Korean error’ rather than corrective feedback on ‘presentation materials’ or ‘presentation attitude’ was given more regard. Finally, students responded that after they received corrective feedback, they tried to apply the corrections and their confidence improv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eachers’ corrective feedback in affective aspects gave a positive influence. 본고는 학부의 한국어 발표 수업에서 교수의 수정적 피드백에 대한 학문 목적 학습자의 반응을 설문조사와 면담을 통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문 목적 학습자가 수정적 피드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설문조사는 여러 차례 연구된 적이 있으나 단순한 설문조사 외에 학습자들이 왜 그렇게 반응하는지에 대한 질적 연구는 미비한 편이기 때문이다. 이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 먼저 수정적 피드백의 개념과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의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학부의 한국어 발표 수업에 맞는 수정적 피드백의 종류를 한정하였다. 이후 수정적 피드백에 대해 학문 목적 학습자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설문조사와 면담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발표 시 ‘한국어 말하기’에서 학습자들은 명시적이고 즉각적인 수정적 피드백을 바라고 있으며, 오류에 대한 전체 피드백을 바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 교수의 수정적 피드백으로 인해 발표 시 한국어 말하기 능력이 좋아진다는 데 강한 동의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발표 태도의 수정적 피드백에서는 전체 오류 수정보다 중요한 것을 선별적으로 수정하는 것에 대한 동의가 높았고, 전체적으로 ‘한국어 오류’에 대한 수정적 피드백이 ‘발표 자료’나 ‘발표 태도’에 대한 수정적 피드백보다 인식 정도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은 교수의 수정적 피드백은 받은 후 수정 내용을 반영하기 위해 노력했고 자신감도 올라갔다고 응답하여 교수의 수정적 피드백이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주입속도에 따른 가온된 생리식염수와 혈액의 투여온도

        서진숙,최승필,최세민,김영민,정시경,이원재,김세경 대한응급의학회 2003 대한응급의학회지 Vol.14 No.1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infusion rate on the temperature of the infusate reaching the distal end of an infusion tubing with active fluid warming. Methods: One-liter bags of normal saline were warmed to 60˚C using a microwave oven and were then run through standard infusion tubing at rates of 200, 400, 600, 800, and 1,000 mL/hr. The temperatures at the distal end of the infusion tubing were measured every one minute for the first 10 minutes and then every ten minutes for 1 hour. Subsequently, normal saline and packed redblood cells, which were warmed using a fluid warmer, were infused at rates of 200, 400, 600, 800, and 1,000 mL/hr. Temperatures were recorded when the readings had stabilized within a range of ±0.1˚C. Results: Normal saline warmed by a microwave oven could be delivered through standard infusion tubing at a temperature of more than 37˚C if the normal saline had been preheated to 60˚C and infused through long tubing (210 cm) at rates of 800 and 1,000 mL/hr. Also, normal saline and packed red blood cells, warmed to 41˚C with a fluid warmer, could be delivered at a temperature of or near 37˚C through relatively short tubing (110 cm) at a rate of 1,000 mL/hr. The fluid composition influenced the infusate temperature (p<0.05). Conclusion: When patients with hypothermia or major trauma are treated by infusing warmed normal saline or packed red blood cells, we should consider appropriate flow rates for the fluid so as to maintain a therapeutic delivery temperature when using practical infusion tubing in the ED set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