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미·일 중학교 미술교과서의 디자인 관련 내용 비교 분석

        서예식(Surh Ye-Sik) 한국미술교육학회 2003 美術敎育論叢 Vol.17 No.-

        중학교 미술교육에서 이루어지는 디자인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해, 한국, 미국, 일본의 대표적인 교과서를 선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시각을 기본으로 하는 미술과의 특성상 교과서의 외형 및 체제와 함께, 디자인 관련 단원을 선정하여 학습 내용, 참고 도판, 조형요소, 표현재료를 중심으로 차이점과 공통점을 상호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 미술 교과서의 디자인 수준을 올리기 위해서는 공급제도를 비롯한 다각적인 검토가 필요하며, 디자인 관련내용의 논리적 배열의 미흡함을 보완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디자인의 요소와 원리를 기본으로 조형 세계의 이해를 위한 기초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디자인 영역에 새롭게 수용되는 동영상에 대한 접근도 사진적 시각을 기본으로 재검토되어야 할 것이라고 본다. 주제어 : 디자인 교육, 미술 교과서, 한국·미국·일본, 교과서 비교 Trying to get better ways to improve Art textbooks in Korea, I chose Korean, Japanese, American Art textbooks and compared them by analyzing not only their cover pages, system, and layout but also contents, picture reference books, elements and principle of design, materials that are all shown on Design chapters. As a result, to promote the standard of design of the Korean textbooks, I would like to make some suggestions as followed. 1. We should examine whole supply systems. 2. We should make up the lack of logical layout. 3. We should construct basic knowledge of fine art based on principles and elements of design. 4. We should reconsider approaches to motion picture which becomes great role in design with camera eye. Key words : design education, fine art textbook, Korea, Japan, and America, Comparison of fine art textbook

      • KCI등재

        우수 수업 사례 관찰을 통해서 본 중등미술 교과 장학 방안

        서예식(Surh Ye Sik) 한국미술교육학회 2007 美術敎育論叢 Vol.21 No.1

          미술 수업의 중요성에 비해 그 개선을 도모하는 미술교과 장학에 관한 논의는 매우 미미하다. 본 연구는 현장의 교실 수업 개선을 위한 교과 장학 방안으로 실시한 ‘K’도 교육청 수업실기연구대회에서 입상한 중등 미술 교사의 수업을, 참여적 관찰자적 입장에서 교사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 ‘좋은 미술과 수업’을 위해 노력하는 교사는 미술의 특성에 맞는 교수방법을 개발하는 교과 내적인 노력과 함께 교과 외적인 요인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노력한다. 미술과 장학은 ‘고립된 존재’로서의 미술교사를 지원하고 네트워킹해주는 일이다. 비디오는 미술과 수업 관찰 수단으로서, 인터넷은 우수 수업 모델을 일반화하고 고립된 미술교사를 연결해주는 데 유용하다.   An instruction is the core in all educational discussion. The discussion for the promotion of study to improve an instruction of the art class is the institutional condition as compared with the importance. This research was mainly examined as a viewpoint of the participant observer through the art class of the secondary education, which is selected at the competition of the practical instruction research.<BR>  Through the survey of the art class of the secondary education(the competition of the practical instruction research), I looked into the environmental elements which were surrounding the secondary education. Also I tried to provide the realistic program of the encouragement of study in the art class.<BR>  Then I acquired the conclusion that a teacher who makes an effort for the beneficial art class tries to develop a teaching method which is suitable for a characteristic of the art, as well as to solve a critical mind about the environmental elements in the external courses.<BR>  The encouragement of study in the art class is general support for the agony about what we teach and how we teach.<BR>  Therefore, we need progressive cooperation, progressive support, and networking them with the result of organizing and managing a curriculum in the art classes of the secondary education.<BR>  We could know particularly that the video is useful for a way of observation in the art class, and internet is needed to make a generalization ‘isolated art teacher’ broadly. It is effective that an effort to connect isolated art teachers with carring out a psychological compensation sche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