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심외주시 훈련용 주변부 망막의 생리적 가중에 관한 연구

        서재명,이기영 한국안광학회 2013 한국안광학회지 Vol.18 No.4

        목적: 황반변성을 가진 저시력 환자의 중심외주시 훈련에 사용되는 망막 주변부의 특성을 조사하여 재활치료용주변시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방법: 정상 시각을 가진 30명의 성인 남녀의 우안을 대상으로 중심와에서 20o 이측으로 떨어진 망막 주변부의 생리적 가중을 측정하였다. 표적은 원형의 수직형 정현파였으며 공간주파수 0.7 cpd 와 3.0 cpd를 사용하여 공간적 가중과 시간적 가중의 임계값을 비교하였다. 결과: 0.7 cpd에서 시간적 가중의 임계점은 540 ms, 대비감도는 1.1이었으며 3.0 cpd에서는 315 ms, 대비감도는 0.98이었다. 0.7 cpd에서 공간적 가중의임계점은 11.3o, 대비감도는 2.8이었으며, 3.0 cpd에서 임계점은 5o, 대비감도는 2.63이었다. 결론: 주변시는 중심시보다 더 빨리 임계점에 도달한다. 중심외훈련시에는 저주파대역을 대상으로 긴 시간동안 훈련하기 보다 짧은 시간동안 자주 훈련하기를 권장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ipheral vision and provide people with macular degeneration with a guideline for eccentric viewing training. Methods: 30 adult subjects with normal vision took part in this study. The lateral area of 20o eccentricity from the fovea of right eye was only used to measure the physiological summation. The target was sinusoidal vertical gratings within a circular aperture. The critical points in spatial and temporal summation was found to compare each other for 0.7 cpd and 3.0 cpd, respectively. Results: Critical duration and contrast sensitivity for 0.7 cpd were 540 ms and 1.1, and 315 ms and 0.98 for 3.0 cpd respectively. The critical degrees and contrast sensitivity for 0.7 cpd were 11.3o and 2.8, and 5o and 2.63 for 3.0 cpd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critical point in peripheral vision reaches relatively faster than the one in central vision. It is recommended to train the peripheral retina under the lower spatial frequency more frequently for a short time than constantly for a long time.

      • KCI등재

        동측성 반맹시 환자의 재활치료용 시분할 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

        서재명,박근호,허민영,정주현 한국안광학회 2014 한국안광학회지 Vol.19 No.3

        It is investigated whether the time division system can extend the field without diplopia for people withhomonymous hemianopia. Methods: The time division system was manufactured by a modified mini fan and ablack cardboar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equipment, subjects with and without the equipmenttook part in the experiment to bisect the space and to recognize letters. Results: Subjects with and without theequipment showed +8.91 and +18.14 degrees in the experiment to bisect the space. In the experiment reading theletters and numbers with the equipment, there were 9 percentage point increase in 4×4 charts and 15 percentagepoint increase in 6×6 charts.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a remarkable improvement for the worst group forreading the charts. Conclusions: The time division system is effective in the mobility and orientation for peoplewith homonymous hemianopia. 시분할 장치가 동측성 반맹시 환자의 재활치료용 프레넬 프리즘으로 인한 복시 현상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소형 모터와 마분지를 사용하여 시분할 장치를 제작했다. 시분할 장치의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시분할 장치 전후 걷는 방향과 문자에 대한 인식을 비교 분석했다. 결과: 공간의 이등분할 실험에서 시분할 장치 전 피검자의 방향각은 +18.14o였으며 장치 후의 방향각은 +8.91o로 나타났다. 시분할 장치 후 4×4시표의 문자 인식 실험에서는 정답률이 9%P, 6×6시표에서는 15%P가 증가했다. 특히 정답률이 낮은 군에서 효과가 더 뛰어났다. 결론: 시분할 장치는 동측성 반맹시 환자의 방향성이나 운동성에도 좋은 결과를 보였다.

      • KCI등재

        중심외주시 훈련 후 망막 외망상층에서의 신경 재조직화

        서재명 한국안광학회 2014 한국안광학회지 Vol.19 No.2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perties and the location of neural reorganization followingeccentric viewing training. Methods: 14 subjects with normal vision took part in eccentric viewing training. Themeasurements of the light sensitivity and multifocal electroretinogram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training. Results: The measurements of the light sensitivity and multifocal electroretinogram for pre-eccentricviewing training and post-eccentric viewing training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p<0.047 and p<0.028,respectively). Conclusions: The retinal outer plexiform layer is unable to regenerate. However, the neuralreorganization in the retinal outer plexiform layer is able to take place following eccentric viewing training. 단기간의 중심외주시 훈련 후 발생하는 신경의 재조직화의 특성과 호발 위치를 알아보고자 했다. 방법: 정상시력을 가진 성인 14명을 대상으로 21일 간 중심외주시 훈련을 하고 훈련 전후 광지각도와 다국소망막전위도를측정하여 사후 분석했다. 결과: 중심외주시 훈련 전후 값을 비교한 광지각도 검사(p<0.047)에서 뿐만 아니라 다국소망막전위도 검사에서도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p<0.028). 결론: 시각 말초신경계는 재생이 불가능하지만 단기간의 중심외주시 훈련은 말초신경계에서 신경 재조직화를 발생시킨다.

      • KCI등재

        중심외주시 훈련 후 주변시야에서의 대비감도 변화

        서재명,이기영,임용무 한국안광학회 2014 한국안광학회지 Vol.19 No.1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improvement in peripheral vision following eccentricviewing training. Methods: 14 subjects with normal vision took a part with their right eye, peripheral retinalwhich is 20o lateral area from the fovea was examined for contrast sensitivity(CS). Eccentric viewing training wasperformed for 21days with an hour image viewing and examination was repeated. Results: The critical durationsfor 0.7 cpd were increased 2.67(467 ms) for pre-eccentric viewing training to 2.79(616 ms) for post-eccentricviewing training (p>0.05). The critical durations for 3.0 cpd were also increased 2.53(341 ms) for pre-eccentricviewing training to 3.04(1102 ms) for post-eccentric viewing training (p>0.05). Conclusions: It is recommendedto use higher spatial frequency with higher CS for eccentric viewing training and to train more frequently for ashort time. Moreover, the study on Korean standardizing of the visual rehabilitation for low vision based on theetiology is sorely required. 중심외주시 훈련 전후 대비감도를 검사하여 망막 주변부의 기능적 개선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정상시각을 가진 14명의 성인 남녀의 우안을 대상으로 중심와에서 20o 이측으로 떨어진 망막 주변부의 대비감도를 검사했다. 60분간 영상을 21일 동안 중심외주시 훈련 후 대비감도를 다시 검사하여 사후 검정했다. 결과: 시간적 가중에 따른임계점 분석에서 중심외주시 훈련 전 0.7 cpd에서 임계점은 2.67(467 ms)이었으며 훈련 후 2.79(616 ms)로 증가했다(p<0.05). 훈련 전 3.0 cpd에서 임계점 역시 2.53(341 ms)이었으며 훈련 후 3.04(1102 ms)로 증가했다(p<0.05). 결론: 중심외주시 훈련시 선명하고 작은 글씨체의 문자로 훈련하는 것을 권장하며 짧은 시간동안 자주 반복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아울러, 저시력 환자에 대한 각 병변별 시재활훈련을 할 수 있는 기준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다.

      • KCI등재

        융합대비에 따른 주시시차와 조절의 변화

        서재명 한국안광학회 2009 한국안광학회지 Vol.14 No.4

        Purpose: To study the change of fixation disparity and accommodation as fusion contrast is deteriorated. Methods: 16 subjects who had above 20/20 and stereopsis took part. Monocular and binocular refraction were done with Zeiss Polatest Classic whereas the critical angle for stereopsis was done with TNO. A computer programmed with Random-Dot stereogram and vernier test managed a precise change of the fusion contrast and exposure time. Results: The fixation disparity was influenced by reduction of fusion contrast and had tendancy to exophoria (p=0.0004), especially it is considerably higher when uncrossed disparity was shown to exophoric subjects. Although accommodation was not influenced by a change of fusion contrast (p=0.803), vernier acuity was influenced (p=0.0000). Conclusions: Exophoric trend arose as the fusion contrast was reduced, nevertheless there was no accommadative change. 목적: 융합대비의 변화에 따른 주시시차를 추적하며 동시에 버전스 체계와 밀접한 조절의 관계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방법: 양안 교정시력이 1.0이상이며 입체시 지각이 확인된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굴절 및 양안시 검사는 Zeiss Polatest Classic을 사용하였으며 입체시차는 TNO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난점 입체시표와 배열시표는 프로 그램화 된 컴퓨터를 사용하여 대비의 변화와 시간을 정확히 제어하였다. 결과: 주시시차는 융합대비의 감소에 따라 안구는 외전성 경향을 보였다(p=0.0004). 외사위안에서 비교차성 비대응 결상시 융합대비가 감소할수록 외전현상이 더욱 두드러졌다. 융합대비의 변화는 조절에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p=0.803) 배열시표에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 혀졌다(p=0.0000). 결론: 융합대비가 저하될수록 안구는 외전성 경향을 보이나 조절의 변화는 없다.

      • KCI등재

        대비감도를 사용한 캐나나 내 저시력 환자와 정상인의 시기능 분석

        서재명 한국안광학회 2009 한국안광학회지 Vol.14 No.3

        Purpose: It is said that persons with low vision (LV) require larger object and longer exposure time to make a visual judgment. The spatial summation stands for the increasing of contrast sensitivity (CS), as the target size is enlarged. Likewise, the term temporal summation is used when the CS increases as the exposure duration is extended.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whether or not greater target and longer exposure duration is required for LV subjects than for control subjects. Methods: Twenty subjects with LV and twenty age-matched controls took part in the study. The CS was measured with a 2 alternative forced choice stair case for 0.7 and 3.0 cycle per degree (c/d) static sinusoidal gratings within a circular aperture.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mixed ANOVA (2). Results: As expected, the CS in the LV group were overall depressed. For spatial summation, mixed ANOVA (2 groups2 spatial frequencies) gave p values of 0.13 for the effect of group, 0.14 for spatial frequency and there was no interaction (p=0.59). Similarly, for temporal summation the results were p=0.19 for group, 0.31 for spatial frequency and p=0.95 for interaction. Conclusions: Despite the depression of CS in the LV group,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spatial and temporal summation between two subject groups was not reached. 목적: 저시력 환자의 경우에 시각적 판단을 위해서 물체의 크기와 노출시간이 상대적으로 커져야 할 필요가 있다 고 알려져 왔다. 물체의 크기에 따른 대비감도의 증가를 공간적 가중이라 하며 노출시간에 따른 대비감도의 증가를 시간적 가중이라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저시력 환자들이 시각적 판단 시에 실제로 정상인 보다 큰 물체와 긴 시간 을 필요로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명의 저시력 환자와 20명의 정상대조군을 대상으로 원형의 사인파 격자무늬를 갖는 두 개의 공간주파수 0.7c/d와 3.0c/d로 대비감도를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혼합형 ANOVA(2) 를 이용하였다. 결과: 저시력 환자에서의 대비감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군간 공간적 가중의 변화는 없었으며(p=0.13) 공간주파수간 차는 0.14였으며 이들 간의 상호작용도 유의성이 없었다(p=0.59). 마 찬가지로 시간적 가중에서도 군간 시간적 가중의 변화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며(p=0.19) 공간주파수간 차와 상 호작용도 유의성이 없었다(각각 p=0.31, p=0.95). 결론: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저시력 군에서 대비감도가 크게 저하 되었으나 물체의 크기와 노출시간에 따른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 KCI등재

        독일식과 영미식 주시시차에 대한 방법론적 분석

        서재명,윤정호,한상복 한국안광학회 2018 한국안광학회지 Vol.23 No.4

        Purpose: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ocular deviation in bright and ambient rooms and compare the fixation disparity using the German binocular measurement methodology Mess und Korrektionsmethodik nach Haase (MKH) to the one based on the idea of anglosphere. Methods: Thirty-five subjects from the adult age group involving no specific ocular disease and greater than 0.8 visual acu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conventional MKH in Germany was modified for this study. Results: There was a change in ocular deviation in 6 subjects (age ≤30 years), depending on the change in the luminance in the room. Four of those showed adduction and two showed abduction in tendency, which was not statistically analyzed because of the lack of sampl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ixation disparity by MKH and the one by the idea of anglosphere (15.7±12.4' and 65.4±52.8', respectively; p=0.001). Conclusions: It is considered that the change in luminance in a room has a tendency of unstable ocular deviation especially in younger people. There is a quantitatively huge difference between the anglosphere and German logical methodologies in measure. 목적: 명실과 반암실에서의 안위변화를 알아보고 독일식 양안시 검사법 MKH와 영미식 검사법에 따라 주시시차를 측정하고 비교한다. 방법: 안질환이 없으며 교정시력 0.8 이상인 다양한 연령대의 성인 35명을 대상으로 MKH 를 실시했다. MKH는 전형적인 절차를 따르지 않고 본 연구 목적에 적합하게 수정되어 사용되었다. 결과: 조도의변화에 따라 전체 35명 중 6명(30세 이하)에게서 변화가 나타났으며 그 중 4명은 어두울수록 내전 경향을 보였고 2 명은 외전 경향을 보였으나 샘플 수가 작아 통계적 의미를 확인할 수 없었다. 독일식 검사법에 의한 주시시차는15.7±12.4', 영미식 방법에 의하면 65.4±52.8'로 나타나 분명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결론: 검사실에서의 조명은 젊은 연령대에서의 안위에 변화를 주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되며 독일식 및 영미식 주시시차는 논리적 측정방법에서 상호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