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KCI등재SCOPUS

        Flavonoids와 근류균의 상호작용

        서상현,강상재,박우철 ( Sang Hyun Seo,Sang Jae Kang,Woo Churl Park ) 한국응용생명화학회 1997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40 No.6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biological activity and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flavonoids in Rhizobium and Bradyrhizobium and to obtain basic information on host specific nodulation by flavonoids in rhizobium-legume symbiosi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biological activity and the flavonoid absorption indicates that host-specificity is induced by flavonoids in symbiotic nitrogen fixation. Biological activity increased by daidzein and genistein treatment on B. japonicum KCTC 1539 whereas decreased by luteolin treatment but increased by luteolin treatment on R. meliloti whereas decreased by daidzein and genistein treatment. Daidzein and genistein are absorbed by B. japonicum, KCTC 1539 at higher rate than other flavonoids. Especially, luteolin was absorbed at a least rate. Luteolin are absorbed by R. meliloti KCTC 2353 at higher rate than other flavonoids. Especially, daidzein and genistein was absorbed at a least rate.

      • 아프리카 이차전지소재 현황과 시사점

        서상현 포스코경영연구원 2018 POSRI 이슈리포트 Vol.2018 No.7

        ○ 최근 전기車와 ESS(에너지저장장치), 모바일폰의 성장이 확대되면서 리튬배터리 수요가 급증하고 있음 - 배터리 시장 급성장으로 이차전지의 소재인 양극재(리튬, 코발트, 니켈, 망간) 및 음극재(흑연)의 가격도 급등하고 있음 - 대표적 양극재 소재인 코발트의 경우 2016년 말 이후 가격이 2.5배 이상 급등하였음 ○ 아프리카에는 코발트, 니켈, 망간, 흑연 등 이차전지소재의 매장이 풍부함 - 양극재의 핵심 소재인 코발트는 전 세계 매장량의 60% 이상이 매장되어 있으며 망간은 약 40%, 니켈은 10% 그리고 흑연은 20% 이상 매장 - DR콩고는 세계 최대 코발트 매장국으로서 전 세계 매장량의 56%를 차지하며 생산비중은 최근 70%를 상회하고 있음. 또한 망간과 니켈은 남아공과 마다가스카르에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으며 남아공은 세계 최대 망간 생산국임 - 이 밖에 흑연은 최근 세계 최고 품질수준이며, 최대 매장량을 보유한 모잠비크와 탄자니아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개발이 시도되고 있음 ○ 아프리카 이차전지소재 개발은 Glencore(스위스), China Molybdenum(중국), Syrah(호주), 스미토모 등이 주도하고 있음 - 코발트는 Glencore 와 중국기업들이, 니켈은 스미토모와 청산그룹 그리고 Sherritt 등이, 망간은 남아공기업들과 Anglo American 등이 주도하고 있음 - 이 밖에 흑연은 Syrah 와 Triton Mineral 등 호주기업들이 주도하고 있음 ○ 그러나 아프리카는 불투명한 행정과 인프라 및 금융 수준 낙후로 대규모 자금이 소요되는 등 자원개발 사업이 용이하지 않음 - 특히 최근 DR 콩고 사례처럼 갑작스런 광물법 개정에 따른 로열티 등 각종 세금 인상과 광권회수 등의 리스크 요인들이 발생할 수도 있음 ○ 최근 이차전지소재에 대한 수요 급증에 따라 글로벌 주요 배터리 제조업체들이 앞다퉈 소재확보에 나서고 있지만 국내 기업들의 진출은 미진한 상황임 - 2006 년 시작한 마다가스카르 암바토비 광산에서 니켈과 코발트를 생산하는 것 이외 아프리카 진출 사례는 아직 미미함 - 이차전지소재 Captive mine 확보가 절실한 국내 주요 배터리 제조업체들은 현지기업이나 기(旣) 진출한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을 통한 진출 모색 필요

      • 일본상사들의 아프리카 진출에서 배운다!

        서상현 포스코경영연구원 2018 POSRI 이슈리포트 Vol.2018 No.10

        ○ 아프리카는 U$2.5조에 달하는 경제규모와 12억 명 인구를 보유한 거대 소비 시장으로 경제적 중요성이 커지면서 주요 국가 및 기업들의 진출 확대 추세 - 최근 아프리카와의 교역 및 기업진출에서 중국이 압도적 우위를 보이는 가운데 일본도 약 450여 개 기업이 아프리카에서 활동하고 있음 - 특히 일본상사들은 풍부한 정보력과 전문인력 그리고 광범위한 네트워크 구축을 바탕으로 일본기업들의 아프리카 진출을 선도하고 있음 ○ 일본상사들은 2000년대 초까지 아프리카의 풍부한 자원개발과 자동차, 철강 등 일본 제품 판매에 집중 - 토요타 통상은 모회사인 토요타 자동차 판매망 구축과 함께 동남부 아프리카에 거점 마련 - 반면, 마루베니는 신일철(NSSMC) 및 현지기업과 공동으로 아프리카에 가공센터를 건립하여 철강판매에 중점을 두고 잇고 스미토모와 미쓰이 등은 광물 및 에너지자원 개발을 핵심 사업으로 운용 ○ 그러나 2010년 이후 중국의 아프리카시장 지배력이 강화되고 유럽·인도 등과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일본상사들은 새로운 아프리카 진출 전략 구상 - 아프리카에 대한 투자나 무역규모 면에서 중국과 인도 등에 뒤진 일본은 아프리카에 진출한 외국계 기업들과 제휴 및 인수를 통해 경쟁력 강화 - 제휴 및 인수 대상 외국계 기업으로는 프랑스 기업을 가장 선호하는데 이는 일본상사들이 취약한 불어권 국가에 거점을 구축하기 위함 - 또한 기존 자원개발과 플랜트 Organizer 중심에서 금융, IT, 쇼핑센터 운영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 다각화 시도 ○ 포스코대우를 비롯한 국내업체도 지점을 개설하고 Trading 및 플랜트 organizing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나, 사업 및 경쟁력 강화 방안 마련 필요 - 일본상사들이 신재생, 금융, 농업 등 신사업 모델 통해 사업확대를 추진하듯 국내상사들도 중장기적 관점에서 아프리카 사업확대 필요 - 특히 사업다각화 및 진출 리스크 헷지를 위해 프랑스 및 인도계 등의 기업들과 제휴를 고려 - 또한 일본상사들의 사례처럼 국내상사들도 공동진출을 통해 경쟁력 확보 및 시너지 효과를 모색

      •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대지접근 계획연구 : 학교건축을 중심으로

        서상현,이호진 대한건축학회 1999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to construct the database and to analyze the space and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for architectural planning and design through the approach analysis for educational facilities with the use of the GIS. The properties of the space is to be expressed by optimized path from the analysis of the user and the traffic situation. Analysed with other site analysis factors(situation, view, noise, configuration of the earth, etc.), the total site analysis is to be made and it is also to he a decision making support system.

      • KCI등재후보

        실제 작품의 분석을 통한 점묘화의 색상병치

        서상현,윤경현 (사)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2010 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Vol.16 No.2

        In this paper, we proposes a method tha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color juxtaposition based on the color wheel used by pointillism painter and an algorithm that generates pointillistic images by applying obtained analysis data. In order to analyze color juxtaposition of pointillism, we extract the stroke colors of real painting and find the most similar probability density functions(PDFs) through applying good-of-fit tests for the probabilistic distribution of stroke colors. By performing the juxtaposition of color based on the found PDFs, we can convert input image to pointillistic image effectively. It can be seen that this study shows reliability in the use of data obtained from actual paintings and that leads to perform a reasonable work. 본 논문에서는 점묘주의에서 화가들이 사용했던 색상이론을 기반으로 색상병치의 특징 및 패턴을 분석하고 얻어진 분석 데이터를 회화적 렌더링에 적용해 점묘화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점묘화의 병치를 분석하기 위해서, 실제 작품에 나타나는 스트로크의 색상을 추출하고 그 색상의 분포도를 잘 알려진 확률분포함수와 적합도 검정을 통해 최적의 분포도 함수를 얻는다. 이러한 분포도 함수를 이용해 색상 병치를 함으로써 2D 입력영상을 점묘화풍의 영상으로 효과적으로 변환할 수 있었다. 우리의 연구는 실제 작품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신뢰성이 있으며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