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전환사채발행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병덕(Suh, Byung Duk),박용후(Park, Yong Hoo) 글로벌경영학회 2006 글로벌경영학회지 Vol.3 No.2

        본 연구에서는 전환사채 발행기업의 공시효과 및 장기성과를 측정하고 그 유의성을 검증하고 이에 따른 초과수익의 기회유무를 파악하였다. 전환사채 발행기업의 공시효과 및 장기성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거래소와 코스닥의 전환사채 기업 공시효과를 살펴보면 사건기간 전체 기간 동안에 평균초과 수익률은 0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지만, 누적초과수익률은 양(+)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거래소 기업은 공시일과 근접한 날에 집중적으로 0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것을 확인할 수 없다. 그러나 코스닥 기업은 공시일 근접한 날에 집중적으로 0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전환사채 기업의 장기성과를 살펴보면 벤치마크포트폴리오를 어떤 기준으로 선정하느냐에 따라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통제기업을 벤치마크로 사용하는 매입보유초과수익률(BHAR)에서는, 전환사채 발행공시일 이후로 일정기간 동안은 양(+)의 매입보유초과수익률을 보이고 있으며 일정기간 이후로는 음(-)의 매입보유초과수익률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유의한 구간은 없었다. 주가지수를 벤치마크로 사용하는 매입보유초과수익률(BHAR)에서는, 전환사채 발행공시일 이후로 일정기간 동안은 음(-)의 매입보유초과수익률을 보이고 있으며 일정기간 이후로는 양(+)의 매입보유초과수익률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유의한 구간은 많지 않았다. 통제기업을 벤치마크로 사용하는 누적초과수익률(CAR)에서는, 전환사채 발행 공시일 이후로 양(+)의 매입보유초과수익률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모든 구간에서 유의하였다. 주가지수를 벤치마크로 사용하는 누적초과수익률(CAR)에서는, 전환사채 발행 공시일 이후로 음(-)의 매입보유초과수익률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모든 구간에서 유의하였다. In this study, by measuring disclosure effect and long-term performance of convertible bond issue company, by examining the difference from them, and by verifying significant difference from above mentioned facts, we prove what find out whether there is an opportunity or not on abnormal return. As we examine disclosure effect and long term performance of convertible bond, they go like this: First, when we observe the disclosure effect of seasoned convertible bond of stock exchange market company and KOSDAQ company, during the whole period of the event, average abnormal return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zero, however accumulative abnormal return presents positive significant difference from zero. And the exchange market company, the closer it comes nearer to the disclosure date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zero. But KOSDAQ, the closer it comes nearer to the disclosure date, the more significant difference shows. we find the similar result with seasoned public offerings when we consider the disclosure effect of convertible bond issue company. It has the same result with “adverse selection”, this result also means that the positive price effect such as investment opportunity hypothesis and leverage hypothesis occurs in the stock market of Korea. Second, long-term performance of seasoned convertible bond company shows difference depending on how to arrange benchmark portfolio. BHAR of control company, during a specified period after the operation date of seasoned convertible bond offerings, it shows positive BHAR, and, after that period, it turns into negative. However, all periods are no significant. BHAR of control company, during a specified period after the operation date of seasoned convertible bond offerings, it shows negative BHAR, and, after that period, it turns into positive. However, just a free periods are significant. CAR of control company, during a specified period after the operation date of seasoned convertible bond offerings, it shows negative CAR after that period. And all periods are significant. CAR of control company, during a specified period after the operation date of seasoned convertible bond offerings, it shows positive CAR after that period. And all periods are significant.

      • KCI등재후보

        헤도닉가격모형을 이용한 한국미술품 가격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서병덕(Suh, Byung Duk),권상춘(Kwon, Sang Chun) 글로벌경영학회 2012 글로벌경영학회지 Vol.9 No.4

        본 연구는 미술품에 대한 헤도닉가격모형(Hedonic Price Model)을 도입하여 미술품 시장에서 상대적 으로 시장규모나 거래비중이 큰 회화시장을 대상으로 미술품가격모형을 추정하고 가격결정요인을 파악하 고자 한다. 또한 문화경제의 시대를 맞아 미술품 품질에 대한 수요자의 반응과 투자로서의 미술품 수익률을 연구하며, 기존의 미술품 가격결정 틀을 탈피하여 향후 합리적인 미술품 가격결정에 필요한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써, 미술시장의 변동성과 미술품 가격을 예측하는 방법의 추정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1998.10-2006.6 기간 동안 ㈜서울옥션과 ㈜케이옥션에서 거래된 미술품 경매가격 자료를 이용하여 헤도닉가격모형을 추정하고 이를 구체화함으로써 미술품가격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찾아 보았다. 헤도닉가격모형의 추정을 위해 미술품의 경매가격인 낙찰 로그가격을 종속변수로 선정하고, 미술품의 가격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화가의 개인적 특성, 작품의 물리적 특성, 미술작품의 판매특성, 미술작 품이 판매된 년도들을 설명변수로 이용하여 헤도닉 모형을 회귀식으로 추정한 결과 헤도닉모형의 적합 도를 나타내는 F 값은 1403.39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헤도닉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 내는 Adj   값은 0.9882 로 매우 높게 나타나 모형에 의한 헤도닉 회귀식이 잘 추정되었음을 보여주 었다. 헤도닉 모형에서 미술품 가격결정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로는 판매년도 특성, 재료특 성, 화가의 개인적 특성 순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troducing the Hedonic Price Model for art, explores a method to find out price determinants of art. Also it explores users’ reaction to art’s quality and the earning rate of art as an investment in this age of cultural economy, and aims to derive a method of index calculation that predicts market fluctuations and art prices by analyzing factors necessary for reasonable decision of art prices afterwards in order to escape from the existing framework of art price decision for the purpose of the promotion of common people’s enjoyment of culture. For such goals, we use Hedonic Price Model, and analyse bid price data of art pieces dealt by Seoul Auction and K-Auction from October 1998 to June 2006. In order to write a Hedonic Price Model, we have selected contracted log prices, which are auction prices of art, and used as explanatory variables individual properties of artists, physical properties of works, sales properties of art, and the year in which each art piece was sold. As a result of the conjecture of the Hedonic Model in the regression formulation, we have yielded 1403.39 as the F statistic, which means it is statistically meaningful. Also, we have yielded a very high Adj.   of 0.9882, which shows that the Hedonic regression formulation is well inferred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on the decision of prices of art pieces in the Hedonic model is the sales year properties, and material properties and individual features of artists follow it in that order.

      • KCI등재

        외부환경의 변화가 자동차 부품업체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병덕(Suh, Byung-Duk),최찬우(Choi, Chan-Woo) 글로벌경영학회 2013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0 No.4

        본 연구는 자동차 부품기업이 외부 환경변화에 어떻게 영향을 받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장 부품기업을 대상으로 2,693개의 패널표본을 구성하여 회귀분석 하였다. 종속변수로는 부품기업의 주가 수익률로 하고, 통제변수로는 기업의 규모, 업력으로 하고, 독립변수로는 장.단기 금리, 환율 (원/달러, 원/엔), 원재료(철강, 나프타), 유가, 완성차 업체의 수익률로 설정하였다. 기업의 실적은 주가에 즉시 반영된다는 효율적 시장 가설(Efficient Market Hypothesis)에 기초하여 외부 환경 변화가 부품업체의 경영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장.단기 금리의 주가 수익률에 대한 영향은 단기금리의 경우 부(-), 장기 금리에 대하 여는 정(+)의 관계를 갖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환율에 대하여는 원/달러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원/엔에 대하여는 주가수익률에 부(-)로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이는 아직도 자동차 부품 산업이 부품 소재 등 일본의 의존도가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원자재(철강)는 주가 수익률에 부(-) 의 영향을 주고 있다. 원자재 상승에 대한 원가 반영이 안 되어 경영악화가 될 것이라는 것을 시장에서 우려하기 때문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원자재(나프타)는 주가수익률에 증감률 분석 시 부 (-)의 영향을 주고, 변동률 분석 시 정(+)의 영향을 주었다. 이는 장기적으로는 원자재(나프타) 가격이 상승하여 경영성과에 악영향을 주지만, 단기적으로는 경기가 좋아져 원자재(나프타) 가격 상승과 동조하여 주가수익률이 높아지는 동조현상을 보인다고 추론할 수 있다. 원유는 증감률에서는 주가수익률에 정(+)의 영향을 주고 변동성에 부(-)의 영향을 주는데, 이는 신흥공업국의 빠른 경제성장에 의한 유가 수요증가에 따른 세계경제 회복 및 성장으로 주가가 상승한 것으로 유가와 주가가 동조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As most small & medium auto parts manufacturers experienced sharp increases in material costs due to the two major factors (increase in the commodity price AND depreciation of the exchange rate), they have not been able to reflect such factors in their prices and accordingly suffered from worsened profitabilities.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such margin deterioration and financial data & external environment will be analyzed in depth. In order to analyze how auto parts manufacturers are affected by their external environments, certain variables are to be set as follows; 1) Dependent variables: P/E ratio, 2) Control variables: business size, business experience, and 3) Independent variables: short-term & long-term interest rate, exchange rate (KRW/USD, KRW/JPY), raw materials (steel, naphtha), oil price, car makers average profitability. Based on the efficient market hypothesis (EMH) asserting that a company s earnings are directly linked to its stock prices, the effects of certain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on a parts manufacturer s business performance were analyzed in depth. The results from the such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t was discovered that the effects of the short-term and the long-term interest rate on the P/E ratio would have a negative correlation and a positive correlation, respectively. With respect to an exchange rate, there was no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he KRW/USD rate and the P/E ratio; however,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KRW/JPY rate and the P/E ratio. This implies that most auto parts manufacturers in Korea still heavily depend on Japanese auto parts manufacturers. Such raw materials as steel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P/E ratio. It can be inferred that financial markets concern about the uncertainty that increases in raw material (steel) prices won t be properly reflected in prices of such products produced by small & medium auto parts manufacturers and that their profit margins will be consequently deteriorated. Such raw materials as naphtha had negative and positive effects on the P/E ratio for the analysis of the percentage change and the fluctuation rate, respectively. This indicates that although the increase in raw material (naphtha) price will impact each auto parts manufacturer s business performance in the long term, such increase may stimulate the economy in the short term and accordingly drive up the P/E ratio. The percentage change in oil price had a positive effects on the P/E ratio while its volatility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P/E ratio. This implies that stock prices, coupled with the increase in oil price, go up as many investors anticipate the rebounding of the global economy due to increasing demand for oil caused by speedy growth in newly industrialized countries.

      • KCI등재

        CAPM을 이용한 한국주택시장의 가격균형에 관한 연구

        서병덕(Suh, Byung Duk),김종범(Kim, Jong Bum) 한국회계정보학회 2006 재무와회계정보저널 Vol.6 No.2

        부동산 시장에서 주택은 경제적 재화로서 중요한 부의 축적 수단인 동시에 삶의 질을 평가하는 유용한 지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택에 대한 시계열자료인 전국주택가격변동률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주택시장에서 CAPM의 적용가능성 여부를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CAPM의 적용가능성 여부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에 따른 실증분석결과 주택매매가격변동률과 체계적 위험은 선형관계에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없었다. 둘째, 체계적인 위험과 비체계적인 위험은 주택매매가격변동률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택매매가격변동률 결정에 비체계적 위험과 체계적 위험의 비선형성을 주택매매가격변동율 모형에 투입하여 비교한 결과 CAPM 적용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주택매매가격변동률은 체계적 위험의 비선형 형태로 설명되어질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검증결과와 기존 자본시장에서의 CAPM 검증결과를 대비해보면 수익률과 계수의 선형성은 자본시장에서는 장기적으로 성립될 수 있으나 한국 부동산시장에서는 선형성으로는 설명력이 떨어지며, 비선형적 관계도 동시에 고려해야 됨을 보여주었다. The house in real estate market is an economic goods that is an efficient indicator estimating the quality of life as well as a way for accumulating wealth. Accordingly, this research did the empirical analysis with respect to the possibility of applying Capital Asset Pricing Model (CAPM) to the Korea housing market through the results of the fluctuation rate of national house price, which is time-series data regarding the house. The analysis results regarding the possibility of applying CAPM to the Korean housing market are as follows. Firstly,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fluctuation rate of national house transaction price and systemic risk do not have linear relationship. Secondly, this research shows that systemic risk and unsystematic risk affect the fluctuation rate of national house transaction price. Thirdly, this research shows that CAPM is not applicable to in Korean real estate market, which is based on comparing results by substituting nonlinearity of systematic and unsystematic risk into the fluctuation rate of national house transaction price. Fourthly, the fluctuation rate of national house transaction price does not have relationship with nonlinearity of systematic risk. In compa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results of CAPM in existing capital market, linearity of coefficient and the rate of profitability has linear relationship in the long run, however, linear relationship does not explain efficiently Korean real estate market. We should consider non-linear relationship in Korean real estate market as well.

      • KCI등재후보

        논문 : 부동산가격변동과 은행경영성과

        서병덕 ( Byung Duk Suh ),홍동현 ( Dong Hyun Hong ),이명동 ( Myung Dong Lee ) 명지대학교 금융지식연구소 2011 금융지식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부동산 가격 변동과 은행의 수익성, 자산건전성, 자본적정성관련 지표 중에서 부동산가격 변동과 관련이 높은 변수로 총자산이익률, BIS자기자본비율, 대손충당금적립비율, 주택담보대출, 예대마진률, 총여신비율, 총자산, 주택매매가격지수, 지가지수, GDP증가율, 소비자물가지수, 콜금리, 환율 등을 선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 은행전체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부동산 가격변동이 은행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매매가격 상승기에 은행 경영성과가 상승하는 크기보다는 주택매매가격 하락기에 하락하는 크기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동산 가격 하락이 금융기관의 수익성에 비대칭적으로 더 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은행경영성과는 총자산이 커질수록, 예대금리차가 클수록, BIS비율이 클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대손충당금적립비율은 낮을수록 은행경영성과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중은행, 지방은행, 특수은행의 경우 부동산 가격변동은 은행의 경영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ummarized results of that study is like below: As a result of analysis of whole Korean bank, real estate price fluctuation have a positive influences on the bank performance. Asymmetric effects of bank performance regarding the real estate price fluctuation is much bigger on the downward trend rather than the upward trend. This means that decrease of real estate price have a negative affect to profitability of financial institution. Also the bigger total asset, the bigger difference of interest rate between deposit and loan, and the bigger BIS ratio causes increase of bank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the lower allowance for bad debts accumulate rate causes bigger bank performance. In result of this study, bank performance is affected by the real estate price fluctuation, especially in price falling term, bank performance might be degenerated. And affection could be bigger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behavior of loan.

      • KCI등재

        연봉제도입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병덕(Suh, Byung Duk),김미현(Kim, Mi-Hyun) 글로벌경영학회 2006 글로벌경영학회지 Vol.3 No.2

        기업의 경영체질을 강화하고 소비자 중심의 시장가치를 인식하여 부가가치창출에 집중하는 전략을 수립하고 그 전략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을 우선 인식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의 전략에 적합한 인사제도를 도입하고 사업의 연계성을 지닌 보상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성과주의 임금체계인 연봉제의 도입은 조직이 처한 오늘날의 국. 내외 경제적 상황에 적응할 수 있는 시스템이며, 성과평가에 있어 공정하고 합리적인 성과평가의 도구로서 목표관리(Management By Objectives)와 균형성과지표(Balanced ScoreCard)를 업무평가의 도구로서 활용한다면 성과주의 인사제도가 추구하는 방향인 조직전체의 투명성을 보장 받을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연봉제 도입을 위해서는 인재육성을 인한 교육훈련과 주 보상제도인 임금 외에 다양한 보조적 보상시스템으로 동기부여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준수함으로써 조직에 대한 자긍심을 가지게 된다면 성공적인 인사제도로 구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연봉제의 운영 시 너무 많은 성과지표를 만듦으로써 구성원의 혼란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성과지표의 단순명료함을 지향하고, 도입 시 충분한 시간적 배려와 기업의 문화를 고려한 절충된 연봉제를 도입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무조건 유행처럼 다른 조직의 연봉제를 그대로 도입한다면 오히려 구성원의 사기저하로 인한 생산성 저하 및 조직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Introducing of annual salary system, wage system of performance stock, can be secured lucency of organization whole that personnel system of performance stock is seeking direction if is a system that organization can adapt in now a day department. Around economical circumstance that is placed, and is fair in performance evaluation and utilizes management by objectives and balanced scorecard by tool of business estimation by tool of reasonable performance evaluation. Also, for desirable new annual salary system operation competent person upbringing if have pride about organization observing motivation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enterprises by various supplementary compensation system beside wages who is Training and main compensation system as long as it is successful personnel system construct may. Therefore, this study presented logical plan of introducing desirable annual salary system operation by organization scale by verifying effect on enterprise s management result annual salary system operation.

      • KCI등재
      • KCI등재

        최초공모주의 발행가격결정에 관한 연구

        홍동현(Hong Dong Hyun),서병덕(Suh Byung Duk) 글로벌경영학회 2007 글로벌경영학회지 Vol.4 No.4

        국내 기업공개시장의 선진화를 위하여 도입된 수요예측방식은 투자자로부터 보다 많은 정보를 수집하여 발행가격을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합리적인 가격이 나올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투자은행의 정보비용을 고려하는 경우 발행가격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정보를보다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투자은행의 경우 저가발행은 감소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투자은행은 정보수집능력을 배양해야할 뿐만 아니라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의사결정에 관한 능력을 높여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Information-gathering activities by underwriters during the pre-issue period affect the final offer price. Book-building process seems to be a process of information searching by investment banker from institutional investor. This paper documents that by search model underwriters efficient information searching ability influence the final offer price. Efficient investment banker increase the final offer price. As a result IPO stocks underperformance reduc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