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찬기파랑가` 해독의 검토

        서정목(SUH, Chung-mok)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서강인문논총 Vol.0 No.40

        이 글은 ‘찬기파랑가’에 대한 여러 해독을 검토하고 새로운 해독안을 제시한 것이다. 1920년대(小倉進平(1929)), 1930-40년대(양주동(1942/1965/1981)), 1970-80년대(김완진(1980, 1986/2000)), 1990-2000년대(성호경(2004/2008))의 해독 하나씩을 검토 대상으로 하였다. 첫째 검토 기준은 어휘 형태소[실사]는 한자의 훈을 이용하여 적고 문법 형태소[허사]는 한자의 음을 이용하여 적는다는 향찰 표기의 원리이었다. 둘째 검토 기준은 중세 한국어의 문법 질서이었다. 중세 한국어 통사 구조의 특성에 비추어 가능한 어형과 가능하지 않은 어형을 가려내어 적절한 해독안을 찾으려 하였다. 그 결과 도달한 이 노래에 대한 필자의 해독안과 현대 한국어로의 이해는 다음과 같다. 이 해독에는 서정목(2014c)에서 논의한 제4행과 제5행이 순서가 바뀌었다는 가설을 반영하였다. 거기에 따라 의미 단락을 4행-4행-2행으로 나누어 전형적인 10구체 향가의 모습을 보이게 적었다. <다음> 중세 한국어 현대어 역 늣기며 바라매 흐느끼며 바라보매 이슬 발긴 다라리 이슬 밝힌 달이 힌 구룸 조초 뜨간 언저레 흰 구름 좇아 떠간 언저리에 耆郞이 즈시옳 시 수피여(원 제5행) 노화랑의 모습일 시 숲이여 몰개(랄) 가란 믈기슭어해(원 제4행) 모래(를) 가른 물 기슭에 일오나릿 재벽아해? 일오내 자갈밭에 郎이여 디니더샨 郎이여 지니시던 마사뫠 가살 좇나오라 마음의 가를 좇노라 아아, 자싯 가지 노포 아아, 잣가지 높아 누니 모달 지줋 곳갈이여 눈이 몯 짓누를 곳갈이여 필자의 해독안은 김완진(1980, 1986/2000)의 해독과 거의 같다. 필자가 달리 해독한 것을 굳이 적는다면 다음과 같다:‘咽嗚爾’를 ‘늣기며’로 해독하고 ‘露曉邪隱’을 ‘이슬 발긴’으로 해독하였다. ‘浮去隱’을 "뜨간’이라는 비통사적 합성어로 보았다. ‘藪邪’를 ‘수피여’로 보았다. ‘沙是’를 대격형인 ‘몰개(?)’로 보고 ‘汀理也中’을 ‘믈기슭어해’로 해독하였다. ‘?惡希’를 ‘재벽아해"로 보았다. ‘持以?如賜烏隱’을 ‘디니더샨’으로 보고, ‘逐內良齊’를 ‘좇나오라’를 적은 것으로 보았다. In this paper, I make a scrutiny into various decipherments of ‘Chan-Kiparang-ka’. The objects of examination are four decipherments, which are the representatives of the eras of 1920s(Ogura(1929)), 1930s-40s(Yang(1942/1965/1981)), 1970s-80s(Kim(1980, 1986/2000)), and 1990s-2000s(Sung(2004/2008)). The first criterion is the principle of the Hyangchal writing that the lexical morphemes were written with the meaning of the Chinese characters and the grammatical morphemes were written with the sound of the Chinese characters. The second criterion is the grammar of Middle Korean. I pursued the ideal decipherment through the investigation that picked out the possible word forms, on the basis of the syntactic structure of Middle Korean. As a result, I reached the following decipherment. In this decipherment, I changed the order of the fourth line and the fifth line as discussed in Suh(2014c), and divided the poem into 4-line, 4-line and 2-line stanzas like the typical 10-line-form Hyangka. <In Middle Korean> Neuski-myeo Bara-mai Iseul Bal-gi-n Daral-i Huin Gureum Chocho Pteu-ga-n Eonjeori-e Kirang-eui Cheus-i-o-l-s-i Sup-iyeo Molgae Karu-n Mul Kisurg-eohuy Ilo Narit Chaevyeok-ahuy Nang-iyeo Tini-deo-sya-n Mazam-uy Kaz-ul Cho-na-o-ra Ah ah Chasi-s-kaji Noph-o Nun-i Modal Chich-u-l Kotkal-iyeo My decipherment is nearly the same as Kim(1980, 1986/2000)’s decipherment. Some different ideas are as follows:‘咽嗚爾’ was read as ‘neuski-myeo’, ‘露曉邪隱’ as ‘iseul balg-i-n’, ‘浮去隱’ as ‘pteu-ga-n’, ‘沙是’ as the accusative form ‘molgae-(reul)’, ‘汀理也中’ as ‘mul-kiseul-eohuy’, ‘藪邪’ as ‘suph-iyeo’, ‘?惡希’ as ‘chayvyeok-aheuy’, ‘持以?如賜烏隱’ as ‘tini-teo-sya-n’, and ‘逐內良齊’ as ‘chos-na-o-ra’.

      • KCI등재

        시간 정보 온톨로지 구축을 위한 방법론 제안

        서정연 ( Jung Yeon Suh ) 한국기호학회 2013 기호학연구 Vol.36 No.-

        Ce present travail propose une contribution methodologique a construire une ontologie des informations temporelles, surtout celles qui sont representees par les verbes dans les textes. La langue est tres souple dans la representation temporelle, par exemple, une entite temporelle peut avoir des roles varies dans les enonces. La conception du temps doit etre suffisamment souple et riche pour representer et raisonner de differents phenomenes temporels comme les evenements, leurs durees, leurs localisations (par rapport au processus enonciatif) et aussi leurs relations temporelles entre ces evenements. Ces relations peuvent etre temporelles, causales ou autres. A la base de conceptualisation empruntee a la Topologie generale, les valeurs du temps et de l`aspect en langue naturelle (en coreen et en francais) sont representees d`une maniere independamment de la langue naturelle. La modelisation que nous proposons ici permet de donner des representations sous-jacentes aux informations temporelles du texte ayant une structure dynamique entre des differents referentiels temporels par rapport a celui d`enonciatif. Ainsi cette conception du temps est employee des definitions de l`ontologie formelle pour l`ingenieur des connaissances temporelles et la modelisation des valeurs semantico-cognitives du temps linguistique dans une plate-forme multilingue. Enfin, la methodologie nous proposons peut servir aux analyses semiotiques des textes, qui sont sous formes varies, celles de linguistiques et de non-linguistiques (les images, les icones, les tableaux, etc..) en construisant les relations logico-semantiques entres les categories reprentees par les signes dans les textes.

      • KCI등재

        관계형 앱 '토킹 탐 캣‘ 의 사용자 ‘즐거움’ 감성 반응

        서정미(Suh, Jeong Mi)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2 No.-

        엔터테인먼트 형 모바일 콘텐츠는 일반적인 모바일 기기가 가져다주는 편리함 이상의 것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엔터테인먼트 모바일 콘텐츠형인 outfit7의 Talking Tom Cat을 대상으로 사용자의 즐거움 감성 반응을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모바일 콘텐츠 및 유형을 여러 문헌 조사를 통하여 살펴보고 ‘관계형 앱’에 대한 정의를 내릴 수 있었다. 또 실험에 있어서 I(Image), V(Voice), M(Motion)의 유형에 따른 ‘즐거움’ 사용자 감성 반응의 결과를 통해 관계형 앱을 디자인하는 데 있어 필요점을 찾고자 하였다. 즉 사용자의 즐거움 감성 반응을 높이기 위한 디자인 프로토타입이 충족시켜야 할 것이 무엇인지 알아보았으며, 사용자에 대한 미디어의 관계가 끊임없이 변하는 현시점에서 미디어의 속성을 고찰하여 보았다. The entertainment type mobile contents provide users with more than convenience that the common mobile device off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Pleasure" emotional response of users with Talking Tom Cat of Outfit7 which is a type of entertainment mobile content. First, mobile content and definition by type were defined through surveying literature and will examine what kind of design prototype should be met to improve the emotional response in designing the relational app through the result of "Pleasure" emotional response of user according to I(Image), V(Voice) and M(Motion), and will contemplate the attribute of media, when the relationship of media to user are incessantly changing.

      • 기업의 규모와 성장결정요인

        서정대 ( Jung-dae Suh ) 한국중견기업학회 2010 중견기업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기업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그러한 요인들이 기업의 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개의 제조업체를 . 600 기업 규모별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실증분석 하였다. 규모에 관계없이 전체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경영환경 여건, 기업의 내부적 특성, 기업의 전략 등 요인들이 각각 기업의 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기업의 규모를 기준으로 그룹으로 구분하여 각각 동일한 분석을 실시하였을 때에는 위의 경우와 달리, 그룹별로 각각 상이한 결과를 얻었다. 중소기업과 중소기업 범위를 벗어난 중견기업 간에 차이와 중소기업 내에서도 규모 간에 차이를 나타낸 이러한 결과는 해당 기업뿐만 아니라 규모별로 차별적인 정책이 필요하다는 중요한 시사점을 가진다. 본 연구는 분석대상을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제조업체에 국한하고 설문결과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한계를 가진다. 제조업을 포함하거나 그 이외의 업종, 또는 보다 규모가 큰 메크로 데이터, 보다 다양한 변수 등을 활용한 폭 넓고 심층적인 연구가 향후에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determinants of firm growth, focusing on the differences across the size of firm. The survey results of 600 manufacturing firms including SMEs and LEs are used for the empirical test. The results show that the factors affecting firm growth differ not only between SMEs and LEs, but also among the groups of SMEs by size. The results show that three determinants, business environment, firm's characteristics and business strategies, have shown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growth of firm. However, when dividing the sample into three groups by the employment size, it has shown considerably different results. The determinants of growth are considerably different between SMEs and LEs as well as among SMEs by the size. It is support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at smaller firms are more sensitive to the fluctuation of business conditions than the larger firms are. It implies that for the smaller firms' stability and growth the government should pay more attention on the factors of macroeconomic stability. And also the results support that the strategies of firms themselves sh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ir size and it is suggested that the appropriate government policy measures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the size of firm.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벤처기업 CEO의 카리스마적 리더십행위와 구성원의 조직몰입 : 성취욕구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서정하(Jung-Ha Suh) 한국인사관리학회 2005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29 No.3

        본 연구는 2005년 4월 현재 한국벤처기업협회에 등록된 50여개의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벤처기업 CEO의 카리스마적 리더십행위와 구성원의 조직몰입간의 관계를 실증분석한 연구이다. 또한 기존의 벤처기업리더십 연구에서 거의 다루지 않았던 추종자 특징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위하여 벤처기업 구성원의 성취욕구가 벤처기업 CEO의 카리스마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조절작용을 할 것이라는 가설을 증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문헌조사를 종합, 분석하여 연구모형을 정립한 뒤,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SPSS for Windows 12.0 패키지를 활용하여 가설을 검정하는 연구이다. 먼저 카리스마적 리더십행위의 주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선형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또한 독립변수(카리스마적 리더십행위)와 종속변수(조직몰입)간의 성취욕구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절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기업환경 변화에 민감하고 기술혁신, 신기술도입, 자기개발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하는 벤처기업에서는 CEO의 카리스마적 리더십행위가 구성원들로 하여금 조직몰입을 유발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본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 또한 벤처기업에서는 리더가 발휘하는 카리스마적 리더십행위에 대하여 성취욕구가 높은 구성원이 성취욕구가 낮은 구성원보다 조직몰입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성취욕구의 긍정적인 조절효과가 증명되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ypotheses for the effects of CEO's charismatic leadership behaviors and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tment of 50 Korea venture businesses registered in Korea Venture Business Association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followers' characteristics in recent venture business leadership studies, it is proposed that charismatic leadership behaviors will positively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t is also proposed that the followers' need for achievement(N-Arch) moderates in the relationship of charismatic leadership behavior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fter descriptive survey, research model setup, and field survey, this experimental study investigated the above mentioned hypotheses thru SPSS for Windows 12.0. It involved linear regression analysis to reveal the significant main effect of the charismatic leadership behaviors. It also revealed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to reveal th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f need for achievement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charismatic leadership behaviors) and dependent variable(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ults revealed that CEO's charismatic leadership behaviors positively affect to its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under change-oriented and innovative new technology drive, self-developing environments of venture business in Korea. Results also revealed that high N-Arch followers are more positively responding toward leadership behaviors than the low N-Arch which means the interaction of N-Arch was positively significant for the relation of charismatic leadership behavior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