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변성룡’형 충자도의 주제 해석 연구

        서성(Seo Sung)(徐盛) 대한중국학회 2021 중국학 Vol.77 No.-

        본 논문은 ‘어변성룡’형 충자도의 주제 해석에 있어 기존의 견해에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작성하였다. 현존하는 충자도의 유형을 장식 유형, ‘이야기 그림’ 유형, 기호 유형으로 정리하면서 기존의 어변성룡형 충자도 해석이 상징적 기호 유형으로 읽었기에 순통하지 않았다고 보고 서사적 기호 유형으로 읽으려 시도하였다. 그 결과 도상의 형상과 서사 내용의 대응, 상하 구성의 결합, 도상과 화제의 통합성 등 여러 측면에서 볼 때, 어변성룡형 충자도는 초한전 때 충신 기신이 한왕 유방을 구하기 위해 한왕으로 변장하여 대신 죽고, 형양성의 충신들도 힘과 마음을 합하여 유방의 홍업을 도운 사건을 서사적 기호로 표현하였다고 보았다. In this paper, I found problems in the theme analysis of ‘Carp turns into dragon’-type(魚變成龍型) ‘Chung’ word picture(忠字圖) from the existing view and tried to solve it. I read the existing ‘Carp turns into dragon’-type ‘Chung’ word picture interpretation as a symbolic sign type(象徵符號類型) while grouping all types of ‘Chung’ word picture into decoration type, ‘story picture’ type and sign type. I tried to read it as a narrative sign type(敍事符號類型) by looking at unfamiliar points. Even in the process of reading as a narrative sign type, with the help of the symbolic sign type, the main shapes of the iconography, the dragon and the fish, a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narch and he loyal retainers, and the shellfish and the shrimp are also the loyal retainers. As a result, from various aspects such as the narrative sign of the iconography, the combination of the upper and lower structures, and the integration of the iconography and the subject, ‘Carp turns into dragon’-type ‘Chung’ word picture was described with a narrative sign that Ji Xin(紀信) disguised as Han wang(漢王) Liu Bang(劉邦) to save Liu Bang during the battle between Chu and Han(楚漢戰), and he died instead for Liu Bang and Xingyang city s loyal retainers also used their strength and heart to helping Liu Bang’s founding country.

      • KCI등재

        『삼국연의』 아이들 관련 묘사와 그 소설적 기능

        서성(Seo Sung)(徐盛),조성천(Cho Sung Chun)(趙成千) 대한중국학회 2016 중국학 Vol.57 No.-

        다양하고 풍부한 내용과 의미를 지닌 『삼국연의』 속 아이들과 관련된 일화는 소설 속의 소설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소설 속에 나오는 아이들의 일화를 덕행, 언변, 문제 해결, 기타 등 네 가지로 분류하여, 난세에 아이들도 언변과 지혜를 다하고 때로 분발과 처세로 살아나갔음을 살펴보았다. 소설가는 정사와 필기 등의 기록 가운데 일정한 선택과 배제의 기준에서 취사선택하였다. 소설은 삼국의 대립과 통일이라는 줄거리에 집중하여 그와 관련된 인물들의 일화를 수집하였지만, 한편으로 삼국시대에 새로 등장한 현학과 죽림칠현 등 문화적 현상은 될수록 배재하였다. 아이들의 일화는 소설적 기능도 일정 정도 수행하고 있었다. 유년의 언행은 성년의 활동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며, 인물의 성격을 부여하는데 근본적인 특징으로 제시되었다. 그 결과 독자는 인물을 다방면에서 볼 수 있어 인물에 대한 풍부한 형상을 제공받게 된다. 더불어 유년의 언행이나 사건은 이후 일어날 일의 암시와 복선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또 아이들의 일화는 소설의 주제와 의미를 심화시키는 효과를 발휘하기도 했다. The Romace of Three Kingdoms (『三國演義』) describes struggle heros and construction of the country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novel used ‘children’ images very effectively which has various features, and was to help complete an effective and integrated narrative. This paper is classified into four episodes of the children: virtues, witty speaking, problem solving, and others. And investigates the fictional feature. Among these anecdotes novelist knows that a certain eclectic in terms of selection and exclusion. Although the plot of the novel is focused on the confrontation and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collect anecdotes of people associated with them. Anecdote about children were also performed to some extent fictional feature. Character s Childhood help us to understand the activities of the adults, it was presented to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given to the nature of the person. As a result, readers are given can see the figures in various fields provide a rich geometry for the character. In addition to childhood events and character it was also acting as a double track and a hint of what will happen later. Anecdote of children has also demonstrated the effect of deepening the theme and meaning of the novel.

      • 청대 孫溫이 그린 「전본 홍루몽」 화책의 서사 표현 방식

        서성(徐盛) 한국홍루몽연구회 2017 홍루아리랑 Vol.- No.3

        소설 홍루몽 의 내용을 그린 ‘홍루화’(紅樓畵)는 1791년 처음 활자본(정갑본) 으로 간행될 때부터 24폭이 들어간 이래 그 형식이 삽화가 되었든 화책이 되었든 그 대다수는 수상식(繡像式)의 인물 소개로 되어 왔다. 서사적 내용을 직접 적으로 그린 작품도 드물게 나타났지만, 전면적으로 그린 것으로 주목할 만한 작품은 청대 말기 손온(孫溫)이 그린 전본 홍루몽 (全本紅樓夢)이다. 이 화책은 여러 방면에서 ‘홍루화’ 가운데 가장 높은 성취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이 화책이 소설의 서사를 흥미롭고 다양한 방식으로 그리고 있는 점에 주목하고, 소설의 서사를 시각적인 회화로 전환시킨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 KCI등재

        李白 <登覽> 詩譯解 (4)

        徐盛(서성),趙得昌(조득창) 중국어문논역학회 2015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36

        李白의 《李太白文集》 제19권 <登覽> 가운데 제16수부터 제21수까지 다섯 제목의 여섯 수를 대상으로 주석을 붙이고 번역하였다. 각 시에 대해 원문을 제시하고 逐句 번역하고 註釋을 달았으며, 본문에 이어서 校記, 詳釋, 解說을 붙였다. 여섯 수의 시는 金陵(지금의 南京)과 廬山에서 지은 것이 각각 3수씩 된다. 금릉의 경우는 瓦官寺의 瓦官閣에 올라 절을 둘러보거나, 梅崗에 올라 금릉을 바라보거나, 봉황대에 올라 장강을 바라보고 지었다. 여산은 폭포의 장관을 그리거나 수려한 五老峯을 보고 시를 지었다. 이백의 붓 아래서 이들의 경관은 모두 핍진감 있게 드러나며, 의경이 활달하고 드넓다. 시인의 붓을 만나 이들 경관이 비로소 장엄하고 준발한 모습을 드러냈다고 할 수 있다. 여섯 수 가운데 특히 <登金陵鳳皇臺>와 <望廬山瀑布>는 천고의 절창으로 역대로 人口에 膾炙되었다. 이 등람시들은 경물과 서정이 적절히 잘 어울렸으며, 세상에 대한 강렬한 열정, 높은 이상, 호방한 기세 등 이백 시의 기본적인 특징이 잘 구현되었다. This study is a set of annotations and translations in a consecutive order on poem 16 to 21, from the 19th volume ‘Denglan(登覽)’ of Libai(李白)’s 《a collection of Litaibo(李太白)´s works》, which specifically covers 6 poems in 5 titles. The original text is given for each of the subject poems, which are translated, commented in a consecutive manner. Compare, comparison and correction on the given texts, detailed explanations follows. Of the six poems, 3 of them are composed at Jinling(金陵), and the other 3 in Lushan(廬山). Works composed at Jinling were written whilst watching over the Waguan Temple(瓦官寺) from the Waguan Tower(瓦官閣), gazing at Jinling from Meigang(梅?), or looking down on Chang Jiang(長江) from the Phoenix Turret(鳳凰臺). In Lushan, the works include poems composed in view of the grand Wulaofeng Peak(五老峯), or drawings of the water fall. Libai’s works present an exquisitely accurate depiction of the above mentioned spectacles. His expressed subjective sentiments are also to be remarked by its liveliness and broadness, which truly reveals their magnificence. From the 6 poems dealt with, <Mount the Phoenix Turret in Jinling(登金陵鳳皇臺)> and <Look at the Lushan Falls(望廬山瀑布)> are notably recognized throughout time as a true master piece. The Denglan’ portray have the sceneries and the sentiments in a harmonious manner, and serve as a fine example of the basic distinctive features of Libai’s poetic works, such as enthusiastic attitude towards the world, grand ideals and magnanimous spirit.

      • KCI등재

        中唐 詠物詩의 발전방향과 그 특징

        徐盛 中國語文硏究會 2001 中國語文論叢 Vol.21 No.-

        木文主要考裵貞元ㆍ元和年間詠物詩如何發展以及其主要特點是汁?.這個時期正好離.杜甫開拓詠物誇的新的境界不遠.也是療應以後又一沈現的唐詩崙湖約時期. 本文認爲中唐詠物詩貝ㆍ有以下幾個待默 其一, 中唐諦人在繼承感唐詠街郊補富題材的基隱下.更推席了多方面的題村.他不僅在具體事物中描籍對象的特點.也從補象和半抽象事物中發揮了事物的認識.尤其.對日常事物的普遍關心是讀時期詠物詩的主要特默之一.還有.李賀和元種等崙了諒物組諦.他對一個適村表現出集中的認識.其二, 中應晴期出現了許多萬言詠物詩.韓愈ㆍ柳宗元ㆍ刻禹錫ㆍ白居易等優秀文人用肅言詠物詩來表預溺叢社會的種種矛席和個人的普明.是在一個誇篇中包含敍事淸溝的樂庶題詠物詩的發展.也帶請中廢詩歌的普遍特點.卽詩說的散文化ㆍ常化ㆍ長篇化等趨勢.其三.中唐誇人用詠物詩約形式來挑判現叢社會的種種絹題.也表現個人約測流努擴大了詠物諒的藝術表烈領域.白居易許多作品代表這兩方面的特形成了中唐詠物詩的最痢成就.

      • KCI등재

        盛唐詩와 書畵樂舞 예술과의 관계 : 盛唐詩에 반영된 書畵樂舞에 대한 표현을 중심으로

        徐盛 中國語文硏究會 2002 中國語文論叢 Vol.22 No.-

        盛唐時期衆多藝術影響了盛唐詩的發展. 本文從詩人與藝術家的交流,時歌裏所反映的對藝術形象的描寫,時歌創作中受到同時期的藝術觀念等三個方面探討了盛唐詩和書畵樂舞藝術之間的關係. 盛唐詩人吸收盛唐藝術審美意識主要表現在意境的創造,有氣勢的表現力量,傳神的手法. 這無疑給盛唐詩的藝術發展起了豊富探刻的作用.

      • KCI등재

        李白 <古風>五十九首 譯解(2)

        徐盛,金慶天,李東鄕,李基勉,崔宇錫,趙成千,金貞熙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13 中國學論叢 Vol.42 No.-

        本文選詩六首, 李白<古風>五十九首中的第六首到第十一首, 力求詳細剖析李詩的神理, 用準確的韓文來飜譯, 使人領略李白詩歌的主要風貌。在注釋和飜譯過程中, 曾參考和吸收了 前人和今人的不少硏究成果。每首詩都有原文和飜譯文、訓釋詞語和典故、校記、詳釋、說 明等的體系, 一些歷代名家的評箋以及今人的新的看法也收錄在``說明``中。<古風>五十九首 非一時一地之作, 所以在主題和作品結構審美上呈現出多樣性的特點, 有時飜難確定具體的寫 作時期。<古風>五十九首網羅遊仙詩、詠史詩、詠懷詩、邊塞詩等傳統體裁, 有首詩用全 篇比體來表達主旨, 或평擊現實政治社會的矛盾, 或追求向往理想的情感。本文選詩六首也如 此。從中我們可以看到李白的精神歷程。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