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V프로그램 시청자의 정보처리 전이효과

        서상윤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17 마케팅관리연구 Vol.22 No.1

        This article intended to investigate the spill-over effect of viewer’s information process activated by television program varying in cognitive effort. Two studies were conducted to test the extent to which the activated mind-set affects the level of categorization, and how they process information. Participant’s mind-set was manipulated by the television programs either variety drama or quiz program, then they participated in two tasks consisted of grouping objects (bugs and fruits) and evaluating product(pc and toothpaste) to contain irrelevant information for product performance. Study 1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exposed to the quiz program created more groups in both the bugs(Mquiz=3.20; Mvariety=2.72) and fruits (Mquiz=3.92, Mvariety=3.67) categorization task than those exposed to variety drama. In the study 2,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one of four between subject condition (television program type: variety vs quiz × information: relevant vs irrelevant), then they completed the product evaluation study. The result of two-way ANOVA showed the participant exposed to the quiz program evaluated the products less favorable when the irrelevant information are provided. However the participant exposed to variety drama evaluated the products equally favorable regardless of information’s relevance for product performance. This results means that the mind-set activated by the quiz program lead the participants to focus on the concrete detail information contained a advertisement, while the mind-set activated by the variety program to focus on the overall information.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television programs activates viewer’s mind-set, then the activated mind-set carries over a subsequent, unrelated information process. 본 연구에서는 TV프로그램에 대한 인지적 노력에 의해 활성화된 사고방식이 이후 유입되는 정보를 처리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두 가지 실험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는 TV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과정에서 활성화 사고방식이 정보의 범주화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고, 실험 2에서는 이후 유입되는 정보처리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실험은 TV프로그램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인지적 노력 정도가 다른 두 개의 프로그램(예능, 퀴즈)에 노출된 후 분류과업(categorization)과 제품 평가 과업으로 진행되었다. 실험 1에서는 두 프로그램에 노출된 실험집단에게 서로 다른 10개의 벌레 그림과 12개의 과일을 제시하여 분류하도록 하였으며, 실험2에서는 정보처리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성능과 관련이 없는 촉진정보를 제공하고, 상품에 대한 평가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실험 1의 분석 결과, 보다 높은 수준의 인지적 노력이 요구되는 프로그램에 노출된 사람들은 낮은 수준의 인지적 노력이 요구되는 프로그램에 노출된 사람들 보다 정보를 보다 더 구체적으로 범주화하여 처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많은 인지적 노력이 요구되는 퀴즈프로그램과 적은 인지적 노력이 요구되는 예능프로그램의 시청자들을 대상으로 서로 다른 두 가지 형태의 광고 정보를 제공하고(성능과 관련 없는 촉진 정보의 제공 유 vs 무) 제품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실험 2의 분석 결과, 퀴즈프로그램에 노출된 사람들은 제품성능과 관련이 없는 촉진정보가 제공된 경우 촉진정보가 제공되지 않았을 때 보다 제품에 대한 평가가 더욱 낮게 나타나 성능과 관련 없는 촉진 정보를 제품평가에 활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 처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예능프로그램을 시청한 사람들은 제공 정보의 유형에 상관없이 제품 평가에 차이가 없어 촉진정보가 제품 평가에 활용되지 않았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두 집단 간 제품 평가의 차이는 두 프로그램에 노출된 사람들이 제공된 정보를 서로 다르게 처리하였음을 시사하며, 많은 인지적 노력이 요구되는 퀴즈프로그램의 시청자들이 정보를 보다 구체적으로 범주화하여 처리하였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후보

        중국 유학생의 한국의료관광과 한류문화인식이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상윤,김순자 경희대학교 경영연구원 2016 의료경영학연구 Vol.2 No.1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the perception of Korean medical tourism and Korean culture have impact on the intention to recommend for the Korean medical tourism. We also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relative importance between medical service and tourism on the intention to visit and recommend to the Korean medical tourism. W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Korea medical tourism services for Chinese visitors staying in Korea. The impact of awareness and concern about Korean culture and Korea medical tourism on the intention to visit and recommend was examin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the relative importance between medical service and tourism attraction moderated the influence of perception of Korean tourism service on the intention to visit for medical tourism in Korea. In addition, the relative importance between medical service and tourism attraction moderated the influence of participation to Korean culture on intention to visit for medical tourism in Korea.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emphasizes that we need to develop not only the medical service but also the attractive Korean culture resources for Korean medical tourism.

      • 기업회생제도에 관한 연구

        서상윤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중소기업과 법 Vol.2 No.1

        기업 구조조정에 있어 공적 절차인 통합도산법에 따른 기업회생절차 의 효율성 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형식적 절차에 불과한 포괄적 금지명령제도를 자동중지제 도로 대체할 뿐만 아니라 채권자협의회를 채권자위원회로 격상하고 그에 따른 권 한을 부여함으로써 채권자들이 기업회생절차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 여야 한다. 그리고 DIP금융 제도 도입을 통해 기업회생을 위한 종자돈 을 채권자 또는 외부 투자자들이 공급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면 이를 통해 건전 한 기업이 대외적인 환경 변화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유동성 위기에 직면하더라 도 빠른 시일 내에 극복할 수 있고 이것이야말로 진정한 기업회생제도라고 할 수 있 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슈퍼마켓의 경영성과 영향요인을 이용한 세분화방법에 관한 연구

        서상윤,차재빈,양주환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3 경영컨설팅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본격적인 출점이 전개되고 있는 슈퍼 슈퍼마켓(SSM)의 외적, 내적 요인별 특성을 정리하고, 각 요인이 점포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농협 하나로 마트를 중심으로 대형 슈퍼마켓의 경영에 있어서 외적 측면인 입지요인, 경쟁자요인과 내적 측면에서 매장면적, 주차시설, 물리적 요인, 제품 요인, 마케팅 요인, 인적 요인이 점포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점포를 세분화하여 세분화 집단별로 점포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어떻게 차이가 발생하는 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점포들을 세분화하지 않은 경우에는 매장면적과 주차대수, 마케팅 요인이 경영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점포의 세분화 방법으로 기존의 전통적인 세분화 방법인 K-means 군집방법 대신에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세분화를 할 수 있는 Mixture Regression모형을 이용하여 세분화한 경우 K-means 군집방법으로는 발견할 수 없었던 세분집단별 경영성과 영향요인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Extensive Reading Communities Using an Online Cafe to Maximize Children's Writing Skills

        서상윤 현대영미어문학회 2008 현대영미어문학 Vol.26 No.4

        This study explores how an integrated extensive reading program using children’s story books and an online cafe can promote EFL student language skills. The reading purposes of general Korean ELL (English Language Learners) are translation, answering questions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rather than enjoyment or superficial understanding. As a result, learners have not become spontaneous readers of English through traditional reading classes. Beyond the traditional view of reading as an alternative reading course, this study presents the technology-incorporated ER (extensive reading) project using an online cafe as a collaborative reading and writing tool. This ER project was conducted for six months with 34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 a local language institute in Daejeon, Korea. The researcher used the quantitative dominant and qualitative less dominant method that includes documents analysis and observ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students’ L2 skills significantly developed in terms of linguistic competence and technology-incorporated literacy, outcomes which could provide a practical insight on EFL language courses.

      • KCI등재

        속성의 특성에 따른 준거점 단서의 활용에 관한 비교연구: 선호확신에 따른 범위·빈도효과의 차이

        서상윤,이훈영 대한경영학회 2015 大韓經營學會誌 Vol.28 No.9

        This research provides better understanding for how consumers utilize reference clues when evaluating alternatives through examining the effect of range-frequency of contextual set on consumer’s subjective judgement, and model fitting of the reference model; range-frequency model, ideal-point model, according to attribute types. While the previous researches have long been interested in the context effect concerning vector attributes, such as price, which represents monotonous linear relationship between preference and attribute level, this study provides a complementary experiment taking into account of ideal point attribute such as display panel size of a cellular phone. Also this study provides the finding that the context effect, such as range and frequency effect depends on how the consumer had confidence in his prefer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verall attractiveness to price decreased when the range extended by the upper bound increasing, otherwise the overall attractiveness increased when the range extended by lower bound decreasing. However, the overall attractiveness to size remained constant regardless of range varieties, thus the range-frequency theory does not account for the range effect to the ideal point attribute. Otherwise, the confidence in consumer’s preference moderate range effect to the ideal-point attribute such as display panel size. In addition to the range effect, the increase of stimulus also affected the attractiveness to price which represents the vector attribute. This result supports range-frequency theory that asserts that the consumers judged value of a stimulus is determined by its location within the distribution of contextual set. However, the increasing the number of stimulus does not have impact on the attractiveness to size which represents the ideal-point attribute. In addition, the results of model fitting on attractiveness to price and size by two competing reference models provide better understanding which types of reference clues are used in consumer’s judgement among the range, frequency, and ideal level.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가 대안을 비교 평가함에 있어서 대안들이 가지고 있는 속성의 특성에 따라 주변대안의 속성분포 범위와 빈도가 소비자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준거점 모형을 이용하여 소비자의 속성 평가값을 예측함으로써, 속성평가에 있어서 준거점 단서의 활용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이해를 목적으로 하였다. 기존의 맥락효과에 관한 연구들이 가격과 같은 벡터속성들을 위주로 연구하였던 반면 본 연구는 이상점 속성과 벡터속성을 비교 연구하여 기존의 맥락효과에 대한 연구를 보완하여 준다. 그리고 선호의 확신정도에 따른 맥락효과의 차이를 밝힌 점은 본 연구의 기여점이라 할 수 있겠다. 연구결과 벡터속성(가격)은 범위효과에 있어 기존 속성수준의 범위를 확대시키는 더 높은 속성수준이 추가되는 경우 속성수준에 대한 평가값이 전반적으로 낮아졌다. 반대로 이전 보다 더 낮은 속성수준에 의해 범위가 확대되는 경우 다른 속성수준의 평가값은 전반적으로 높아졌다. 그러나 핸드폰의 화면크기와 같이 선호가 최대가 되는 이상점 속성은 범위가 확장되어도 기존 속성수준에 대한 평가값에 크게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범위-빈도이론은 이상적 속성에 대한 범위효과를 효과적으로 설명해 주지 못하였다. 그러나 선호에 대한 확신이 낮은 소비자의 경우에는 이상점 속성에 대해서도 주변대안의 속성분포 범위가 대안의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벡터속성에 대한 빈도효과에 있어서 동일한 범위 내에서 다른 속성수준의 추가는 기존 속성수준에 대한 평가값을 변화시켰다. 이러한 빈도효과에 의한 속성수준의 평가값 변화는 소비자들이 대안들을 평가할 때 순위에 의한 상대적 거리에 의해 평가한다는 범위-빈도이론을 지지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화면크기와 같은 이상점 속성의 경우 범위효과와 마찬가지로 새로운 속성수준의 추가가 기존 속성수준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상점 속성과 비교하여 벡터속성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는 주변대안의 분포 범위와 빈도에 상당한 영향을 받는다는 가설을 지지하여 준다.

      • KCI등재

        로하스(LOHAS) 생활을 위한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생활적, 경제적, 사회적 요인이 건강한 삶(well-being)에 미치는 영향

        서상윤 경희대학교 경영연구원 2018 의료경영학연구 Vol.12 No.1

        Objectives: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factors to affect consumer’s LOHAS life. Methods: The daily life, economic condition, and social factors are tested in terms of determinant factors on well-being life. The daily life factor includes such variables chronic disease, smoking, drinking liquor, disability of ordinary life activities and physical activities. The economic factor consist of household income, participation of economic activity, enrollment of national pension plan as well as personal insurance. Education level, accessibility of medical service, and marital status belong to social factor. The empirical test was conducted with data from 2015 Korean Healthcare Panel Survey. Results: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show that chronic disease, smoking, disability of ordinary life activities as well as physical activities have negative impact on the well-being life. However, drinking liquor has a positive impact on quality of life in terms of physical wellness and psychological wellness. Also household income, enrollment of national pension plan have positive impact on well-being life. The education level which belongs to social factor only significant variables affects well-being life.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shows the better quality of life. Conclusion: In order to pursuing LOHAS, basically they need to keep not only their body but also their mind healthy. Also they need to prepare financial income and establish a financial future plan for old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