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서영란 ( Young Ran Seo ),이수범 ( Soo Beom Lee ),김영규 ( Young Gyu Kim ) 한국공업화학회 2015 공업화학 Vol.26 No.1
Two new analogs of bestatin were prepared from D-leucine and D-valine in a stereoselective and efficient way. An aminopeptidase inhibitor bestatin shows significant biological effects on immunomodulation and is marketed for the treatment of acute myelocytic leukemia. The key intermediates, trans-oxazolidine methyl esters 2a and 2b, were obtained with more than 20 to 1 stereoselectivity in a one-pot procedure by the three cascade reactions between N-hydroxymethyl protected α-amino aldehydes (4a and 4b) and phenylsulfonylnitromethane (PhSO2CH2NO2) and the following in-situ ozonolysis. Basic hydrolysis of 2a and 2b, and then the peptide coupling with L-Leu-OMe produced the protected derivatives of two new bestatin analogs, 3a and 3b, respectively. The new isobutyl and isopropyl analogs of bestatin (1a and 1b) were produced in overall 51% and 38% yields, respectively, with high stereoselectivity from the corresponding protected α-amino aldehydes 4 in a six-step process.
가정환경 아동듣기평가(CHILD) 부모용 설문지의 한국어 번역 및 적용 연구
최재희(Jae Hee Choi),서영란(Young Ran Seo),장현숙(Hyun Sook Jang)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6 재활복지 Vol.20 No.4
가정환경 아동듣기평가 (Children’s Home Inventory for Listening Difficulties, CHILD)는 청각장애 아동의 가정환경에서의 듣기 어려움을 평가하기 위한 부모용 설문지로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도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CHILD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국내의 인공와우 착용 유아 및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함으로써 검사의 내적 신뢰도를 평가하고 아동의 가정환경 내 의사소통 및 청각 이해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인공와우를 착용한 청각장애 아동의 부모 55명(유아 27명, 초등 28명)을 대상으로 한국어 버전 CHILD 부모용 설문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내적일치도를 확인하였으며, 연령대(유아, 초등)와 평가요인(조용한 상황, 소음 상황, 먼거리 상황, 사회적 상황, 미디어 상황)를 비교하기 위하여 혼합요인 반복측정 분산분석 및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버전 CHILD의 전체 크론바흐 알파값은 .96(조용한 상황 .96, 소음 상황 .93, 먼 거리 상황 .82, 사회적 상황 .93)이었다. 연령대와 평가요인 간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으나, 초등 연령대의 점수가 유아 연령대에 비해 모든 상황에서 유의미하게 높았다. 전체 연령대에서 조용한 상황 요인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와 초등 연령대 양쪽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인 것은 사회적 상황 요인이었으며 분석 결과, 인공와우 착용아동들은 사회적 상황이 다른 듣기 어려운 상황과 결합될 때 특히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에서 CHILD 부모용 설문지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국내 임상에 적용한 결과는 유효하였으므로 한국어 버전 CHILD를 국내 가정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hildren’s Home Inventory for Listening Difficulties (CHILD) questionnaire has been applied for assessing listening and communication difficulties in various home situations for children with hearing los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translate the CHILD questionnaire for parents into Korean and verif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CHILD(CHILD-K). CHILD-K was completed by 55 parents of children (from ages 3~12 years) using cochlear implants (CI). Among the 55 children, 27 were in preschool and 28 in elementary.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of CHILD-K was verified by Chronbach’s alpha. The mixed factorial ANOVA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age group and situation factors (Quiet, Noise, Distance, Social, and Media factors) on the score of CHILD. The results indicated that CHILD-K showed excellent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α=.96). The CHILD scores among age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s the older age group resulted in higher scores in all situations except Distance. For both groups the mean scores for the Quiet situ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situations, and the mean scores for the Social situa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 situations. Moreover, analysis showed that children with CI had difficulties in the Social situation combined with other situation factor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Korean version of CHILD questionnaire is a reliable tool for the assessment of communication abilities in home situation in Korean-speaking children using CI.
박혜진(Hye Jin Park),한성아(Sung Ah Han),최재희(Jae Hee Choi),심상용(Sang Yong Sim),서영란(Young Ran Seo),장현숙(Hyun Sook J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학령기 인공와우 착용 아동의 생활연령 및 듣기연령에 따른 어휘력 발달 정도와 문장 및 담화 수준의 말지각 수행력, 그리고 말지각 수행력과 어휘력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일반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는 인공와우 착용 아동 25명(초등학생 12명, 중고등학생 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용·표현어휘력검사(REVT)와 말지각 검사(DASP)의 문장이해(SCT), 문장인지(SRT), 이야기이해(CST)검사를 실시한 후 수용어휘력과 말지각 검사 결과의 상관분석을 통해 각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인공와우 착용 아동 집단의 평균 수용어휘력은 생활연령이 같은 건청 또래에 비해 약 1년 6개월 지체되었으나, 집단 평균은 듣기연령이 같은 건청 아동의 수행 범위에 속하였다. 말지각 검사 결과는 검사연령 및 2세를 전후로 한 인공와우 이식연령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어휘력 정상 집단과 지체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어휘력은 문장 및 담화 수준의 말지각 검사 수행력과 유의미하게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그러나 어휘력이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문장 및 담화 수준의 말지각에서 어려움을 보이는 아동들이 있었다. 논의 및 결론: 인공와우 착용 아동들의 어휘력 수준은 듣기연령이 같은 건청 아동 수준을 보이나 여전히 지체를 보이고, 말지각 능력과 상관성을 보이므로 재활 시 문장 및 담화 수준에서 어휘능력 향상을 위한 재활지원이 필요하며, 개개인의 수준이 다양하므로 개별적 재활접근이 고려되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ceptive vocabulary knowledge and speech perception ability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CI) after assessing vocabulary knowledge in terms of chronological and hearing age, and speech perception ability at the sentence and discourse level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25 children with CI who received their first CI before the age of 6, had used CIs more than 6;6 years, had no other disabilities, and were attending regular elementary or secondary schools. Receptive vocabulary knowledge and speech perception ability were assessed with the REVT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and 3 subtests of KNISE-DASP (Korean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Development Assessment of Speech Perception), Sentence Comprehension Test, Sentence Recognition Test, and Connected Speech Test. Correlation analysis was also conducted between speech perception and vocabulary. Results: The average REVT equivalent age of the CI group was delayed for 1;10 years compared to the age-matched normal hearing peers, but was placed within the average range of normal hearing children when the hearing age was matched. The participants had some difficulties in speech perception, especially at the discourse level. The speech perception ability was highly correlated with vocabulary scores, but some students had difficulties in speech perception despite vocabulary knowledge comparable to their normal hearing peers. Conclusion: Difficulties in speech perception at the sentence and discourse levels could have resulted from a lack of vocabulary knowledge. The results suggest that aural rehabilitation programs should include treatment for the improvement of speech perception at the sentence and discourse levels.
인공와우 이식 아동의 말 지각에 관한 연구 : 만 6세 전ㆍ후에 수술한 아동의 말 지각 비교
김성곤,서영란,주미영 국립특수교육원 2008 특수교육연구 Vol.15 No.2
This study examined the timing suitable for transplanting Artificial cochlear by comparing two groups' ability differences of speech perception after we analysed as an object of this study both 15 children transplanted artificial cochlear under six years of age and 15 children transplanted artificial cochlear aged six and above. This study analysed hearing situations of both Auditory Only(AO) and Auditory Visual(AV) based on one syllable and two syllable examination of speech perception without any examples suggested by Kim, Soo-Jin(1988), and examined independent sampling t by using SPSS 12.0. As a resul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of speech perception between children's groups transplanted at the age of 6 more or less in the situations of AO and AV without any examples.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but generally children transplanted under more or less six years of age had a little more performance ability of speech perception than children aged six and above. It was shown that, by reconsidering the operation of artificial cochlear which has been thoughtlessly performed today, this study would be a basic material of study to examine efficient rehabilitation methods of hearing-impaired children through carefully considering the suited timing for transplanting artificial cochlear. 본 연구는 만 6세 이전에 인공와우 수술을 한 아동 15명과 만 6세 이후에 수술한 아동 15명을 대상으로 아동의 집단 간 말 지각 능력의 차이를 비교하여 적절한 인공와우 이식시기에 대해 알아보았다. 김수진(1998)의 1음절과 2음절 말 지각 검사를 보기가 주어지지 않은 청각만(AO)의 듣기 상황과 청시각적(AV) 듣기 상황에서 실시하여 SPSS 12.0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하였으며 그 결과로는 보기가 제시되지 않은 AO 상황과 AV 상황에서 만 6세 전·후에 수술한 아동 집단 간의 말 지각 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개인차는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만 6세 이전에 수술한 아동이 좋은 말 지각 수행 능력을 보였다. 본 연구는 무분별하게 실시되고 있는 인공와우 수술에 대해 재고하고 적절한 인공와우 이식 시기에 대해 신중하게 고려하여 청각장애 아동의 효율적인 재활 방안을 검토해 보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