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수면의 질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조영화(YoungHwa Cho),서순림(SoonRim Shu),박정미(JeongMi Park)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5

        연구의 목적은 노인을 대상으로 죽음에 대한 태도와 수면의 질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자료수집은 D광역시와 A시에 거주하는 노인 18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죽음에 대한 태도, 수면의 질과 생활만족도를 측정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와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는 2.30점, 수면의 질 점수는 2.63점이었고 생활만족도는 3.39점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에 대한 태도는 가족이나 친척의 지지, 친구의 지지, 현재 신체적 건강상태와 현재 정신적 건강상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수면의 질은 성별, 최종학력, 배우자의 유무 및 가족의 동거유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생활만족도는 최종학력, 경제상태, 낮 동안 활동정도, 가족이나 친척의 지지, 친구의 지지, 현재 신체적 건강상태와 현재 정신적 건강상태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노인의 수면의 질과 생활만족도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죽음에 대한 태도와 생활만족도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경제상태, 죽음에 대한 태도, 현재 신체적 건강상태, 수면의 질과 친구의 지지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에 의한 설명력은 38.7%였다. 노년기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죽음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형성과 수면의 질 향상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attitude to death and quality of sleep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Data were collected via questionnaires from 180 the elderly in D and A city, from March 23 to April 28, 2017 and then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21.0. The mean scores for attitude to death, quality of sleep,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ere 2.30, 2.63 and 3.39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respect to education, economic status, day activity, family support, friend support, physical health status and mental health status.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quality of sleep and life satisfaction, while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attitude to death and life satisfaction.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ere economic status, attitude to death, physical health status, quality of sleep and friend support; these factors explained 38.7% of the variance.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elderly life, building up the positive attitude for death and developing the program for the health promo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sleep are required.

      • SSCISCIESCOPUSKCI등재

        자기통제의 개념 분석

        은영,이인숙,이경숙,송경자,최은옥,서순림,양영희,박영임,구미옥,김성재,김인자,이은남,박송자,이동숙,이은옥,Eun, Young,Lee, In-Sook,Lee, Keung-Sook,Song, Keung-Ja,Choi, Eun-Ok,Shu, Soon-Rim,Yang, Young-Hee,Park, Young-Im,Gu, Mee-Ok,Kim, Sung-Jae,Kim 한국간호과학회 1999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29 No.4

        Today human needs for health promotion and maintenance are increasing. The nursing profession as a great responsibility to develop the knowledge for helping clients to practice good health behavior under self-control. But there are few studies about the concept of self-control, or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self-contro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larify the meaning of the concept of self-control. This study used Walker and Avant's process of concept analysis. Antecedents of self control consist of 1) perception of the conflict situation to change his or her behavior ; 2) perception of self as the causes of the barrier for a certain behavior ; 3) internal standard or belief such as self-efficacy and learned resourcefulness ; 4) internal motivation for change of behavior. Critical attributes of self-control were 1) goal-orientation ; 2) self-decision ; 3) time sequence ; 4) effort ; 5) possibility of being learned ; 6) individuality ; 7) social desirability. Consequences occurring as a results of self-control consist of 1) achievement of the controlled behavior whose purposes were planned ; 2) enhancement of the internal standard such as self-efficacy and learned resourcefulness ; 3) eventual elevation of physical and emotional wellness. Therefore, this concept is defined as a cognitive behavior which is attempted by his or her decision when one is confronted with the conflict situation, which is characterized by being changed by time, learned by effort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e is taking such behavior with the perception of self as the causative barrier for a certain behavior, planning a specific objective for a certain behavior which demands self sacrifice, supplies the internal reward, is socially desirable with the internal standard of self-efficacy and learned resourcefulness and environmental factors.

      • KCI등재

        연령에 따른 시지각과 시각-운동통합 능력의 변화

        김미애(Kim, Mi-Ae),박용경(Park, Yong-Kyung),김은휘(Kim, Eunhwi),김미한(Kim, Mi Han),정성화(Jung, Sung-Hwa),서순림(Shu, Soon-Rim),김홍(Kim, Hong) 한국노년학회 2013 한국노년학 Vol.33 No.1

        본 연구는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성별, 질병유무, 운동유무, 그리고 연령에 따라 시지각과 시각-운동통합 능력이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 성인의 시지각과 시각-운동통합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대구ㆍ경북에 거주하고 일상생활과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인지기능 장애가 없는 건강한 20-70대의 남녀 성인 137명으로 하였다. 시지각과 시각-운동통합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측정도구는 각각 MVPT-V, VMI-3R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시지각 능력에는 성별(β=-.170, P=.012)과 연령이(β=-.614, P<.001), 시각-운동통합 능력에는 연령(β=-539, P<.001)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고, 특히 시각-운동통합 능력이 시지각 능력보다 연령에 더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Wald's χ²=16.03, P<.001). 이러한 연구결과는 노화에 따른 인지기능의 감소가 시지각과 시각-운동통합 능력의 감소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따라서 노화에 따른 인지기능의 감소를 적절하게 예방하기 위해서는 연령에 따라 크게 감소하는 시각-운동통합 능력에 대한 적절한 평가와 효과적인 측정도구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visual perception (VP) and visual-motor integration (VMI) depending on various factors. The survey was conducted by 152 subjects (aged 20 to 70 years old; both gender, n=10 in each ages) living in Dague and Gyeongbuk district and 137 proper data were collect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based questionnaires which were constructed to include the Motor Free Visual Perception Test-Vertical Format (MVPT-V) and the Visual-motor integration 3rd Revision (VMI-3R).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and most results were expressed the mean ± standard deviation (SD) or percentage (%). As a results, the main factors were gender and age on VP and age on VMI. Particularly, VMI is more affected by age than VP.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regular evaluation of VMI is very important to protect cognitive deficit by aging process eff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