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절염 환자의 노쇠와 구강건강이 주관적 기대여명에 미치는 영향

        백원희(Wonhee Baek),서유진(Yujin Suh)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6

        Subjective life expectancy subjectively refers to an individual's expectation of the possibility of survival in the future, and is not a simple subjective evaluation, but an important health indicator that allows people to make decisions, plan, and control their own behavior in relation to health promotion. This study analyzed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to determine whether frailty and oral health affect the subjective life expectancy of patients with arthritis aged 55 or older. In order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participants' subjective life expectancy, multiple linear regression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In the final model the subjective life expectancy decreased as age increase. Subjective life expectancy was higher in the case of having a spouse, high income, working, the better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Compared to healty participants, the subjective life expectancy was lower in the pre-frailty and the frailty. The higher the oral health, the higher the subjective life expectan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f the oral health is maintained positively and subjective life expectancy is increased by providing interventions to prevent frailty, arthritis patients will live healthier lives with high expectations regarding subjective life expectancy in a positive direction. 주관적 기대여명은 주관적으로 개인이 앞으로 생존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을 의미하며, 단순한 주관적 평가가 아니라 건강증진과 관련하여 스스로 의사결정을 하고 계획하며 행동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중요한 건강지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55세 이상 관절염 환자의 노쇠와 구강건강이 주관적 기대여명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다중 선형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정하였다. 대상자는 총 1,291명으로 평균연령은 73.9±8.5세였고, 여성이 1,044명(80.9%)이었다. 최종 모형에서 55세 이상 65세 미만과 비교하여 65세 이상에서 75세 미만인 경우(β=-6.72, p=.001), 75세 이상에서 85세 미만인 경우(β=-16.06, p<.001), 85세 이상인 경우(β=-22.26, p<.001) 주관적 기대여명이 감소하였다. 배우자가 있는 경우(β=2.92, p=.040), 소득이 높은 경우(β=0.00, p=.047), 일을 하고 있는 경우(β=8.35, p<.001),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β=2.70, p=.002) 주관적 기대여명이 높았다. 건강한 대상자에 비하여 노쇠 전단계일 경우(β=-4.70, p=.001)와 노쇠할 경우(β=-8.21, p<.001) 주관적 기대여명이 낮았고, 구강건강이 높을수록 주관적 기대여명이 높았다(β=0.35, p<.001).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관절염 환자의 구강건강을 긍정적으로 유지 시키고, 노쇠를 예방하는 중재를 제공하여 주관적 기대여명을 높이게 된다면 대상자는 기대 여명에 대해 긍정적인 방향으로 높은 기대감을 가지고 더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