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니클라스 루만의 권력이론

        서영조(Suh Young-Jo),김영일(Kim Young-il) 21세기정치학회 2009 21세기 정치학회보 Vol.19 No.2

        No one can doubt power is a core concept of political science. Nonetheless, political scientists have averted their eyes from it. Rather it has been well discussed in such disciplines as philosophy and sociology. Under these circumstances, political scientists first need to learn all aspects of debates over power undertaken in other disciplines. This paper aims to find a clue for political-scientific discussion on power by introducing the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f power theory that a distinguished sociologist Luhmann provided. Luhmann's theory of power comprises three dimensions as a whole. First, a critique over so-called 'classical theory of power' in which Luhmann gives strong criticism against causal standpoints and ontological presumptions that the classical theory of power assumes. Second, based on this criticism, Luhmann understands power not as an instrument for repression and coercion but a communication medium necessary for the well-functioning of a society. Third, Luhmann accesses to the traditional concept of power by perceiving it as negativity. Here, 'negative' means that power should not be exercised. The exercise of power means the frustration of power. Lumann's theory of power can be featured as below. First, he emphasizes the productivity of power by regarding power a communication instrument rather than an instrument for repression. Second, Luhmann, in the perspective of radical constructivism, understands power as “a decentralized and rule-based operation with a well-coordinated elements of a meta-subjectively constructed system.” That is, constructivism that considers power as ‘observation of observation’ does not adopt oppressions observed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s, but instead deals with a social function of power as a code of dominance and submission. Third, Luhmann views a power as an authentic form of medium in a political system which is another form of a system in a society. It means reduction in the function of power. Finally, there exists a theoretical tension between power as communications and power as negative sanctions in Luhmann's theory. He attempts to solve such a tension by separating power itself and means of power. In conclusion, power is not a simple means of oppression, but a smart strategy of submission that communication participants pursue for successful communications.

      • KCI등재

        근대를 보는 두 시각

        서영조(Suh Young-Jo) 21세기정치학회 2002 21세기 정치학회보 Vol.12 No.1

        This article explores and compares the two perspectives on modernity> the humanitarian and the anti-humanitarian. The former employs such metaphysical concepts as freedom, equality, repression and emancipation, while the latter prefers such sociological terminologies as secularization, differentiation and systems. Those two perspectives provide a fundamentally different understanding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modernity, which eventually leads us to have a conflicting view on the relationship among man, society and history. According to the humanitarian perspective, man has always longed for the paradise lost. In contrast, the anti-humanitarian perspective argues that what was lost is the paradigm able to grasp the society as a whole, not the paradise.

      • KCI등재

        자기생산체계로서의 정치체계

        서영조(Suh, Young-Jo) 사회와철학연구회 2013 사회와 철학 Vol.0 No.25

        루만의 ‘새로운’ 정치이해의 핵심은 정치체계가 사회의 다른 여러 기능체계들 중 하나에 불과하다는 인식에 있다. 기능적으로 분화된 사회에서는 정치를 사회의 조종 중심으로서, 윤리적 책임으로서 간주하는 것은 시대착오적이다. 정치는 자기생산체계로서 정치체계에 속한 커뮤니케이션의 일종에 불과하다. 정치의 본질은 존재하지 않는다. 정치 또한 다른 사회적 기능과 마찬가지로 사회적 필요로서 존재할 뿐이다. 루만의 탈전통적인, 기능적-구성적인 정치이해는 정치체계가 어떻게 스스로를 구성하는가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잘 드러난다. 정치체계는 매체, 코드, 기능을 가지고 스스로를 형성하는 자기생산체계라는 것이다. 정치체계의 형성은 권력이라는 매체의 형성과 깊이 연관되어 있는데, 이때 권력은 억압의 수단이 아니라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매체이다. 그리고 커뮤니케이션의 ‘기술화’를 위해서 매체는 코드화되어야 하는데, 정치체계는 권력우세/권력열세라는 코드에 근거하고 있다. 한 기능은 한 체계에 속한다는 체계분화의 개념에 따라 정치체계의 형성은 ‘집합적으로 구속하는 결정의 마련’이라는 기능의 특화에 또한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루만의 ‘새로운’ 정치이해의 의의는 단순히 새로움을 넘어서서 정치의 패러다임을 바꾸는데 있다. 사회의 성격의 변화와 더불어 나타난 정치의 새로운 현실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정치의 우월성이라는 전통으로부터 벗어나야 할 때 라는 것이다. The heart of Luhmann"s new understanding of politics lies in the insight that the political system is only one of the various functional systems of a given society. He argues that it is out-dated to regard politics as the center of controling a society and the ethical responsibility in the functionally differentiated society. Politics is nothing other than a kind of communication which belongs to the political system. The nature of politics does not exist. It only exist as a social necessity such as the other social functions. We can understand better Luhmann"s de-traditional, and functionalconstructive understanding of politics, only if we know the process in which the political system is formed. It is an autopoietic system which forms itself with medium, code and function. The forming the political system relates deeply with the forming power as a medium. Here power is not understood as a means of restriction but a medium for communication. And the medium needs to be coded for being technicalized. The political system is based on the code in terms of power-superior/ power-inferior dimension. According to the concept of system-differentiation which means that one function belongs to one system, the political system depends also upon the specification of function, namely ‘to get ready collectively binding determin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new understanding on politics lies in changing the paradigm of politics. To exactly understand the new reality of politics which emerges with the changing character of a given society, we need to go beyond the traditional idea which has regarded politics as the superior one.

      • KCI등재

        루만의 국가이론

        서영조(Suh Young-Jo) 21세기정치학회 2015 21세기 정치학회보 Vol.25 No.2

        This paper deals with Luhmann’s theory of the state. We consider the state as obvious. But thinking over the concept more deeply, we tend to use it in somewhat ambiguous way. This conceptual diversity or ambiguity of the state is a starting point of Luhmann’s theory of the state. He observes this ambiguity in more general view of the obsolescence of political concepts. According to him, many of those concepts are too obsolescent to explain the reality of today’s politics. The problem lies in the fact that they are still in use.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refine such mis-used political concepts into appropriate concepts which can be well harmonized with today’s social reality in which our society is functionally well-differentiated. Luhmann also argues that the concept of the state copes with not much different situation. Shortly, the core of his theory of the state lies in the clarification of its concept. He claims that sociology should take this academic burden since political science has no more ability to do it. The sociological perspective is characterized by the application of the differentiation theory to the concept of the state. In the dimension of functional differentiation, the state means the political system while in the dimension of the internal differentiation of the political system it indicates the state organizations and in the dimension of the world political system it refers to a territorial nation-state. Showing such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tate, he argues, he can solve the problem of ambiguity inherent in the concept of the state. However, many critics maintain that Luhmann’s theory of the state contains contradictory statements. In fact, we can find some evidences for such critics throughout Lumann’s works. However, what he really intend is paradoxically to clarify the concept of the state by revealing its ambiguous usage. He argues that we must consider the state as semantics in one case, as the central organizations of the political system in another case, and as the action-subject of the world political system in the other case.

      • KCI우수등재

        니체의 자유주의 비판: ‘군집동물화’ 로서의 자유주의

        서영조(Suh Young-Jo) 한국정치학회 1997 한국정치학회보 Vol.31 No.4

        니체는 자유주의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는 “자유 의지”를 부정하면서 자유주의를 비판한다. 자유 의지란 그에 의하면 인간들을 단죄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허구적 개념에 불과하다. 그에게 있어서 인간의 삶은 근본적으로 ‘비도덕적’인 것이다. 니체는 비도덕적인 인간의 삶이 ‘도덕’의 지배가 시작되면서부터 도덕적 성격을 띠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인간이 도덕적인 존재가 되었다는 것은 그에게 있어서 자유의 상실을 의미한다. 이렇게 볼 때 니체에게 있어서 근대는 주체의 자유에서부터 출발하는 특별한 시기가 아니라, 주체의 자유를 부정해 온 오래된 역사의 연속에 불과하다. 도덕과 자유는 상호배타적일 수밖에 없다는 관점에서 니체는 자유의 회복, 즉 해방을 ‘도덕의 극복’에서 찾는다. 그런데 니체가 말하는 해방은 결코 지배의 종식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는 지배와 그 수단인 강제와 폭력은 인간 사회가 벗어날 수 없는 필연이라고 주장한다. ‘폭정’은 인간 사회의 숙명이다. 따라서 니체에게 있어서 문제는 지배냐 지배의 종식이냐가 아니라 어떠한 종류의 지배냐 하는 것이다. 도덕에 의해 지배받는 사회의 ‘폭정’과 도덕으로부터 해방된 사회의 ‘폭정’은 폭정인 한에서 다를 바 없다. 그러나 전자가 도덕의 본질인 증오와 복수에 기초하면서 인간을 타락시키는 반면에, 후자는 ‘선과 악을 넘어서서’ 인간을 번영시키는데 그 본질적인 차이가 있다.

      • KCI우수등재

        허위의식으로서의 정의 : 맑스의 정의 비판

        서영조(Young Jo Suh) 한국정치학회 1996 한국정치학회보 Vol.29 No.4

        ??이 논문의 목적은 맑스의 정의에 대한 얼핏 모순되는 언급들에 관통해 나타나는 일관된 내적 논리를 찾아보는데 있다. 맑스는 정의이념 자체를 비판했다는 것이 결론인데, 구체적으로 말하면 맑스는 한 특정한 사회에 기능하고 있는 정의, 예컨대 부르조아적 정의를 그 자체가 ‘허위적’이기 때문이 아니라, 정의라는 이념 자체가 허위적이기 때문에 비판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때만이 자본주의는 맑스에게 있어서 정말로 정의로운 사회체계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의는 그의 비판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 라는 주장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정의라는 이념 자체가 그것이 근거하고 있는 이념-자유, 특히 평등이란 이념-을 실현할 수 없는 한에 있어서, 정의는 이데올로기적 허구라는 것이 맑스의 정의관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맑스는 정의를 이데올로기 비판의 관점에서 논의하고 있는 것이다. 정의의 이데올로기성을 주장함으로써 맑스는 정의를 최상의 사회가치의 하나로 여겨온 정의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와 정면으로 충돌한다. 맑스에게 있어서 정의란 이념 자체가 부르조아적인 것이며, 따라서 정의는 실현의 대상이 아니라 극복의 대상인 것이다.

      • 맑스의 이상사회론

        서영조(Suh Young Jo) 한국정치사상학회 2002 정치사상연구 Vol.7 No.-

        이 글은 맑스의 이상사회론이 지닌 이중성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맑스의 사상에는 유토피아적인 것과 반유토피아적인 것이 혼재하는 ‘이론적 긴장’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 이론적 긴장은 우선 그의 이상주의 비판과 관련하여 나타난다. 그는 관념적인 이상을 철저히 비판하고 있지만, 인식과 서술 나아가 올바른 사회질서를 위한 이상의 필요성 또한 인정하고 있다. 다음으로 지적할 수 있는 이론적 긴장은 이상사회와 관련된다. 즉, 맑스는 유토피아적 정치관을 그 누구보다도 경멸하고 있지만, 자신의 서술 속에서 유토피아적인 것 을 찾기란 그리 어렵지 않다. 이 이중성은 어떻게 해소될 수 있는가? 맑스는 이를 유물론과 실천론을 통해 극복하고자 한다. 그는 물질적 토대로부터 유추되는 실제적 이상에 근거하여 단순히 머리로부터 나오는 관념적 이상을 비판하고 있으며, 사회적 토대와 분리된 추상적인 이상사회를 혁명적 실천으로부터 자연스레 결과되는 이상사회를 대체하고 있다. 요컨대 맑스에게 있어서 문제는 이상 그 자체가 아니라 그 이상의 초월성과 내재성이다. 그는 과학과 실천을 결합시킴으로써 모든 이상주의자들로부터 자신을 구분시키고 있다 하겠다.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the duality lying in Karl Marx's theory on the ideal society. The duality derives from the fact that a theoretical tension exists within the Karl Marx's theory, which is utopian, and simultaneously, ami-utopian. The theoretical tension is best exemplified in his critique of idealism. Marx admits the necessity of ideal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right social order, while criticizing metaphysical ideals. The theoretical tension is also found in his description of the ideal society, in the sense that Marx's description are often utopian, while he despises utopian political views. How ist this duality to be dissolved? Karl Marx tries to overcome this duality by relying on theories of historical materialism and practices. He criticizes metaphysical ideals from the view of a realistic ideal based upon material foundation, and replaces a metaphysical ideal society separated from the social foundation with an ideal society consequently deriving from revolutionary practices. For Marx, what is at stake is not the ideal itself but the transcendence and the immanence of the ideal. In short, Karl Marx distinguishes himself from all the idealists by combining theory(science) and practice.

      • KCI등재

        정치와 사회 조종

        서영조(Young Jo Suh)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1 현상과 인식 Vol.35 No.1·2

        이 글의 목적은 루만의 정치의“조종 비관주의”에 근거하여 오늘날 정치가 처한 역설적 상황, 즉 모든 문제의 정치화와 정치적 무능력의 공존의 원인을 밝히는데 있다. 정치가 사회를 조종할 수 있다는 시대착오적인 정치인식이 바로 그 원인이다. 루만에 의하면 기능적으로 분화된 사회에서 각각 독자적인 자기생산체계로 분화독립화된 기능체계들 간의 조종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정치가 사회를 조종한다는 전통적인 정치 인식은 시대착오적이라는 것이다. 그리하여 그는 우리가 전통적인“확장적 정치이해”로부터 오늘날의 상황에 적합한“제한적 정치이해”로 넘어갈 때 비로소 정치의 현실을 똑바로 인식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 KCI우수등재

        루만의 ‘사회학적 도덕 이론’과 그 도덕 철학적 의미

        서영조(Suh Young Jo) 한국사회학회 2002 韓國社會學 Vol.36 No.5

        최근 도덕철학에 대한 논의는 호황을 누리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논의가 도덕적 설교에 머물러 도덕에 대한 과학적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 글에서 다루고자 하는 루만의 도덕이론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우선, 루만은 그간의 도덕이론이 현실성을 상실한 이유를 윤리학의 본질에서 찾고 있다. 즉, 윤리학은 선과 악을 구분한 다음, 스스로를 선한 쪽으로 놓음으로써 이데올로기가 되어 버렸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사회와 인간을 구분하지 않고 보는 인본주의적 전통의 당연한 결과이다. 루만은 인간과 사회를 체계-환경의 관점에서 파악하는 새로운 체계이론을 제안한다. 이에 의거해 그는 도덕의 본질을 묻는 대신 사회적 기능을 묻는다. 이러한 루만의 도덕이론은 또한 비판의 대상이다. 가장 중요한 비판은 그의 방관자적 태도이다. 이와 아울러 대부분의 비판자들은 그가 도덕의 기능을 중시한 나머지 도덕이론으로부터 도덕의 내용을 빼앗아 갔다고 비판한다. 이렇게 볼 때 루만의 도덕이론은 사드, 맑스, 니체 등으로 이어지는 도덕철학의 큰 흐름 가운데 하나인 반도덕적 또는 무도덕적 입장에서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들의 공통점은 도덕의 본질을 논증하기보다는 그 사회적 기원을 따짐으로써 도덕의 보편성을 공격하는데 있다. 물론 루만은 이들과 달리 도덕을 완전히 부정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그의 예측에 의하면 도덕은 사회의 기능적 분화가 심화되면 될수록 적용될 수 있는 범위가 현저히 축소할 것이다. 왜냐하면 첫째, 기능의 분화로 도덕이 등장할 수 있는 기회가 점점 줄어들고, 둘째, 가치의 다원화로 말미암아 도덕 스스로가 통합의 수단이기는커녕 오히려 분쟁의 씨앗이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Recently, much scholarly work has been done on the topic of moral philosophy. At the same time, there also has been numerous criticism that relatively little studies have attempted to construct a scientific explanation on morality. Among those, an important criticism comes from Luhmanns work. According to Luhmann, the fact that most work on moral philosophy has lacked reality is mainly due to the very characteristics of ethics. Ethics becomes an ideology by attempting to separate the good from the bad and place itself on the side of the former. This problem seems to result from the tradition of humanism which did not separate the human beings from the society. Luhmann provides a new system theory, which deals with the human beings and the society in terms of a system and its environment. With this mind, the question he tries to address is not the nature of morality, but its function in a given society. Many critics have criticized that Luhmann remains a spectator, however. They have also argued that Luhmann ignores the contents of morality by overemphasizing its function. From all this, it seems clear that Luhman follows Sade, Nietzsche, and Marx, all of those who attempted to attack the notion of morality, by digging into the societal origin of morality rather than its nature. In this vein, his view seems to belong to anti-or a-moralistic thought, one of the streams in the field of moral philosophy. Luhmann does not entirely deny the notion of morality. Nonetheless, to judge from his argument, the sphere where morality plays a crucial role would shrink gradually as the function of a given society becomes more and more specialized. Two reasons are important: first, there would be little chance that morality enters the stage and plays a key role in the society of which function becomes differentiated and complicated. Secondly, due to the fact that the values in a society also become diversified, it is highly likely that morality works as the seeds of conflict rather than as a tool for integrating a give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