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재해예방 중심의 자연형 하천정비 방안에 관한 연구

        서정표(JungPyo Seo),조원철(WonChul Cho) 한국방재안전학회 2013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6 No.3

        Along with green growth era in the 21st century and with the increasing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stabilization, people expect absolute freedom from the drought and flood and long for ecological exchange in the waterfront as a part of the living base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match the changes in social demand, the focus on the river management policy urgently requires a comprehensive river management that considers the nature's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aspects as well as a new disaster prevention approach that grows out of existing simple flood prevention. Therefore, this thesis provides feasible solutions by suggesting the following findings to maintain and manage rivers to be harmonized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considering disaster prevention aspect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river management policy and integrated river basin management, to control the river management lead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to promote close-to-nature river management approach for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21세기 녹색성장 시대의 도래와 함께 경제•사회•문화적으로 점차 안정화되면서 사람들은 홍수와 가뭄으로부터 완전 한 해방을 기대함과 동시에 생활 터전의 일부로써 친수공간에서 생태적 교류를 갈망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의 변화 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하천관리 정책의 포커스도 기존의 단순한 수해방지를 탈피한 재해예방과 함께 자연의 환경적•생태적 관점을 고려한 종합적인 하천관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측면을 반영하여 하천이 재해예방과 함께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게 정비•관리될 수 있는 해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은 유역종합치수계 획에 의한 치수정책, 국가주도의 하천관리, 돌발홍수 대처능력 강화, 그리고 자연형 하천정비의 확대 등의 추진이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에 접근하는 것이라고 본다.

      • KCI등재후보

        자연재해 예· 경보시스템의 효율성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서정표(JungPyo Seo),조원철(WonCheol Cho) 한국방재안전학회 2013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6 No.1

        Damage on assets and lives caused by natural disasters can be minimized by the provision of early warning information and preventive activities. In this sense, the importance of a disaster early warning system continues to increase. This study specifies the kinds of early warning systems depending on the type of natural disasters such as typhoon, flood and heavy snow. The mechanism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status of early warning operations are analyzed. Through this analysis, the urgent need to establish a national integrated early warning transmission system is emphasized. In addition, this study offers methods to prevent unnecessary overlapping of investments by establishing an organic mechanism among individual early warning systems.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disaster-related information, this study also provides method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disaster early warning systems by organizing a permanent team for handling the systematic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system. 자연재해로 인한 재산 및 인명피해는 재해 유형별 사전 정보와 예방활동을 수행함으로 그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재해 예•경보시스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태풍, 홍수, 폭설 등 자연재해 관련 예• 경보의 유형과 정보 전달 매체 및 재해 예•경보 전달 체계 현황과 실태 등을 분석하고 첨단정보 통신기술과 방송•통신의 융 합에 대한 기술대안 분석으로서 국가적 통합 경보전달 체계 구축의 시급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재해 예•경보 시스템간의 유 기적인 연계를 통하여 각각의 시설 간에 중복 설치를 사전에 방지하는 한편 방재정보의 표준화를 바탕으로 예•경보의 종합 적이고 체계적인 관리와 운영을 위한 전문성을 갖춘 전담조직의 상설화 등을 통해 재해 예•경보 시스템의 효율성 제고방안을 연구한 논문이다.

      • KCI등재후보

        자연재해 이재민의 구호서비스 증진방안에 관한 연구

        서정표(JungPyo Seo),조원철(Wonchul Cho) 한국방재안전학회 2013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6 No.2

        신정부 출범이후 최근에 ‘정부 3.0’이 화두이다.「정부3.0 추진 기본계획」에 의하면 이는 개방•공유•소통•협력의 가치를 중심으로 양방향 맞춤형 행정서비스를 국민 개개인을 대상으로 제공함을 의미한다. 현재 태풍, 호우 등 자연재해로 사유재산 피해를 입은 이재민들이 금융, 세제, 전기•통신료 감면 등의 구호서비스 지원을 받으려면 해당 기관들을 일일이 방문해서 서비스를 신청하도록 되어 있다. 신청서 종류와 처리절차가 너무 다양하고 복잡하여 이재민들이 많은 불편을 겪고 있는 실 정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연구목표를 이재민 원스톱 서비스 신청을 통해 주민불편 해소 및 실질적인 혜택제공으로 설정 하였다. 이를 위해 행정서비스 지원체계 구축과 법적•제도적 장치의 마련, 원스톱을 위한 전산시스템 구축과 협업과제의 성 공적 추진을 위한 종합홍보 강화라는 구호서비스 증진전략을 마련하여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Recently, ‘Government 3.0’ has become the topic since the inauguration of the new government. According to Government 3.0 Promotion Master Plan, this means providing bilateral customized administrative service based on the values of opening-up, sharing, and cooperation for the individuals of the people. Currently, if disaster victims, who have private property damaged by natural disasters such as typhoon and torrential rain, want to receive disaster relief service supports such as financial support, tax cut, reduction in electric and communication charges, they have to visit each of applicable organizations and apply for the relief service supports. The application forms and procedures are so diverse and complex that disaster victims undergo many discomforts. So this thesis established the solution of residents’ discomforts and the providing of practical benefits through disaster victims’ one stop application for service as the research objective. Accordingly, the solution plan was concretely presented through preparing the relief service promotion strategies comprising the establishment of administrative service supporting system and the preparation of legal and institutional device, the establishment of computing system for one stop service and the reinforcement of general publicity for successful promotion of cooperation projects.

      • KCI등재후보

        자연재해 취약지역 인명피해 최소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서정표(JungPyo Seo),조원철(WonCheol Cho) 한국방재안전학회 2014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7 No.1

        Due to the recent climate change impact, natural disasters occur due to sea surface rising, typhoon attacks, flash floods, local heavy rainfalls, landslides, and coastal area erosion, continuing to cause human and property damage. These impacts, coupled with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ctivities, are turning the previously safe areas into disaster-vulnerable areas, increasing human and economic damage. This paper aimed to prepare measures designed to minimize human damage in natural disaster vulnerable parts of South Korea in summer. Toward that end, how vulnerable areas were managed and what the damage was like were studied. Also, cases of human damage and statistics there of were reviewed and analyzed, relevant problems were derived, and thus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measures designed to minimize human damage were presented. 최근 기후변화 영향으로 인한 해수면 상승, 태풍내습, 돌발홍수, 국지성 집중호우, 산사태 및 연안지역 침수 등이 발생하여 자연재해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도시화•산업화와 함께 이전에 안전했던 지역이 새로운 재해 취약지역으로 변화되면서 인적•경제적 피해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여름철 자연재해 취약지역에 대한 인명피해 최소화 방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취약지역에 대한 관리 실태와 피해 양상을 고찰하였으며 인명피해 사례 검토 및 통계분석을 실시하고, 문제점을 도출 하여 인명피해 최소화방안을 구조적 대책과 비구적 대책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인간보호를 위한 안전모니터링 이론과 적용에 관한 연구

        이태식(TaeShik Lee),서정표(JungPyo Seo),석금철(GeumCheol Seok),조원철(WonCheol Cho) 한국방재안전학회 2012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5 No.1

        This paper focused on the new theory and algorithm improving the citizen’s safety which they experience to change from the developing country to the developed country, and analyzed the gained and applicate results, and show the theories and application’s evidence for the incident prevention of citizen’s life and house. The Safety Monitoring Theory for human security, show the six theories for which they are analyzed and reduced the accident’s death, as is the priority of the disaster prevention activity, its decision, continuous minimization of the accident’s death number, the environment security, the personal security, the community security. This study is applied to educate and exercise the disaster prevention and safety management’s program which applied the seven step’s model of the safety monitoring, show on continuously improvement effects through the case study of the personal’s and team’s monitoring during five years. 본 연구에서는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겪는 시민안전 향상을 위한 새로운 이론과 알고리즘 을 제시하고 있으며, 얻어지고 적용된 결론을 분석하고,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재난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이론과 적용된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인간보호를 위한 안전모니터링 이론은 사고로 인한 사망자를 분석하여 감소시킬 수 있는 여섯가지 이론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재해예방활동의 우선순위, 의사결정, 사건사망자수의 지속적인 최소화, 환경안보, 개인안보, 공동체 안보 등이다. 이 연구는 일곱 단계로 구성된 안전모니터링 모델을 적용한 방재안전관리 프로그램을 교육하고 훈련하는데 적용되었고, 5년간의 개인활동과 그룹활동 사례연구를 통한 지속적으로 향상된 효과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