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회전근 개 파열에서 Apoptotic Cell의 발현과 조직병리학적 소견

        서지훈(Ji-Hoon Suh),홍수헌(Soo-Heon Hong),박재범(Jae-Bum Park),김종민(Jong Min Kim),전재명(Jae-Myeung Chu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4

        목적: 회전근 개 파열 환자에서 파열 크기, apoptotic cell의 발현빈도(apoptotic index), 조직병리학적 소견들의 상호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회전근 개 파열로 수술을 시행한 63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소, 중, 대, 광범위 파열이 각각 2예, 22예, 22예, 17예였다. 조직병리학적 변화의 평가를 위해서는 H&E 염색을, apoptotic index 의 조사를 위해서는 TUNEL염색을 사용하였고, 이들과 파열 크기와의 관계를 연구 분석하였다. 결과: 파열의 크기에 따른 섬유 모세포의 조밀도, 활액막 비대층 및 혈관 증식의 정도 등은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Apoptotic cell은 모든 예에서 관찰되었으며 주로 파열부위에 집중되어 있는 양상을 보였다. 파열 크기에 따른 apoptotic index는 소파열에서 58.50, 중파열에서 27.25, 대파열에서 33.29, 광범위 파열에서 31.96이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회전근 개 파열에서 apoptotic index나 섬유모세포 조밀도, 활액막 비대, 혈관증식 등의 조직병리 소견들은 파열의 크기에 따른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그들 지표 서로 간에도 상관관계가 없었다. Purpose: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ze of the torn rotator cuff and the frequency of finding apoptotic cells (apoptotic index) or pathological degeneration in the rotator cuff. Materials and Methods: The edges of torn supraspinatus tendons were obtained from patients with rotator cuff tear (n=63). The study group consisted of 2 small, 22 medium, 22 large and 17 massive tears. For the histopathologic evaluation, the H&E stained sections of the torn supraspinatus tendons were examined. Apoptosis was detected with TUNEL assa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ear size and the pathologic findings or the apoptotic index.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could not be found for the fibroblast cellularity, thickening of the synovial lining and proliferation of blood vessel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rotator cuff tear. All the specimens had apoptotic cells that were concentrated around the margin of the tear site. The apoptotic indexes according to the tear size were 58.50 for the small tears, 27.25 for the medium tears, 33.29 for the large tears and 31.96 for the massive tear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tear size and the apoptotic index. Conclu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poptotic indices, the fibroblast cellularity, the thickening of the synovial lining and the proliferation of blood vessel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rotator cuff tear, and there were no correlations between the apoptotic index and the histopathologic findings.

      • KCI등재

        슬관절 재치환술의 수술 방법 및 결과

        조우신(Woo-Shin Cho),염윤석(Yoon-Seok Youm),황지효(Ji-Hyo Hwang),안성찬(Sung-Chan Ahn),서지훈(Ji-Hoon Suh),홍수헌(Soo-Heon Ho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5

        목적: 슬관절 재치환술의 원인에 따른 수술방법을 제시하고,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2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슬관절 재치환술을 시행받았던 64명의 환자 70예의 슬관절을 대상으로 원인에 따른 수술 방법 및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5년 5개월(25-120개월)이었다. 재치환술 후 임상적 평가는 관절 운동 범위,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HSS) 슬관절 점수 및 합병증을, 방사선학적 분석은 미국 슬관절 학회의 방사선학적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일차 수술 후 재치환술까지의 기간은 평균 4년 11개월(1개월-20년)이었다. 8예에서 후방십자인대 보존형을, 14예에서는 후방십자인대 보완형을, 48예에서는 제한형을 사용하였다. 골 결손의 처치 및 확고한 고정을 위하여 주대형 삽입물 51예, 금속 보강물 34예, 구조적 동종골 이식은 15예에서 사용하였다. 슬관절 운동 범위는 평균 88.8도에서 최종추시시 105.8도, HSS 슬관절 점수는 재수술 전 평균 60.5점에서 87.6점으로 향상되었다. 합병증으로 심부 감염이 3예(4.3%), 슬개골 탈구가 1예(1.4%), 폴리에틸렌 탈구가 1예(1.4%) 있었다. 결론: 재치환술의 경우 많은 경우에서 제한형 삽입물을 필요로 하였으며 추가적으로 골 이식, 금속 보강물 및 주대를 이용한 골 결손의 처리 및 고정의 강화를 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다. Purpose: To suggest operative methods for revision total knee arthroplasty (TKA) according to the causes of revision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The operative methods of 70 revision total knee arthroplasties in 64 patients between December 1996 and December 2004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ause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65 months (25-120 months). The range of motion and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HSS) score were used for the clinical evaluation and the scoring system of American Knee Society was used for the radiographic evaluation. Results: The mean periods of revision surgery from the initial operation was 59 months (1 month-20 years). Posterior cruciate retaining prosthesis was used in 8 cases, posterior cruciate substituting prosthesis in 14 cases, and constrained type prosthesis in 48 cases. The extension stem was required in 51 cases, metal augmentation in 34 cases, and structural allograft in 15 cases for bone defect treatment and firm fixation. The average range of motion improved from 88.8o preoperatively to 105.8o at the final follow-up. HSS score also improved from 60.5 to 87.6 points. The complications after revision TKA were 3 infections (4.3%), 1 patellar dislocation (1.4%), and 1 polyethylene dislocation (1.4%). Conclusion: Constrained type prostheses were needed in many cases of revision TKA.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using an additional structural allograft, metal augmentation, and extension stem for bone defect treatment and firm fixation.

      • KCI등재

        혈청 음성 척추 관절증에서의 족부 병변

        이춘성(Choon Sung Lee),이호승(Ho Seong Lee),서지훈(Ji Hoon Suh)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5

        목적: 족부의 염증성 병변을 초기 증상으로 하는 혈청 음성 척추 관절증에서의 다양한 족부 병변의 임상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족부 주변의 염증성 병변으로 내원한 환자 중 혈청 음성 척추 관절증으로 진단 받은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HLA-B27 양성이면서 Amor의 진단 기준에 해당되는 경우에 혈청 음성 척추 관절증으로 진단하였다. 족부의 주 병변에 따라 분류하였고 동반된 족부 이외의 근골격계 및 근골격계 이외의 병변을 조사하였다. 결과: 아킬레스건 부착부염과 족저 근막염이 17명(28.3%)으로 가장 많았다. 그 외에 중족골 두의 염증 또는 중족 족지 관절염이 11명(18.3%)이었으며 족부의 다발성 병변으로는 아킬레스건의 종지부 염증과 중족 족지 관절염이 함께 있던 경우가 8예로 가장 많았다. 족부 이외의 동반된 증상은 요통과 슬관절염이 각각 17명 (28.3%)씩이었고 천장 관절통은 8명(13.3%)에서 관찰되었다. 근골격계 이외의 병변으로 건선이 2예, 포도막염이 1명에서 동반되었다. 결론: 족부 병변을 가진 혈청 음성 척추 관절증은 증상이 다양하고 비특이적으로 나타나서 진단이 지연되거나 잘못 진단되는 경우가 흔하다. 따라서 족부의 염증성 병변이 완화와 악화를 반복하면서 HLA-B27이 양성인 경우 혈청 음성 척추 관절증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Purpose: To analyze variable inflammatory manifestations around the foot in the early stages of seronegative spondyloarthropathy. Materials and Methods: Sixty patients, who visited the clinic for inflammatory lesions around the foot and were diagnosed with seronegative spondyloarthropath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cas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in inflammatory lesions of the foot. Extra-skeletal lesions were also evaluated. Results: Among the main inflammatory lesions of the foot, the most common lesions were insertional Achilles tendinitis and plantar fasciitis in 17 (28.3%) patients. Eleven (18.3%) cases were inflammation of the metatarsophalangeal joint or metatarsal head. Among the cases with multiple foot lesions, both insertional Achilles tendinitis and synovitis of the metatarsophalangeal joint were observed in 8 patients. Among the extra-foot lesions, back pain or synovitis of the knee joint were observed in 17 patients, and 8 cases had sacroilitis. In the patients with extra-skeletal lesions, psoriatic skin lesions were observed in 2 patients and uveitis in 1 patient. Conclusion: Due to its various and nonspecific manifestations, HLA-B27 related chronic inflammatory foot lesions have been easily overlooked and inappropriately treated. Therefore, particular attention should be paid to HLA-B27 positive cases that have waxing and waning of inflammatory foot le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