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각디자인 전공 학생들을 위한 글로벌 캡스톤디자인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서연화,심현애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2

        This study was purposed to develop a global capstone design program for students majoring in visual design, to analyz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operation and to seek its improvements. For this study, a development research methodology for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was applied macroscopically and an experiment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o verify the effect of program.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 curriculum subject-based global capstone design program was developed for students majoring in visual design at S University in Korea and at B University in the U.S. and the program processes operated from January to September 2015 were presented. Second, the effect of program was analyzed in 14 students at S University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s a result, leading adaptability and solicitous behavior of global mind significantly increased and opinion integration of cooperative self-efficacy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program participation. Program satisfaction ranged from 3.89 to 4.22 in program evaluation and operation item evaluation and overall satisfaction was 4.07. This means most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Third, students replied there was a need to improve food and interpretation of program and the teaching staff, who developed and operated the program, replied that a student-centered program should be expanded, an ice-breaking activity should be added in the first meeting with local students and participation of teaching staff with online tool application capabilities was important. In addition, proposals for further research was suggested. Keyword global capstone design visual design educational program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디자인 전공 학생들을 위한 글로벌 캡스톤디자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 운영 효과성 분석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거시적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개발연구방법론을 적용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S대학교와 미국의 B대학교 디자인전공 학생들을 위한 교과목 기반 글로벌 캡스톤디자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2015년 1월부터 9월까지 운영한 프로그램 진행과정을 제시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S대학교 학생 14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참여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글로벌 마인드는 프로그램 참여 후에 주도적 적응성과 배려행동 요인이 유의미하게 높아졌고, 협력적 자기효능감 중 의견통합 요인이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프로그램별 평가 및 운영항목별평가 결과 3.89부터 4.22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 만족도는 4.07로 만족하는 수준이었다. 셋째, 프로그램 개선방안으로 학생들은 음식과 통역에 대한 개선 필요성이 제시되었고, 프로그램을 개발ž운영했던 교수자는 학생 참여중심 프로그램 확대, 현지 학생과의 초기 만남에서 아이스브레이킹 활동 추가, 온라인 툴 활용 능력을 갖춘 교수자의 참여가 중요함을강조하였다. 그밖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시각디자인 전공 학생들을 위한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개발 및 운영 효과 분석

        서연화,심현애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 problem-based learning course for students majoring in visual design and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course format as well as derive improvement plans. Problem-based learning can motivate learners and enhance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and problem solving skills, so it can foster creative individuals with practical skills equipped with the ability to adapt to industrial sites. However, there has been inadequate research about the learning course model that applies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industrial-educational courses for the Department of Visual Design. Accordingly, web design courses of the Department of Visual Design in Chungchong region, South Korea were redesigned into problem-based learning courses and the experiment results that targeted on 37 students of S university were suggested.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results. First of all, the problem-based learning teaching-learning model was applied to construct a module that collabor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local businesses and team formation and course format, strategies, and assessment methods were designed. Throughout 15 weeks of the course, it was operated so that the 2 problem-based learning module related problems could be solved. Second, pre-post experiments were executed on the students that joined the course as well as the operation effects. The experiment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performance assessment amongst the 5 sub-factors. It was displayed that it did not cause a particular influence on the enhancement of team learning efficacy and the overall course satisfaction was high as it resulted as 4.03.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a suggestion was made to bring improvements in the course. First, as the program improvement measure, learners suggested improvements as they claimed complaints about their teams and the burden of having to create documents including task execution plans. Second, learners initiated the opinion that it was difficult for them to encourage the representatives of firms to participate in forms of providing their opinions and evaluation forms during the process of executing web design projects of the local enterprises. For course formation, a suggestion was made about the need to search for measures that can be applied for practical support while connecting with industries. 본 연구는 시각디자인 전공 학생들을 위한 문제중심학습(PBL) 수업을 설계하고, 수업운영의 효과성 분석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PBL은 학습자들에게 학습동기 부여,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문제해결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어 산업현장 적응역량을 갖춘 창의적 실무인재를 양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시각디자인 전공의 산학협력 교과목에 PBL을 적용한 수업운영 모델 및 효과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충청권 시각디자인학과의 웹디자인 교과목을 PBL 수업으로 재설계하고 S대학의 수강생 37명을 대상으로 운영한 실험 결과를제시하였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PBL 교수-학습 모델을 적용하여 지역사회 업체의 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모듈을 구성하였으며, 팀구성 및 수업운영 전략, 평가 방법을 설계하고, 15주간의 수업기간 동안 2개의 PBL 모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수업을 운영하였다. 둘째, 수업 기간 동안 참여한 수강생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실험을 실시하여 운영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문제해결능력의 5개 하위요인 중 수행평가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팀학습 효능감 향상에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수업만족도는 4.03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수업 개선을 위한 제안점이 도출되었다. 첫째, 프로그램 개선방안으로 학습자들은 팀 구성에 대한 불만 및과제수행계획서를 포함한 문서작성의 부담감 등 개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둘째, 학습자들은 지역기업의 웹디자인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기업 대표들의 의견 및 평가서 작성 등 참여를 독려하기가 어려웠다는 의견을제시하여 향후 수업운영에 있어서 산업체와 연계하되 보다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적용할 방안 모색의필요성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트랜스미디어 시대의 그림책의 시각적 내러티브 연구

        서연화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8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types of changed visual narrative in the transmedia era and extract the characteristics through a case study. This study targeted picture books and a qualit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types and components of visual narrative in transmedia, based on the content studies. Also, a case analysis was performed to present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types, which vary depending on the medium. The components of visual narrative revealed in this study are classified into a story creating a differentiated narration and a visual discourse delivering a story visually and readers feel, experience and lastly interpret stories through narrativ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visual narrative type of picture books foun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icture books with visual narratives of static type have stationary images and imagination are needed to interpret stories, which means this type has the highest openness. Second, a visual narrative of dynamic type is composed of a sequence of consecutive images, such as picture book-based movie and animation. This type is accompanied by a low level of involvement in story interpretation. Third, a visual narrative of interactive type can expand a view of the world not only in electronic books and app books but also in games. This type changes the type of acceptance while reading most actively and in games, users can be story creators. Therefore, this has high user control and responsiveness. I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diversifying media in the transmedia era, develop suitable visual narratives and apply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narrative to the picture book planning step. 본 연구는 트랜스미디어 시대의 변화된 시각적 내러티브의 유형을 알아보고 사례연구를 통해 특성을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은글과 그림으로 이루어진 그림책으로 한정하고 연구방법으로는 질적분석의 방법인 내용연구를 통해 트랜스미디어에서의 시각적 내러티브의 유형 및 구성요소들을 도출하였으며 사례분석을 통해 매체에 의해 달라지는 유형별 특성을 제시하였다. 시각적 내러티브의 구성요소들은 차별화된 서사를만들어내는 이야기와 이야기를 시각적으로 전달하는시각담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독자들은 시각적 내러티브의 구성요소들을 통해 이야기를 느끼고 경험하며마지막으로 이야기를 해석하게 된다. 본 연구를 통해나타난 그림책의 유형별 시각적 내러티브의 특성은다음과 같다. 첫째, 정적 유형의 시각적 내러티브인 그림책은 이미지는 정지되어 있지만 이야기 해석을 위해 독자의능동적인 참여와 상상력이 요구되어 가장 개방성이높은 유형이다. 둘째, 역동적 유형의 시각적 내러티브는 그림책을원작으로 한 영화, 애니메이션과 같은 연속된 이미지의 집합체로 운동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야기 해석에대한 독자의 참여성은 낮은 유형이다. 셋째, 상호작용적 유형의 시각적 내러티브는 전자책, 앱북뿐만 아니라 게임까지 세계관이 확장될 수 있으며 독자는 이야기의 창작자가 될 수 있어 독서의 수용형태를 가장 능동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트랜스미디어 시대의 다변화되고있는 매체의 특성을 파악하고, 매체에 적합한 시각적내러티브의 개발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책의 기획단계부터 시각적 내러티브의 유형별 특성을활용하여 매체계획을 설계한다면 독자와의 상호작용은 극대화될 것 이다.

      • KCI등재

        지역사회 연계 캡스톤디자인 수업개선 방안 연구- 시각디자인 수업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

        서연화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0 No.1

        Not only do local universities provide education, but they also perform a pivotal role in regional development. For revitalizing local industries and fostering the practical talent, industry-university education needs to be diversified and expanded.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run a community-connected capstone design instruction, verify its effectiveness. Based on the opinions of the students, instructional improvement plan is deriv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characteristics of community-connected capstone design were extracted and applied to instructional design. Also, pre-post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to examine problem-solving skills, collaborative self-efficacy and class satisfaction, and By taking into account the needs of students, qualitative contents analysis was conducted to devise instructional improvement for the future. Capstone design subject run by a university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problem-solving skills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but their collaborative self-efficacy through team activities improved and their class satisfaction was relatively high at 4.01 points. Then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to see specific factors of effective instruction management and develop improvement plans. To improve this issue, it is required to provide sufficient feedback time by strengthening one-to-one mentoring, adjust the difficulty of problems and reinforce a class management support system. It is anticipated that the instructional improvement suggested by this study would serve as basic data for future development of community-connected capstone design. 지역의 대학은 교육의 제공뿐만 아니라 지역발전의 중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지역산업의 활성화 및 실무형 인재양성을 위해 대학의 산학협력 교육과정은 다변화되고 확대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연계 캡스톤디자인 수업을 개발하고 운영하여 학습효과성을 검증하고 학생들의 의견을 토대로 수업개선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문헌연구를 통해 지역사회 연계 캡스톤디자인의 특성을 도출하여 수업설계에 적용하고 사전-사후 실험을 실시하여 문제해결능력, 협력적 자기효능감 및 수업만족도를 알아보았다. 학생들의 요구사항들을 종합한 정성적인 내용분석을 통해 향후 수업을 위한 개선안을 도출하였다. A 대학의 시각디자인학과에서 개설된 캡스톤디자인 수업운영 결과,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은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으나 팀 활동을 통한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만족도는 4.01점으로 높은 만족수준을 나타내었다. 정성적 데이터를 분석하여 수업의 운영효과성 및 개선사항 세부요인들을 확인하고 개선안을 도출하였다. 학생들은 수업을 통해 전반적인 실무능력 및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지만 처음 경험해보는 현실세계의 프로젝트 해결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문제해결능력은 향상이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 및 전문가들의 일대일 멘토링 강화, 문제의 난이도 조절 및 수업운영 지원체계를 강화하도록 수업을 개선한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개선안을 통해 향후 캡스톤디자인 수업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교직열정과 셀프리더십이 역할인식 및 수행에 미치는 영향

        서연화 ( Seo Yeonhwa ),박수경 ( Park Su-kyoung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교사교육연구 Vol.60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직열정과 셀프리더십이 역할인식 및 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 및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교직열정, 셀프리더십, 역할인식 및 수행 간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직열정과 셀프리더십이 역할인식 및 수행에 상대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아교사의 교직열정과 셀프리더십이 역할인식 및 수행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요한 변인임을 밝힘으로써 유아교사의 교직열정을 높이고 셀프리더십 강화를 통해 자율적이고 능동적인 역할인식 및 수행을 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aimed to examine the impacts of the passion for teaching and self-leadership on early childhood teachers’ role awareness and performance. Accordingly,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51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or daycare centers located in the capital area.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on the collected data.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ssion for teaching, self-leadership, a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ole awareness and performanc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relation in a meaningful way. Second, the passion for teaching and self-leadership were proved to affec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ole awareness and performance meaningfully. In the research findings, it has been established that the passion for teaching and self-leadership are the important variables that can improve early childhood teachers’ role awareness and performance abilities. Additionally, various ways to help them recognize and perform their roles spontaneously and actively by arousing early childhood teachers’ passion for teaching and enhancing their self-leadership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